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무역] 한-인도 CEPA 이후 수출유망품목 및 진출전략

인도 국내연구자료 연구보고서 김민정 외 KOTRA 발간일 : 2009-08-07 등록일 : 2018-08-23 원문링크

1. 한-인도 CEPA 핵심 내용

 

 ◦(상품양허) 수입액 기준 한국은 84.7%, 인도는 74.6% 관세 단계적 철폐

국가

구분

즉시철폐

5년철폐

8년철폐

소계

5%로감축

50%감축

양허제외

인도

수입액

38.5%

14.0%

22.1%

74.6%

8.5%

2.4%

14.5%

품목수

3.9%(202)

3.4%(180)

64.2%(3,357)

71.5%

8.8%(459)

5.0%(261)

14.7%(768)

한국

수입액

63.0%

10.3%

11.4%

84.7%

0.2%

4.8%

10.3%

품목수

60.6%(6,824)

20.5%(2,310)

7.5%(850)

88.6%

0.3%(34)

4.2%(478)

6.8%(765)

 주: 기준관세율은 2006년 4월 1일 기본관세

 자료원: 지식경제부

 

 ◦ (원산지) 기계, 전기전자, 섬유, 자동차 등에서 한국기업이 역내부가가치를 충족할 수

   있는 수준(35-40%)으로 합의

   * 중간재 조항의 경우 인정근거는 협정문 상에 일부 반영되었으나, 발효 후 관세위원회

     를 구성하여 2년간 명확화를 위한 협의진행 예정

 ◦ (투자) 인도에서 한미 FTA 수준의 투자자 보호 확보 및 투자자유화 증진

 ◦ (서비스) 160여개 분야 독립전문가에 대한 인력 이동 허용

 ◦ (무역구제) 반덤핑조치 발동절차의 투명성을 높이고, 조치내용 완화, 다자 세이프가드

   발동시 상대국에 대한 적용 배제 가능

 

2. 한-인도 CEPA 기대효과

 

 ◦ (공작기계산업) 고관세 품목인 공작기계의 관세가 즉시 또는 단계적으로 철폐됨에 따라,

   한국산 공작기계의 인도 수입시장 점유율은 점차 확대될 것

 ◦ (건설기계산업) 인도 건설기계 분야의 수입비중은 전체산업의 70%로 매우 높은 편이고

   고관세 품목이므로 CEPA 발효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

 ◦ (자동차부품산업) 현지 한국 자동차 생산에 사용될 핵심부품 26개 품목에 대해 관세철폐

   합의. 다만, 대부분의 품목이 장기 철폐로 분류되어 CEPA 효과가 완전히 실현되는 데에

   는 시간이 걸릴 전망

 ◦ (철강산업) 5%의 관세가 철폐되고 무역구제 협력도 강화되면 한국 철강제품의 가격경쟁

   력 유지 가능

 ◦ (전기전자산업) 전자의료기기, 중전기기 등을 중심으로 수출증가 기대. 다만, 대 인도

   수출 상위 품목 대부분이 이미 무세이거나 중장기 유예·양허 제외로 분류되어 있어,

   수출확대효과는 제한적

 ◦ (화학산업) 의약·도료·염안료·접착제 중심으로 수출 증가 전망

 

3. 세부 유망품목 및 진출 전략

 

분야

품목

선정사유

진출방안

기계류

제약기계

산업 성장에 따른 수요 급증, 관세(7.5%) 즉시 철폐

▸부품수입선 다변화 및 가격경쟁력 제고

▸경쟁제품군을 중고급 제품군으로 특화

산업용 보일러

제조업성장에 수반한 수요 증대

▸신속한 딜리버리

▸현지 에이전트 선정을 통한 유통경쟁력 확보

산업용 밸브

제조업성장에 수반한 수요 증대

▸국제인증 획득을 통한 품질 이미지 제고

건설장비

건설수요 급증

▸품질개선 및 A/S 관리 등으로 품질경쟁력 제고

▸프로젝트 수주기업과 릴레이션십 매니지먼트를 잘 할 수 있는 판매 에이전트의 선정

철강 및 비철

금속류

철강

(열연·냉연· 도금강판)

각종 건설 수요 증가로 인한 성장세 지속

▸고급제품군에서 품질경쟁력을 강화

▸세이프가드 등 무역구제조치와 잦은 제도 변화에 주의

아연

한국산의 높은 경쟁력

▸점유율이 너무 빠르게 높아질 경우, 해당 산업계의 보호 요청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준의 물량 조절이 필요

전기전자

도난 및 화재경보기

시장확대추세, 고관세(10%)품목

▸UL 등 국제인증 획득

▸A/S망을 갖춘 딜러 또는 에이전트 선정

자동차

부품

차량용 디젤엔진/

특수차량 섀시부품

한국기업의 대인도 수출 주요품목

▸장기적 차원의 마케팅 전략 구사

▸인도 현지 완성차업계 등으로 공급처 다양화

화학제품

타이어

OEM 및 교체수요를 포함 수요가 크게 확대될 전망

▸현지 딜러망 확충노력 강화

▸A/S 타이어 시장 확대도 동시 검토

페인트

인프라개발 촉진 및 주택경기 호조로 향후 잠재력이 큼

▸주로 건축용 페인트 수요에 맞추어 시장을 개발하되 기존 딜러망 보유 업체를 활용하여 시장에 접근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