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아세안 역내 경제통합에 따른 주요국 동향 및 시사점

동남아시아 일반 국내연구자료 기타 정혜주 등 KOTRA 발간일 : 2015-04-17 등록일 : 2015-05-18 원문링크

□ 아세안은 2015년 12월을 아세안 경제공동체(AEC ; ASEAN Economic Community) 출범 목표로 설정하고, 지역경제 통합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 아세안 역내 생산 네트워크의 확장과 다양화를 이끌 외국인직접투자 유치를 목표로, 인구 6억 3,000명, GDP 2조 3,000억 달러 이상의 거대 경제블록 탄생

   - 단일 경제권을 기반으로 하여 4대 중장기 목표를 설정하고, 5대 원칙(상품, 서비스, 투자, 노동력,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12개 분야에 대해 협력하는 내용

  ◦ 아시아판 EU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회원국 간 상이한 경제발전 정도 및 구속력 부재로 연내 출범에는 부정적인 전망이 압도적

   - 아세안 6개국(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브루나이, 태국)은 민감품목과 초민감품목을 제외한 일반품목의 모든 관세를 2010년까지 철폐해야 함.

   - 나머지 4개국(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은 2015년까지 달성 목표

   - 관세 이외에 서비스, 자본, 전문인력의 자유이동 및 e-ASEAN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역내 협력을 목표로 하고 있음.

 

□ AEC 출범과 함께 아세안 회원국은 공장이전을 통한 생산기지, 내수시장 공략을 위한 소비재 유통 및 물류 거점으로서의 매력도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

 

  ◦ (생산기지로 활용)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는 자동차·전자·기계 등 제조업 분야의 역내 분업화가 고도화되면서 생산거점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음.

  ◦ (소비시장으로 활용)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등 소비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국가에서 한류 상품을 접목한 유통 소비시장의 전망이 밝음.

  ◦ (물류거점으로 활용)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등은 중국-아세안을 연결하는 통합 물류망 확충을 위한 요충지로, 대규모 해상·육상 인프라 건설을 진행 중

  ◦ 일본은 아세안을 생산비 절감을 위한 생산기지로 활용, 중국은 유럽 및 인도로 진출하기 위한 중간 거점으로서 아세안에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확충하고 있어, 아세안 역내 한중일 간 치열한 경쟁구도 불가피

 

□ 탄탄한 FTA 공급망을 통해 동아시아 지역에서 글로벌밸류체인(GVC) 확대를 통한 동반성장 방안 모색

 

  ◦ 아세안 경제통합을 단계적 과정으로 인식, 우리 개발경험 공유 등 장기적 관점으로 접근

   - 기존에 아세안을 수출시장, 원료공급 시장으로만 간주했던 시각을 탈피, 유망한 소비·유통시장으로 인식하고 거대 내수시장 선점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음.

  ◦ 인프라 구축을 통한 기업 비즈니스 환경 개선과 역내 생산기지 확대를 통한 공급망 구축

   - 그간 우리나라가 구축해 온 한-베트남 FTA, 한-아세안 FTA 및 다자간 경제공동체를 아세안 역내 공급망과 촘촘히 연계하여 경쟁력 있는 밸류체인을 확장할 수 있음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