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경제]몽골과 한국 간 경제 및 에너지 협력의 형태 분석

몽골 국내연구자료 기타 엥흐볼러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발간일 : 2017-02-09 등록일 : 2017-04-14 원문링크

본 논문은 한국과 한국기업이 진출하여 에너지자원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국가 간 무역의 형태를 통해 한국과 몽골 간 에너지산업과 제조업 간 패키지형 자원 개발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분석하였다. 한국이 에너지자원의 안정적 확보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시점에서 몽골과 패키지형 에너지자원개발의 활성화를 모색하는 전략의 구상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몽골의 여건과 한국이 강점을 가진 산업들을 전략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한국이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자원개발 경험과 에너지자원 개발업체 관련 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특히, 전력·가스 개발을 위해 에너지 플랜트(plant)를 수출할 경우 국내 관련 산업인 엔지니어링, 설비, 부품·소재 등의 파급효과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규모 건설프로젝트를 수주하여 성공적으로 수행할 때 몽골 내에 여타 프로젝트의 연계를 통해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향후 몽골 내에서 추가 에너지자원 확보를 위한 유리한 위치의 선점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현재 한국의 해외자원개발 정책은 단기성과 위주의 산발적 개별 프로젝트 수주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체계적인 자원개발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 비전과 계획 하에 해외자원개발 전략을 보다 보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생산광구 확대를 위해 정보력, 기술력, 인력, 재원조달 능력 등 종합적인 운영능력의 확충이 시급하다. 해외 자원개발에 있어 동종 혹은 이종 산업별로 기업, 개인, 또는 정부기관이 전략적 제휴를 맺어 경쟁우위 요소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투자대상국이 필요로 하는 재화, 용역 등을 제공하여 투자대상국으로부터 자원, 기술, 시장, 인력 등을 획득할 수 있는 체계적인 추진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통계의 분류 및 수집의 제약으로 표준산업분류(Standard International Trade Classification: SITC) 2단위로 품목을 분류하여 산업 내 무역지수를 분석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향후 보다 정밀한 분석을 위해 통계의 세세분류가 필요하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국제무역이 빠르게 변화하는데 대응하여 몽골과 한국 간 적절한 대응전략을 마련할 수 있도록 추세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몽골 민법의 변화와 과제 2016-07-22
다음글 [역사] 한국의 중앙아시아 복식연구 성과 2017-08-17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