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지역] 대UAE 경제협력의 특수성: 왕족의중요성

아랍에미리트 국내연구자료 기타 최영일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중동연구소 발간일 : 2014-02-03 등록일 : 2017-05-24 원문링크

2012년 10월 19대 국회 첫 국정감사에서 외교통상통일위원회 민주통합당 우상호 의원은 이명박 정부의 자원외교의 실효성에 대해 비판하였다. 2008년부터 자원개발과 관련해 체결된 MOU 71건32)에 대해 외교통상부 제출자료를 분석한 결과, 본계약으로 이어진 MOU는 단 1건33)에불과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간과하지 말아야할 점은 본 계약으로 이어진 단 1건의MOU가 산유국에서 맺은 원유계약이라는 점이다. 중동지역은 전 세계 원유매장량의 57%를 차지하며, 한국의 중동지역 원유수입 의존도는 82%에 달한다. 그동안 한국은 수차례 중동 상업유전의 진출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였고, 그 대안지역으로 동남아, 중앙아시아, 남미 등으로 진출을 추진해왔다. 특히 수년을 공들여도 뚜렷한 성과를 얻기 힘든 자원개발 협상에서 논의 1년만에 구체적 성과를 신속하게 도출한 것이다. 이러한 경제적 성과는 정치적 협력관계가 뒷받쳐주지 않았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아부다비와 두바이는 2006년과 2007년에 각각 ‘아부다비 경제비전2030(Abu Dhabi Economic Vision 2030)’과 ‘두바이 전략계획2015(Dubai Strategic Plan 2015)’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최근 두에미리트 정부가 공통적으로 적극 추진하고 있는만큼 중요시되는 경제핵심 이슈는 ‘산업다각화’ 정책이다. UAE 정부는 보다 안정적인 경제구조의 구성을 위해 석유산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제조업, 금융, 정보통신, 신재생에너지 산업, 관광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집중 육성하고 있다. 그 결과 2005년 기준 두바이는 370억 달러의 GDP 가운데 불과 고 발표하였다(주동주 외 4명, 2012, 80). 또한 Ⅱ. 한-UAE 협력의 성과와 현황에서 언급하였듯이, 양국의 교역관계는 건설, 플랜트, 에너지등에 상당히 집중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금융, 관광, 의료, 교육 등의서비스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한국정부가 이러한 산업다각화 정책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정치와 경제가 왕족에의해 상당히 맞물려 있는 UAE를 비롯한 일부 왕정국가에 대해서는 기업의 부문별 개별접근이 아닌, 왕족을 활용한 정치적 접근이 선행되어야 한다. 산업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는 UAE는 앞으로의 다양한 미개척 분야에대한 투자규모와 발전성을 고려할 때, 엄청난 잠재가치를 지닌 매력적인시장이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왕족과의 긴밀한 관계구축을 통해 국내기업의 중동지역 진출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