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과의 협력 강화 지속...교역 확대 및 지역 연결성 제고에 중점
우즈베키스탄 이경은 EC21R&C 연구원 2025/04/18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러시아ㆍ유라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5년 2월 우즈베키스탄-파키스탄 정상회담 주요 합의 내용
o 미르지요예프 대통령, 샤리프 총리와 정상회담 통해 경제협력 강화
-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Shavkat Mirziyoyev)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셰바즈 샤리프(Shehbaz Sharif) 파키스탄 총리는 지난 2025년 2월 26일 타슈켄트(Tashkent)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향후 양국 간 무역 규모를 20억 달러(약 2조 8,500억 원)로 확대하기로 합의함. 양국 간 무역액은 2017년 3,620만 달러(약 515억 원)에서 2024년 4억 390만 달러(약 5,700억 원)로 약 11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며, 현재 양국 합작 기업은 약 130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됨.
- 양국은 지난 2021년 '전략적 파트너십에 관한 공동 선언(Joint Declaration on Strategic Partnership)'에 서명한 이후 외교, 국방, 경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왔으며, 지난 정상회담에서는 특혜무역협정(Preferential Trade Treaty)에 따른 품목 확대, 통관 및 검역 절차 간소화, 전자무역 플랫폼 통합, 은행 간 결제 개선 등의 협력 로드맵을 수립함.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양국 간 협력 사업의 효율적 이행을 보장하기 위해 고위급 전략 위원회(High-Level Strategic Council)를 설립하고, 매월 각 부처가 온라인으로 지시 사항 이행을 보고하는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함.
o 주요 분야별 협력 사안 및 기대 효과
- 우즈베키스탄과 파키스탄은 지난 정상회담을 통해 제약, 농업, 직물, 지질학, 에너지, 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함. 또한, 기존 단순 원자재 중심 교역에서 벗어나 가공품 수출과 산업 다각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기로 합의함.
- 아울러, 양국은 타슈켄트와 라호르(Lahore) 간 자매 도시(Sister City) 협약, 양국 보도 기관 간 협력 강화, 과학기술 협정 등에 대한 양해각서(MOU)에 서명함. 또한 외교관 여권 소지자에 대한 무비자 여행, 군사 정보, 전문기술 훈련, 외교관 훈련 분야에서의 협력 협정도 체결하였으며, 이러한 포괄적 협력은 양국 관계를 더욱 심화시키고 인적 교류를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 UAP 철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지역 연결성 강화 추진
o UAP 철도 프로젝트 개요 및 최근 관련 협정 체결 동향
- '우즈베키스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철도 프로젝트(UAP Railway Project)'는 약 2,800 킬로미터(km) 규모*의 ‘트랜스-아프간 회랑(Trans Afghan Corridor)’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아프가니스탄의 마자리샤리프(Mazar-i-Sharif)와 카불(Kabul)을 거쳐 파키스탄 페샤와르(Peshawar)까지 연결되는 약 573 킬로미터(km) 길이의 철도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함. 동 철도는 연간 최대 2,000만 톤(t)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우즈베키스탄은 동 철도를 통해 아프가니스탄을 중앙아시아-남아시아-걸프 지역 간의 핵심 연결 허브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우즈베키스탄은 파키스탄과 지난 2023년 7월 ‘UAP 철도 프로젝트’에 관한 협정에 서명하였으며, 2024년에는 아프가니스탄 및 아랍에미리트와 타당성 조사를 위한 협정을 체결함. 각국은 2025년 동 프로젝트의 실질적인 건설 공사에 착수할 예정이며, 완공 시 우즈베키스탄은 파키스탄의 항구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되고, 파키스탄은 중앙아시아 시장으로의 직접적인 접근이 가능해져 역내 무역 및 경제 통합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됨.
*철도를 포함한 육상 등 전체 물류 회랑 규모 기준
o 지역 연결의 주요 도전 과제
- 한편, 지역 연결의 주요 도전 과제로 일부 구간 내 물류 병목 현상이 지목됨. 특히, 겨울철 악천후로 인한 아프가니스탄 살랑 고개(Salang Pass) 및 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 국경의 잦은 폐쇄는 UAP 철도를 통한 무역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미르지요예프 대통령과 샤리프 총리는 지난 정상회담에서 이러한 UAP 프로젝트의 도전 과제 및 해결 방안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관련 위원회를 구성하여 사업 진행을 직접 관리하기로 합의함. 양국은 UAP 철도를 ‘우리의 미래(our future)’라고 명명하며, 고속철도 노선이 양국 간 무역 및 인적 교류를 크게 증가시킬 것이라고 강조함.
□ 우즈베키스탄의 중앙아시아-남아시아 지역 연결성 강화 노력 및 향후 전망
o 우즈베키스탄의 지역 연결성 강화 이니셔티브
- 우즈베키스탄은 지난 2022년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 간 연결성 강화를 위한 유엔 특별 결의안을 발의를 주도하였으며, 동 결의안은 2022년 7월 유엔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되는 성과를 거둔 바 있음. 동 결의안은 특히 지역 간 교역 효율성 향상과 투자 잠재력 확대를 위한 운송 시스템 강화 및 트랜스-아프간 회랑의 중요성을 강조함.
- 한편, 우즈베키스탄은 2024년 12월 27일 공식 착수된 ‘중국-키르기스스탄-우즈베키스탄 철도 프로젝트(CKU Railway Project)’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 동 철도는 우즈베키스탄 안디잔(Andijan)과 신장 위구르 자치구 최서단 카슈가르(Kashgar)를 연결하는 약 523km 길이의 프로젝트로, 우즈베키스탄은 동 프로젝트를 통해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CPEC)과의 연결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CPEC은 중국 일대일로(BRI) 하에서 가장 발전된 육상 회랑으로 평가되는 바, CKU 철도 프로젝트는 우즈베키스탄의 남아시아 및 서아시아 시장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됨.
o 미르지요예프 정부의 연결성 강화 전략 및 향후 전망
- 한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파키스탄과의 지역 연결성 강화를 위한 추가적인 조치로 2025년 5월 24일부터 타슈켄트-이슬라마바드(Islamabad) 간 직항 노선을 신설하고, 현재 운영 중인 타슈켄트-라호르 노선(주 2회)을 보완할 계획임. 또한, 사마르칸트(Samarkand)와 부하라(Bukhara), 카라치(Karachi) 사이의 새로운 항공편 개설에도 합의하였으며, 이를 통해 양국 간 인적 교류 및 비즈니스 접근성을 높일 방침임.
- 이러한 우즈베키스탄의 지역 연결성 강화 노력은 중앙아시아 지역 내 리더십을 강화하고, 역내 무역 및 경제 협력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됨.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파키스탄을 비롯한 인접국과의 관계 강화를 통해 우즈베키스탄을 국제사회 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 국가로 부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이러한 상황 속, UAP 철도 프로젝트는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 간 지속 가능한 무역 성장을 위한 핵심 요소로 평가되고 있으며, 양국은 이러한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협력을 촉진하고 물류 및 금융 장벽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관찰됨.
< 감수 : 이평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Daryo, Uzbekistan, Pakistan to launch direct flights between Tashkent and Islamabad in May, 2025.04.15.
Modern Diplomacy, Strategic Importance of Bilateral Relations between Pakistan and Uzbekistan, 2025.03.20.
The Diplomat, Uzbekistan, Pakistan Expanding Trade Amid Connectivity Challenges, 2025.03.14.
ARAB News, Pakistan PM seeks stronger trade, connectivity with Uzbekistan in talks with envoy, 2025.03.13.
DAWN, Pakistan and Uzbekistan agree to expand bilateral trade to $2bn, 2025.02.26.
Amu.tv, Uzbek, Pakistani leaders discuss expanding trade and security cooperation, 2025.02.26.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전문가오피니언] EU-카자흐스탄 핵심 원자재 협력 현황과 한국의 전략적 기회 | 2025-04-14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아르메니아, 이란과 국경지역 합동군사훈련 실시...남코카서스 지역 안보 강화 추진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