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아르메니아, 이란과 국경지역 합동군사훈련 실시...남코카서스 지역 안보 강화 추진
아르메니아 이혜빈 EC21R&C 연구원 2025/04/18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러시아ㆍ유라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아르메니아-이란, 2025년 4월 테러 대응 위한 양국 최초 합동군사훈련 실시
o 양국 지상군 특수부대 참여...국경지역 테러 대응 관련 합동훈련 진행
- 아르메니아와 이란은 지난 2025년 4월 9일~10일 양국 최초 합동군사훈련을 실시함. 이번 합동훈련은 아르메니아 시우니크(Syunik) 지방의 아가라크(Agarak) 지역과 접경하고 있는 노르두즈(Norduz) 지역에서 실시되었으며, 국경 검문소에 대한 테러 대응을 주요 목표로 함.
- 이란 측에서는 발리올라 마다니(Valiollah Madani) 이슬람 혁명수비대(IRGC) 지상군 부사령관이 지휘하는 아슈라(Ashura) 사단이 참여하였으며, 아르메니아 측은 특수부대 병력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짐. 훈련은 경중화기, 저격 작전, 폭파 및 지원 사격 훈련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란 군 고위 관계자들이 계획 및 실행 단계를 면밀히 감독한 것으로 확인됨.
o 합동훈련의 목적 및 정치적 의의
- 마다니 부사령관은 이번 훈련의 목적이 국경 안보를 강화하고 인접국의 영토 보전 목표를 지원하는 것이라고 설명하며, 국경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함. 또한, 이번 훈련이 '평화(Peace)' 슬로건 하에 진행되었다고 언급하며, 현재 “이란-아르메니아 국경지역에 심각한 위협은 없다”고 부연함.
- 이번 합동훈련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양국 간 최초로 실시된 합동군사훈련으로, 실질적인 규모는 제한적이나 ‘양국 간 공동 안보 대응 가능성’이라는 정치적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는 훈련으로 평가됨. 이와 관련, 하코브 바달리안(Hakob Badalyan) 아르메니아 정치 분석가 역시 이번 훈련이 이란과 아르메니아가 "공동으로 안보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는 중요한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평가하며, 이러한 메시지가 아제르바이잔을 넘어 "코카서스(Caucasus) 지역의 불안정을 심화시키는 특정 이해관계자들"을 향한 것이라고 분석함.
□ 합동군사훈련 시행 배경 및 이란-아르메니아 국방협력 역사
o '잔게주르 회랑' 관련 아제르바이잔의 영토 확장 위협과 이란의 대응
- 이번 합동훈련은 일함 알리예프(Ilham Aliyev)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이 최근 '잔게주르 회랑(Zangezur Corridor)'을 강제로 개설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진행됨. '잔게주르 회랑'은 아르메니아 영토를 경유하여 아제르바이잔 본토와 나히체반(Nakhchivan) 자치공화국을 연결하는 회랑으로, 아르메니아와 이란은 이를 슈니크 지방(Syunik province)에 대한 주권과 이란-아르메니아 국경에 대한 직접적인 도전으로 간주하고 있음.
- 이란은 여러 차례 아르메니아-이란 국경의 변경이 자국의 '레드라인(Red Line)*'임을 선언한 바 있음. 이와 관련, 알리 하메네이(Ali Khamenei) 이란 최고지도자는 2024년 5월 니콜 파시니안(Nikol Pashinyan) 아르메니아 총리와의 회담에서 국경 문제에 대한 이란의 높은 민감성을 강조하였으며, 이슬람 혁명수비대 출신 모하마드 바게르 갈리바프(Mohammad Bagher Ghalibaf) 이란 국회의장도 아르메니아 측에 지역 국경선 재설정에 대한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명한 바 있음.
*정치·외교적 맥락에서 설정된 한계선으로, 이를 넘을 경우 심각한 대응이나 조치가 촉발되는 경계
o 이란-아르메니아 국방협력 강화의 역사 및 의의
- 이란과 아르메니아는 2024년 나고르노-카라바흐(Nagorno-Karabakh) 지역을 둘러싼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간 3차 분쟁 이후 협력을 가속화하고 있음. 특히, 양국은 샤헤드-136(Shahed-136), 모하제르(Mohajer) 드론, 아르만(Arman) 등의 주요 방공 시스템을 포함한 약 5억 달러(약 7,100억 원) 규모의 방산품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짐. 양국은 이러한 계약 체결 사실을 부인하고 있으나, 일부 전문가들은 아르메니아가 러시아 주도의 집단안보조약기구(CSTO)에서 탈퇴한 이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로부터 충분한 안보 지원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란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고 있다고 평가함.
- 군사 전문가들은 이번 합동훈련이 향후 양국 간 추가적인 국방협력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함. 또한, 이란은 아르메니아가 인도에서 구매한 무기를 운송하는 데 있어 중요한 물류 경로를 제공하고 있어, 향후 양국 간 물류 및 국방 분야의 협력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남코카서스 지역 내 지정학적 경쟁 심화와 아르메니아의 ‘전략적 생존’ 전략
o 남코카서스 지역 내 지정학적 이해관계
- 남코카서스 지역은 러시아, 미국, 유럽연합(EU), 튀르키예, 이란 등 주요 강대국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음. 특히, 러시아는 아르메니아를 경유하는 도로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며, 이란은 튀르키예, 아제르바이잔, 서방에 의한 지배를 반대하고 있음. 아르메니아 정치 분석가들은 상기 언급된 '잔게주르 회랑'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러시아, 미국, 유럽연합, 튀르키예, 이란을 포함한 국제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함.
- 에산 모바헤디안(Ehsan Movahedian) 이란 국제관계 전문가는 현재 특정 지역 및 역외 강대국들이 남코카서스를 불안정화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번 합동훈련이 그러한 시도에 대한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강조함. 특히, "아제르바이잔과 튀르키예, 이스라엘, 영국과 같은 특정 국가들이 이번 합동훈련의 메시지를 인식하고, 남코카서스에서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는 조치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취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함.
- 한편, 아제르바이잔은 이스라엘-튀르키예 대표단을 초청하여 시리아 내 군사적 충돌 방지에 관한 회담을 개최하는 등 지역 내 복잡한 지정학적 구도가 지속되고 있음.
o 아르메니아의 '전략적 생존' 정책과 향후 전망
- 아르메니아는 2020년 전쟁과 2023년 9월 나고르노-카라바흐 함락 이후 심각한 전략적 고립에 직면해 있음. 과거 아르메니아의 핵심 방위 파트너였던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분쟁 이후 아르메니아에 대한 관여도가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특히 나고르노-카라바흐 내 러시아 평화유지군의 철수는 동 지역 내 심각한 안보 위기를 초래함. 한편, 아제르바이잔은 튀르키예와의 국방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파키스탄 및 이스라엘로부터도 적극적인 지원을 받고 있음.
- 이러한 상황 속, 아르메니아는 '전략적 생존(strategic survival)'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아르메니아는 기존 자국의 안보를 지원하던 러시아 및 CSTO 등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짐에 따라 이란, 프랑스, 인도 등 신규 파트너들과의 관계 강화 기회를 모색하고 있는데, 특히 이란은 지리적·정치적 국면에서 아르메니아에게 핵심적인 파트너로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 이와 관련, 에두아르드 아라켈리안(Eduard Arakelyan) 군사 및 정치 분석가는 이란이 “현재 지역 내에서 국방협력의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의지와 능력을 모두 갖춘 유일한 인접국”이라고 평가하였으며, 이번 아르메니아-이란 합동군사훈련이 역내 공동의 안보 목표에 기반한 새로운 국방협력의 초기 단계로 해석될 수 있다고 주장함.
< 감수 : 이평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Civilnet.am, OPINION | Armenian-Iranian drills send strategic signal amid regional volatility, 2025.04.16.
Euro News, Iran and Armenia simulate border threats in joint military drills, 2025.04.15.
Mehr News Agency, Iran, Armenia military drill to strengthen border security, 2025.04.11.
Long War Journal, Iranian and Armenian militaries drill as Azerbaijan hosts Israel-Turkey talks, 2025.04.11.
Armen Press, Iranian-Armenian military drills send message to powers seeking to destabilize the South Caucasus - Iranian expert, 2025.04.11.
JAM News, 'Political message to Baku — and beyond': on Armenian-Iranian military drills, 2025.04.10.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과의 협력 강화 지속...교역 확대 및 지역 연결성 제고에 중점 | 2025-04-18 |
---|---|---|
다음글 | [동향세미나] 트럼프 집권 2기 러-미 관계 전망과 시사점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