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우즈베키스탄, 안디잔 산업 단지 개발 가속화...新도시 ‘바부르’ 건설 추진
우즈베키스탄 이혜빈 EC21R&C 연구원 2025/04/25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러시아ㆍ유라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우즈베키스탄의 안디잔 지역 산업 발전 및 투자 계획
o 안디잔 지역 산업 박람회 개최 및 지역 산업 현황
-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Shavkat Mirziyoyev)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은 2025년 4월 16일 ‘안디잔 지역 산업 박람회(Andijan Regional Industrial Fair)’를 방문하여 110개 기업의 약 500개 제품을 전시하는 행사를 참관함. 동 박람회에서는 자동차 제조, 기계, 섬유, 전기 엔지니어링, 디지털 기술, 건축 자재, 식품 생산, 화훼, 양봉, 어업 등 다양한 분야의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소개되었으며,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안디잔 지역 내 성공적인 비즈니스 이니셔티브 성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함.
- 현재 안디잔에는 1만 1,000개 이상의 기업이 운영 중인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우즈베키스탄 전체 산업 생산량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수치임. 특히, 안디잔 산업단지는 지난 2024년에만 약 7,700만 달러(약 1,100억 원) 규모의 상품을 생산하였으며, 수출액은 약 3,100만 달러(약 44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됨.
o 최근 안디잔 산업단지 내 투자 동향 및 2025년 전망
- 현재 안디잔에서는 10억 달러(약 1조 4,200억 원) 규모의 288개 투자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2025년에는 119개의 신규 프로젝트가 출범하여 4,0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됨.
- 정부는 2025년 안디잔의 경제 성장률을 최소 6%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총생산액 81억 3,000만 달러(약 11조 4,700억 원)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아울러, 올해 외국인직접투자(FDI) 규모는 약 31억 달러(약 4조 4,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10억 달러(약 1조 4,200억 원) 규모의 23개 대규모 및 321개 중소 규모 프로젝트가 시행될 예정임.
□ 신도시 건설 프로젝트 및 경제적 영향
o 신도시 프로젝트의 규모 및 주요 인프라 건설 계획
- 안디잔은 우즈베키스탄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도시로, 전체 인구의 약 10%가 거주하고 있음. 마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이러한 인구 밀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1년부로 신도시 건설 프로젝트를 출범하였으며, 이번 방문을 통해 대규모 프로젝트의 초기 성과를 검토함.
- 신도시는 안디잔 내 약 4,000 헥타르(㏊) 규모의 비농업용 토지에 건설 중이며, 총 8단계에 걸쳐 진행될 예정임. 현재까지 63개 아파트 단지(1,770세대 규모)와 20명 규모의 유치원, 시간당 250명 이상의 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종합병원, 경공업 센터 등이 완공된 것으로 확인되며, 향후 2,000개의 아파트 단지, 상업 및 서비스 시설, 녹지 공간 등이 조성될 예정임. 신도시는 완공 시 약 41만 명 이상의 주민을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됨.
o 신도시 개발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문화관광 발전 계획
- 신도시는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역사적 인물인 자히르딘 무함마드 바부르(Zahiriddin Muhammad Babur)*의 이름에 착안하여 '바부르(Babur)'로 명명될 예정이며,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신도시 바부르를 우즈베키스탄의 정신적 중심지이자 교육·과학·문화의 중심지, 관광 허브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비전을 제시함.
- 정부는 바부르 도시 개발을 위해 총 2억 5,000만 달러(약 3,500억 원) 규모의 특별 프로그램을 도입할 예정이며, 동 프로그램을 통해 바부르 내 대규모 교육 클러스터가 조성되어 유치원, 학교, 대학, 박물관, 도서관, IT 파크 등이 설립될 전망임. 이러한 대규모 프로젝트는 안디잔의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교육 및 문화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됨.
*안디잔 출신의 인물로, 인도에서 ‘무굴 제국(Mughal Empire)’을 설립
□ 안디잔 산업단지의 성장 잠재력
o 미르지요예프 대통령, 안디잔 산업단지의 경제 성장 잠재력 강조
-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지난 4월 16일 안디잔 불로크보시(Buloqboshi)에서 지역 경제 발전에 관한 회의를 주재하며, '새로운 우즈베키스탄(New Uzbekistan)'으로 명명된 지역 사회·경제 발전 전략이 안디잔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강조함. 실제, 지난 2024년 기준 안디잔 전역에서 약 4,000개 이상의 새로운 기업가가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45만 명 규모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고, 총 150만 제곱미터(㎡) 규모의 주택이 건설된 것으로 확인됨. 당국은 이러한 성과를 기반으로 2024년 안디잔 산업단지의 무역 및 서비스가 약 13%, 산업이 약 7.5% 성장하였다고 발표함.
- 안디잔은 공작기계(工作機械) 산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지난 2년간 약 10억 달러(약 1조 4,100억 원) 규모의 관련 장비를 수입한 것으로 집계됨.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산업 장비의 국내 생산량을 증대하는 것이 추가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함. 이와 관련, 당국은 국내 장비 생산량 증대를 위해 기계 제작 및 엔지니어링 설계 센터를 설립하고, 주요 장비 개발을 위한 기술을 연구하여 수입 장비에 의존하는 국내 기업들을 위한 대안을 제시할 계획임.
o 농업·관광 분야 잠재력 및 관련 인프라 개발 계획
- 안디잔에는 관개가 가능한 1만 3,000㏊ 규모의 언덕 지대가 있으나, 동 지역에서 양수기를 사용하여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높은 전기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됨. 이에 당국은 동 지역 내 태양광 패널 설치를 지원할 예정이며, 쿠르간테파(Kurgantepa)에 300㏊ 규모의 과수원 및 포도원을 조성할 계획임.
- 아울러, 안디잔은 상당한 관광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특히 카나바드(Khanabad)의 캄피로보트(Kampirovot) 마할라(Mahalla)*, 불로크보시 지구의 시르몬불로크(Shirmonbuloq) 마할라, 호자아바드(Khojaabad) 지구의 토슈-오타(Tosh-ota) 마할라가 관광 허브로 부상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지역으로 지목됨. 정부는 2025년 ▲약 1억 2,500만 달러(약 1,800억 원) 규모의 25개 관광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350만 명의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하며, ▲관광 수출액을 2억 달러(약 2,800억 원)로 증대하는 목표를 설정함.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한 중앙아시아 지역의 전통적인 지역 공동체 조직
< 감수 : 이평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Gazeta.uz, New city on Babur to be created in Uzbekistan’s Andijan, his birthplace, 2025.04.21.
Daryo, China to invest $250mn in modern complex in Uzbekistan's Andijan region, 2025.04.17.
Trend News Agency, President of Uzbekistan reviews key industrial projects at Andijan regional fair, 2025.04.16.
Yuz.uz, Opportunities for advancing Andijan to a new stage of development identified, 2025.04.16.
Yuz.uz, President reviews the progress of development works in New Andijan, 2025.04.15.
Yuz.uz, New Andijan to bear the name of the Great Babur, 2025.04.15.
Alampir.uz, New Andijan City to be named after Babur, 2025.04.15.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러시아, 제재 완화 가능성 下 해외 기업들의 국내 시장 복귀에 대한 엄격한 조건 제시 | 2025-04-25 |
---|---|---|
다음글 | [월간정세변화] 우즈베키스탄의 경제 개혁과 글로벌 통합 전략 분석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