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정보
[경제] 중앙아시아 에너지 및 광물 공급망과 한·중앙아시아 협력 확대 방안
러시아ㆍ유라시아 일반 국내연구자료 연구보고서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발간일 : 2023-09-21 등록일 : 2023-12-03 원문링크
자료이용안내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발표하는 자료들을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록 자료의 자세한 내용은 해당 기관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Ⅰ. 중앙아시아 에너지 산업 및 공급망 현황
ㅇ 중앙아시아 국가들 중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은 원유, 천연가스를 생산·수출하고 있음. 카자흐스탄은 세계 12위의 원유 확인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르크메니스탄은 세계 4위의 천연가스 확인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음.
ㅇ 카자흐스탄은 세계 산유량의 1.9%를 점유하고 있으며, 투르크메니스탄은 세계 천연가스 생산량의 1.9%를 점유하고 있음. 카자흐스탄의 원유 생산은 카스피해에 위치한 최대 유전인 카샤간 유전과 카라차가낙, 텡기즈의 3대 유전에서 대부분 생산되고 있으며, 투르크메니스탄의 천연가스 생산은 칼키니쉬를 비롯한 남부 지역의 가스전에서 대부분 생산되고 있음.
ㅇ 카자흐스탄산 원유는 유럽과 중국으로 수출되어 왔으며, 2022년에는 중국으로의 수출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음. 투르크메니스탄산 천연가스는 대부분 중국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러시아와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로도 수출되고 있음.
ㅇ 원유는 흑해의 러시아 노보로시스크 항과 중앙아시아-중국 송유관을 통해 수출되고 있으며, 천연가스는 중앙아시아-러시아 가스관과 중앙아시아-중국 가스관을 통해 수출이 이루어지고 있음.
ㅇ 한국은 기존에 추진된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개발 사업에서 성과를 거두지 못했으나, 카자흐스탄으로부터의 원유 수입이 증가하고 있음. 카자흐스탄은 2022년 기준 한국의 7번째 원유 수입상대국이며(금액기준), 수입 비중은 4.3%를 기록하고 있음.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경제] Transition Report 2023-24 : Russia | 2023-12-03 |
---|---|---|
다음글 | [경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중앙아시아 5개국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 2023-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