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인도 건조과일 시장 동향

인도 KOTRA 2024/05/22

인도 건조과일 시장은 활발한가?
어떤 회사들이 경쟁하고 있는가?
인도 건조과일 시장의 특징과 진출 전략은?

상품명/HScode: 건조과일/200899

 

과일, 견과류 및 식물의 기타 식용 가능한 부분(달리 준비되거나 보존처리됨), 설탕이나 기타 감미료 또는 증류주가 첨가되었는지가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포함되지 않은, 혼합물을 포함한 기타 식품 등을 말한다.

 

시장동향

 

인도는 건조과일의 세계적인 생산국 중의 하나로서 국제 시장에서도 핵심 플레이어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말린 과일은 인도에서 영양학적 이점으로 인해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평소 식단에서도 필수적인 칼로리의 공급원 역할을 한다. 인도 건조과일 시장은 국내 및 국제 시장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꾸준한 성장을 보여왔다. 현지 업계에 따르면, 인도의 건조과일 시장은 2029년까지 121억2000만 달러(1조110억 인도루피)로, 2023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8%의 성장이 예상된다.



인도 건조 과일 시장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젊은이들의 생활 방식 선호도 변화, 가처분 소득 증가, 영양 성분이 포함된 포장 식품에 대한 수요 증가, 건조과일을 건강보조 식품으로의 생각하는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 등을 꼽을 수 있다. 자두, 살구, 무화과, 건포도, 아몬드, 호두 등 이동 중에도 간식을 먹는 경향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또한 말린 과일은 샐러드, 구운 음식, 오트밀, 초콜릿, 스낵, 디저트의 재료로 인기를 얻고 있다.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기 위한 업계의 연구 개발 활동도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유제품 및 아침 시리얼 산업뿐만 아니라 맛과 영양가를 높이기 위해 요리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인도에서 건조과일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주는 서벵갈(West Bengal), 타밀나두(Tamil Nadu), 히마찰프라데시(Himachal Pradesh), 잠무/카슈미르(Jammu & Kashmir), 카르나타카(Karnataka), 하리아나(Haryana),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 등 이다. 신선한 무화과뿐만 아니라 말린 무화과도 주로 구자라트, 마하라슈트라, 우타르프라데시, 타밀나두, 카르나타카에서 재배되고 있다. 말린 살구는 라다크(Ladakh), 우타크핸드(Uttarakhand), 카슈미르에서 널리 퍼져 있으며 구르마그(Gulmarg)에서 발견되는 붉은 품종도 인기 있다. 마하라슈트라와 안드라프라데시는 인도 최대의 캐슈(Cashew) 생산지이며, 오디샤(Odisha)가 그 뒤를 잇고 있고, 고아(Goa)는 대형 캐슈넛으로 유명하다. 카스미리 아몬드(Kasmiri Almond)는 잠무와 카슈미르에서 유명한 건조 과일 중 하나이다. 마하라슈트라, 펀자브, 서부 우타르프라데시, 라자스탄, 마디아프라데시는 인도에서 건포도가 재배되는 주이다. 마하라슈트라의 Nashik kishmish(건포도의 한 종류)도 유명한 제품 중 하나이다.



인도는 땅콩, 아몬드, 캐슈넛 등과 같은 건조과일의 소비에서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건포도는 3위, 말린 무화과는 4위, 호두는 6위, 대추는 7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인도 소비자들 사이에서 건조 과일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며 시장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인도 건조과일 시장 특징으로는, 각 건조과일마다 성수기가 다르다는 점이다. 말린 과일은 영양가가 높고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로 모든 축제에서 흔히 선물로 많이 사용된다. 디왈리(Diwali, 10/11월), 이드(Eid, 3/4월), 결혼식과 같은 축제 기간에는 고품질의 건과일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한다. 특히 캐슈, 피스타치오, 아몬드, 건포도와 같은 건조 과일은 축제 시즌에 가장 많이 구매한다. 이러한 수요 급증은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경쟁 환경을 조성하고, 특히 성수기에는 이러한 수요 증가로 인해 소매업체들이 축제 분위기를 이용해 수익을 높이기 위해 가격이 10~15% 정도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주재국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인도는 자체 소비량이 큰데 캐슈(Cashew), 아몬드, 대추, 호두, 무화과순으로 가장 소비량이 많고, 수출입 또한 많이 일어나고 있다. 아래 표는 소비금액과 수출입 금액을 보여주고 있다 .



대한 수입규모는 전체 건조과일 중에서 인도에서 많이 소비되는 상품 위주로 확인해 보았을 때, 총 5개 품목으로 볼 수 있으며, 전체 인도 내 소비량과 비교했을 미미한 수준이지만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중 HS코드 200899 제품에 대한 수입액 상위 10개국은 다음과 같다.


정부 정책

 

인도 정부는 건조과일 시장을 위해 2억3947만 달러(200억 루피)의 특별 기금을 조성했으며, 이 기금은 국립 농업 및 농촌 개발 은행(NABARD)이 식품 가공 부문에 저렴한 신용대출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이 외에도 운송 중 건조과일의 품질을 보존하는 데 중요한 콜드 체인 인프라에 대한 상당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인프라 개발에는 프리쿨링, 선별, 등급 분류 및 포장 시설이 포함된다. 수출을 늘리기 위해 말린 과일과 견과류를 포함한 식품 가공에 100% 외국인직접투자(FDI)를 허용하는 인센티브 정책도 펴고 있다.



SWOT 분석

 

S- 온라인 플랫폼은 건조과일 구매에 인기를 얻고 있으며 수입업자가 더 많은 고객에게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건강보조식품과 미용제품에 사용되는 건조과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곡물 및 건강 음료 혼합물과 같은 편리한 식품을 찾고 있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데, 이는 건조과일 시장과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W- 건조 과일 시장은 인도의 공급망 시스템이 아직 조직화가 덜 되어 있고, 이로 인해 유통망이 무분별하게 확장/세분화되어 있어 생산자들은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유통망을 찾기가 쉽지 않다. 또한 너무 다양한 로컬 제품이 많아 브랜드 인지도와 소비자 충성도가 떨어지는 경우도 많다.



O- 인도의 건조 과일 시장은 발전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건조 과일 소비가 지난 5년 중 가장 높은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수입도 활발한데, 과거에는 주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수입되었으나, 현재는 인도 건조 과일 수입의 거의 70~80%를 미국에서 수입되고 있다.



T- 운송 및 보관 중 건조 과일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도 국내 생산업체와 경쟁하려면 품질과 비용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지적된다. 건조 과일의 수요와 가격은 다양하여 낮은 제품 가격으로 인해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가공 중 불순물이 첨가되는 부분은 소비자 수요를 낮추는 주요 문제 중의 하나이다.

 

경쟁동향

 

인도는 건조과일 시장에서 전국적으로 강력한 브랜드가 없다. 현재 상품의 25%만이 브랜드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75%는 여전히 브랜드 없는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현재 활동하는 주요 업체는 다음과 같다.

유통구조

 

공급망: 인도는 영토가 크고 지역마다 다양한 특색이 있으며, 또한 다른 국가에서 수입하는 수입상들도 많이 있다. 작물을 재배하고 과일을 수확하거나 건조하여 가공하는 재배자가 따로 있으며, 유기 폐기물을 비료로 처리하는 등 폐기물을 처리하는 폐기물 관리자도 있다.



가공 및 포장: 건조 과일은 불순물, 껍질, 껍질을 제거하기 위해 가공이 필요하다. 그런 다음 품질 표준에 따라 분류되고, 등급 지정 후에 포장까지 이어진다. 이 단계에서 제품에 따라 로스팅, 데치기, 염장, 향료 첨가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과정에는 껍질을 부가가치 제품으로 사용하는 등 지속 가능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폐기물을 처리하는 폐기물 관리자도 포함된다.



유통 및 물류: 건조과일은 전국의 다양한 제조사(곡물, 건강음료 등), 도매업자, 소매업자, 수출업자에게 유통된다. 식료품점, 슈퍼마켓, 전문점, 온라인 플랫폼, 지역 시장 등 다양한 소매 채널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수출: 인도는 건조 과일의 주요 수출국이며 이는 공급망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 하고 있다. 수출된 건조 과일은 때때로 현지에서 조달되거나 수입되어 재수출되는 경우도 있다. 관련 제품 전문 수출업자도 따로 있는데, 이들은 국제 품질 및 안전 표준을 준수하고 문서화 및 통관 절차를 처리하는 데 역할을 한다. 공급망 전반에 걸쳐 식품 안전, 품질, 라벨링 및 포장과 관련된 규제 표준을 준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공급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도의 건조 과일 생산은 기상 조건에 크게 좌우된다. 가뭄, 홍수, 갑작스런 폭우와 같은 악천후는 작물 수확량과 품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공급 변동을 초래할 수 있다. 


인증

 

식품 안전 표준: 수입 건조과일은 FSSAI(Food Safety and Standards Authority of India, 인도 식품 안전 표준 기관)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



인증서(NOC(No objection Certificate/NCC(Non-conformance certificate)): FSSAI는 적합성/부적합에 따라 인증서를 발행한다. 육안 검사 및 실험실 분석을 받기 위해 해당 업자는 FSSAI에 제품을 보내야 하고, 실험실 보고서에 따라 FSSAI 담당관은 식품이 FSSAI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NOC를 발행한다.



포장 및 라벨링: 적절한 포장 및 라벨링은 품질을 유지하고 법적 요구 사항을 준수하는 데 중요하다. 여기에는 부피 및 순중량, 유통기한, 영양 정보, 브랜드, 회사명, 제품명, 제품 설명 및 성분, 채식 또는 비채식, 생산 배치 및 코드 번호, 수입업체 이름 및 주소, 국가가 포함된다.

 

최근 관련 행사

 

MEWA(India Dry Fruits&Nuts Show) 2024는 견과류 및 건조과일 위원회(Nuts and Dry fruits Council)가 주최한 종합 전시회로 2024년 2월 16~17일 뉴델리에서 개최되었으며, 인도 최대의 견과류 및 건조 과일 B2B 전시회 중 하나이다. 20개 이상의 국가에서 200개의 전시업체와 6000명 이상의 참석자가 참여했다.

 

시사점

 

건조과일 제품은 브랜드 없는 제품이 대다수로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품질 인식으로 인해 클린라벨(인공 첨가물, 방부제,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을 피하면서 단순화되고 투명한 성분 목록으로 라벨이 붙은 제품을 의미) 품목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장 특성을 잘 파악하여 인도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성분 최적화 및 건강한 제품이라는 인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 진출 전략의 하나로 추천된다.



인도 시장은 슈퍼마켓과 대형마트가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과 향후 온라인 유통이 점차 확대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중소규모 슈퍼마켓에 제품 진열을 하여 노출도를 높이는 전략도 구사가 가능하다. 인도인들은 아몬드, 호두, 대추 등 고품질의 건조 과일을 선호하는데, 특히 축제 및 결혼식 시즌 동안에 나타나는 특정 건조과일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해 조사하는 것도 인도 소비자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자료:  “인도 건조과일 시장 전망”, (6wresearch.com,2023.07)

“2028년 인도 건과일 시장 보고서”, (actualmarketresearch.com, 2022.12.31)

"인도의 건조 과일 혼합 전통을 파헤치는 Meva", (outlooktraveller.com, 2023.01.09)

“인도의 건조 과일 수입: 수익성 있는 벤처”, (megagrain.com, 2024.01.04)

“타타컨슈머프로덕츠, 소금사업 시장 점유율 확대 기대” (republicworld.com,2024.02.09)

“우리의 초점은 TG의 70%가 한 달에 최소 3~4회 우리와 소통하도록 하는 것입니다.”(exchange4media.com, 2023.05.10)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건조과일 브랜드 상위 9위 ", (ministryofnuts.in,2024.01.16)

“Abhishek Agarwal: 건강을 제공하여 부를 창출하다”, (forbesindia.com, 2024.02.28 )

“인도 최초의 이틀간 B2B 무역 박람회 MEWA 2024가 성황을 이룹니다”(bwhotelier.com, 2024.02.17)

“ 어디집 ? GST 폭염에 직면한 향신료, 건조과일 수입업자”, (economictimes.indiatimes.com, 2024.05.27)], KOTRA 첸나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2024 한-파 경제협력 포럼 후기 2024-05-22
다음글 인도 건설 중장비 시장 동향 2024-05-22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