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싱가포르 정부조달시장, 가격 대비 가치를 만족시켜야

싱가포르 KOTRA 2016/01/20

싱가포르 정부조달시장, 가격 대비 가치를 만족시켜야

  - 건설 관련 정부조달시장, 2016년 1월부로 입찰 평가항목에서 생산성 점수 가중치 적용 -

  - 안전과 품질, 기술력, 기한 엄수, 사후 서비스 등을 통한 신뢰 구축 필요 -

 

 

 

□ 싱가포르 정부조달시장 운영 방식 및 기본 원칙

 

 ○ 싱가포르 정부조달시장 운영 방식

  - 싱가포르 정부조달시장은 싱가포르 재무부(Ministry of Finance)가 관련 조건 및 과정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규정해 배포한 후. 건설청(Building and Construction Authority)이나 육상교통청(Land Transport Authority)과 같은 개별 정부기관에서 프로젝트별로 발주를 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싱가포르 감사청(Auditor-General’s Office)은 개별 정부기관이 재무부 방침을 제대로 준수하고 있는지 정기적인 감사를 실시함.

 

 ○ 싱가포르 재무부가 규정한 정부조달시장 3대 기본 원칙

  - 투명성(Transparency): 요구 조건, 절차, 평가항목, 입찰 등 모든 과정이 개방돼 있고 투명하며 모든 정보는 정부 조달 온라인 포탈(GeBIZ, http://www.gebiz.gov.sg)에 공개돼 있어 쉽게 열람이 가능함.

  - 개방적이고 공정한 경쟁(Open and Fair Competition): 개방적이고 공정한 경쟁 환경은 모든 입찰 참여자들이 최고의 제안서(Best Offers)를 제출할 수 있게 함. 모든 참여자들에게는 동등한 기회가 주어지며, 모두가 같은 조건에서 공정한 경쟁을 하게 됨.

  - 가격 대비 가치(Value for Money): 소요되는 비용(Costs)은 물론 그로 인한 이득(Benefits)을 고려한 최적의 균형(Optimal Balance)을 추구하는 것을 뜻함. 따라서 입찰 참여자들은 최저 가격으로 입찰에 참여하는 것보다 주어진 조건에서 최고의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

 

□ 싱가포르 정부조달시장 참여 절차

 

 

 ○ 소싱

  - 발주 금액에 따라 3가지 경우로 나눠짐.

  - 공개 텐더: 모든 텐더는 공개 텐더가 원칙으로 입찰 공고가 GeBIZ를 통해 공개되며, 관심이 있고 기준에 부합한 기업은 누구나 ITT(Invitation to Tender)를 통한 입찰에 참여할 수 있음.

  - 선택적 텐더: ITT를 열기 전에 관심이 있는 입찰자들을 우선 모집한 후 일차적으로 평가를 함. 그 후 선택된 기업만이 ITT에 참여해 입찰가격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일차 모집 및 최종 선정에 관한 모든 정보는 GeBIZ를 통해 공개됨.

  - 제한적 텐더: 국가 기밀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또는 기타 이유로 공개 텐더가 불가능할 때 이용하며, 단독 혹은 극소수의 입찰자만이 ITT에 참여할 수 있음.

 

싱가포르 정부조달시장 소싱 구분

            (단위: 싱가포르달러)

종류

프로젝트 규모

특징

소규모 구매

(Small Value Purchases)

3,000 미만

- 최소한의 규정만이 적용됨.

- 가격 수준이 알려져 있고, 그 근거가 타당하다면 공급자로부터 직접 구매가 가능함.

코테이션

(Quotations)

3,000 이상

~ 70,000 미만

- 발주를 원하는 정부기관은 ITQ(Invitation to Quote)를 열어 입찰 공고를 알린 후 입찰자들을 모집함.

- 부정부패 방지를 위해 입찰 공고, 입찰자 모집 및 평가를 하는 직원과 최종 승인을 하는 직원이 다름.

텐더

(Tenders)

70,000 이상

- 최종 입찰자는 평가의원회에 의해 결정됨.

- 텐더 특성에 따라 공개 텐더(Open Tenders), 선택적 텐더(Selective Tenders), 제한적 텐더(Limited Tenders)로 나눠짐.

자료원: 싱가포르 재무부(Ministry of Finance)

 

 ○ 평가

  - 모든 참가자들의 입찰 정보는 ‘가격 대비 가치(Value for Money)’ 원칙에 입각해 총체적인 평가를 받게 됨. 따라서 입찰가격뿐만 아니라 제품 및 서비스 품질, 기한 엄수, 사후 서비스 등 다양한 정성적 항목이 평가 항목에 포함돼 있으며 소싱 종류에 따라 한 명 또는 다수의 심사위원이 평가를 함.

 

 ○ 승인

  - 최종 입찰 승인은 평가에 참여한 심사위원이 아닌 다른 심사위원이 해야 하며, 코테이션의 경우 최소 한 명, 텐더의 경우 최소 세 명의 위원으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최종 입찰이 결정됨.

 

 ○ 계약 관리

  - 최종 승인 후 모든 행정상의 절차를 포함하며, 계약을 발주한 정부 기관은 제품 및 서비스가 계약 조건에 맞게 공급이 되고 있는지, 예산에 맞게 진행이 되고 있는지, 기타 잠재돼 있는 이슈는 없는지 모니터링 함.

 

□ 싱가포르 건설 관련 정부조달시장 최근 화두는 생산성 향상

 

 ○ 싱가포르 건설청, 생산성을 강조한 프로젝트 평가방법 발표

  - 2015년 10월, 싱가포르 건설청은 2016년 1월부터 건설 프로젝트 발주 시 생산성에 중점을 두고 평가를 할 것이며, 총점에 10% 가중치를 반영할 것이라고 발표함.

  - 터널 공사에 대해서도 2016년 하반기부터 생산성을 강조한 평가방법을 적용할 것이라고 2016년 1월 6일에 추가 발표를 함.

  - 쿽 시 티앗(Quek See Tiat) 싱가포르 건설청장은 생산성 평가 시 과거 시공 결과, 시설 및 장비에 대한 투자, 인적자원 개발 등을 고려할 것이라 했으며, 이 항목들에 대해 우수한 평가를 받을 시 유리할 것이라고 발표함.

  - 또한 건설청에서는 생산성 지수 산출 방법과 연도별 생산성 지수를 공개하고 있음. 생산성 지수는 총 건설 면적(㎡)을 총 건설 현장 근무 인원의 노동(mandays, 1 manday는 노동인구 한 명이 8시간 근무하는 것을 뜻함)으로 나눈 것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생산성이 높음을 의미함.

  - 싱가포르의 건설 현장 생산성은 지난 5년간 연 평균 1.2% 향상됐으며, 건설청은 향후 5년간 연평균 2% 이상의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설정함.

 

건설 프로젝트별 연도별 생산성 지수

            (단위: ㎡/manday)

연도

Public Housing
(HDB)

Residential
(landed)

Residential
(non-landed)

Commercial

Industrial

Institutional

2008

0.450

0.192

0.306

0.331

0.498

0.336

2009

0.455

0.192

0.317

0.330

0.505

0.337

2010

0.439

0.190

0.319

0.328

0.495

0.319

2011

0.441

0.192

0.321

0.330

0.501

0.342

2012

0.449

0.194

0.326

0.335

0.508

0.344

2013

0.459

0.196

0.331

0.341

0.513

0.348

2014

0.470

0.199

0.337

0.348

0.523

0.355

자료원: 싱가포르 건설청

 

 ○ 싱가포르 생산성 위원회(National Productivity Council) 의장, 건설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부 기관들의 규제와 협력 및 중장기적 접근 강조

  - 2010년에 설립된 싱가포르 생산성 위원회 의장 타만 샨무가라트남(Tharman Shanmugaratnam)은 2016년 1월 6일 싱가포르 난양 기술 대학(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신 기숙사 시공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건설 프로젝트의 생산성 향상을 강조함.

  - 난양 기술 대학의 신 기숙사 시공은 PPVC(Prefabricated, Pre-finished Volumetric Construction, 조립식 건축) 기술을 사용한 싱가포르 최초의 공공시설로 의미가 있음.

  - 이 시공에서 PPVC기술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건축 방식을 사용할 때보다 약 18%의 비용이 추가로 지출됐으나, 싱가포르 생산성 위원회 의장은 단기적으로는 비용이 더 들고 불편함이 있을지라도 중장기적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함.

  - 중장기적 관점에서 봤을 때 기술 투자를 통해 미래 고령화 등으로 인한 노동인구 부족 현상에 대비함과 동시에 양질의 일자리 제공이 가능하므로 이 과도기를 잘 넘겨야 한다고 역설하며, 정부 기관들의 규제와 협력도 강조했음.

 

PPVC 기술을 사용한 난양 기술 대학 신 기숙사 시공 현장

자료원: Business Times

 

□ 우리 기업 진출 성공 사례

 

 ○ GS건설, 싱가포르 병원, 지하철 등 다양한 건설 프로젝트 참여 후 시공능력·친환경·안전성을 인정 받아 2015년 싱가포르 안전경진대회 대상 수상

  - 2012년 5월, GS건설이 약 6000억 원에 단독으로 수주한 응텡퐁 종합병원(Ng Teng Fong General Hospital) 시공은 당시 GS건설의 해외 건축 프로젝트 중 최대 규모였으며, 싱가포르 내 병원 단일공사 중 최대 프로젝트였음.

 

2015년 10월 10일 개소식을 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간 응텡퐁 종합병원

자료원: The Straits Times

 

  - 또한, 2009년과 2011년에 싱가포르 육상교통청이 발주한 다운타운 라인(Downtown Line) 지하철 공사 중 4건, 2013년 톰슨라인(Thomson Line) T203 프로젝트, 2015년 톰슨 이스트코스트 라인(Thomson-East Coast Line) T3008 프로젝트 등 싱가포르 지하철 공사로만 총 6건(총 1조8000억 원 규모)의 프로젝트를 시공하고 있음.

  - GS건설은 2015년 5월, 싱가포르 건설청이 주관하는 기업단위 환경인증제도(GGBS, Green & Gracious Builder Scheme)에서 최고 등급인 스타(Star) 등급을 획득함.

  - 이어 2015년 9월에는 싱가포르 육상교통청이 주관하는 2015년 안전경진대회(ASAC, Annual Safety Award Convention)에서 싱가포르 다운타운 라인 3단계 C925 현장이 최고상인 대상을 수상함.

 

 ○ 현대건설, 싱가포르 대형 오피스 빌딩 공사, 주상 복합, 지하철, 매립 공사 등 다양한 건설 프로젝트에 활발히 참여 중

  - 최근 수주에 성공한 대표 프로젝트로는 2014년에 총 7억7500만 달러(한화 약 7950억 원)에 수주한 투아스 핑거원(Tuas Finger One) 매립공사, 2015년에 4억3700만 달러(한화 약 5088억 원)에 수주한 싱가포르 테콩(Tekong) 매립공사 2단계 사업 등이 있음.

  - 2015년에는 싱가포르 건설청이 주관한 ‘싱가포르 BCA 건설대상 2015(BCA AWARDS 2015)’에서 총 3개 부문, 5개의 상을 수상함.

 

 ○ 삼성물산, 1992년 싱가포르 진출 후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해 신뢰 구축

  -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로는 2013년 4월, 5억4200만 달러(한화 약 6300억 원)에 단독으로 수주한 64층짜리 주상복합 빌딩 프로젝트와 2015년 11월, 3억9300만 달러(한화 약 4500억 원)에 단독으로 수주한 싱가포르 지하철 공사 톰슨라인 T307 구간 프로젝트가 있음.

 

□ 시사점

 

 ○ 가격뿐만 아니라 ‘가치’도 중시해야 하는 싱가포르 정부 조달 시장

  - 싱가포르 재무부와의 인터뷰에 의하면, 실제로 정부조달 프로젝트의 약 3분의 1은 입찰 최저가를 제시한 기업이 아닌 가격 대비 가치(Value for Money)를 제공한 기업에게 수주됐음.

  - 최근 다수의 중국 기업들이 싱가포르에 진출해 가격경쟁력으로 승부를 하고 있으며, 다양한 정부 조달 건설 프로젝트가 중국 업체에 수주된 바 있으나 저품질, 시공 기한 지연 등으로 인해 신뢰도가 떨어졌다고 함.

  - 실제로 최근 싱가포르 지하철 톰슨라인 T307 구간 프로젝트를 단독 수주한 삼성물산의 경우, 가격 입찰에서 최저가는 아니었지만 기술력과 수행 역량, 안전관리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성공적으로 수주가 가능했음.

  - 따라서 우리 기업은 안전과 품질, 기술력, 기한엄수, 사후 서비스 등을 통해 신뢰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싱가포르 정부의 사업 파트너로서 관계를 지속해 나가도록 해야 함.

  - 또한 최근 싱가포르 건설 프로젝트에서 생산성 향상이 큰 화두인 만큼, 향후 프로젝트 입찰 경쟁 시 생산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됨. 따라서 싱가포르 건설 프로젝트 수주를 원하는 우리 기업은 입찰 참여 시 생산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음.

 

 ○ 싱가포르 건설 관련 정부조달시장 지속 성장이 예상되므로 우리 기업에는 기회 요인이 될 수 있음.

  - 현재 도로, 교량, 하수시설 등과 같은 인프라 관련 프로젝트가 연간 총 건설 프로젝트에서 4분의 1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몇 년간 터널 공사와 같은 프로젝트의 규모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싱가포르 건설청에 따르면, 현재 싱가포르 내 건설 관련 정부조달시장의 규모가 전체 건설 프로젝트 중 40~5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민간 프로젝트의 성장세가 둔화됨에 따라 향후 정부 프로젝트 규모는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싱가포르 내 인프라 개발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AEC가 출범하는 등 아세안 내 경제통합이 가속화됨에 따라 역내 불균형 해소를 위한 인프라 투자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따라서 우리 기업은 이와 관련한 프로젝트에 관심을 두고 싱가포르 정부조달시장 진출 기회를 지속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The Straits Times, Business Times, 싱가포르 재무부(Ministry of Finance), 싱가포르 건설청(Building and Construction Authority), 뉴시스, 중앙일보, 한국 건설 신문, 관련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globalwindow.org >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