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말레이시아판 부가가치세 도입 1주년, 성과와 전망

말레이시아 KOTRA 2016/05/03

 

말레이시아판 부가가치세(GST) 도입 1주년, 성과와 전망

- 2015년 4월부터 연말까지 GST 등록기업 40만 개로부터 270억 링깃(70억 달러) 세수 확보 -

- 2015년 국제경기 침체와 유가하락으로 인한 정부 재정수입 급감 속에서 구원투수 역할 -

 

 

 

□ 재화용역세(GST) 도입

 

  말레이시아 정부는 2015년 4월 1일부로 한국의 부가가치세(VAT)와 유사한 형태의 GST(6%)를 도입했음.

 

  GST는 말레이시아 영토에서 거래되는 모든 상품 및 서비스에 적용되는 간접세로, 공급단계에서 부과·징수되고, 매입세액공제를 통해 최종소비자에게 세금이 부담되는 구조임.

 

  최소 연매출이 50만 링깃을 넘는 사업자는 모두 GST 납부기업으로 등록해야 하며, 미등록의 경우 적발 시 2만 링깃 이하의 벌금이 부과됨.

 

 재화용역세(GST) 도입 성과

 

  2015년 4월부터 9개월 동안 GST 등록기업 40만 개로부터 거두어들인 GST 세수만 270억 링깃에 달하는 상황임.

 

  말레이시아 세무당국은 2016년에는 390억 링깃을 거둘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는 말레이시아 GDP의 3.1%에 달하는 규모임.

 

  계속해서 GST 등록기업은 늘어날 것이므로 1240만 명의 노동인구 중 170만 명이 납부하는 개인소득세를 넘어서는 주요 세원으로 정착할 것으로 전망됨.

 

 재화용역세(GST) 도입 영향 분석

 

  GST가 도입된 지 만 1년이 지나면서, GST 도입 효과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는 GST가 도입되면서 우려했던 물가상승이나 경기침체 우려를 어느 정도 극복했다는 의견임.

 

  더구나 국제경기 침체와 석유 증산으로 인한 유가하락이 겹치면서 정부재정이 크게 악화된 상황에서, GST가 재정파탄을 막는 효자역할을 했다는 것에는 대부분 공감하고 있음.

 

  우려했던 인플레이션은 2014년 3.2%에서 2015년 오히려 2.1%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그러나, 이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교통분야 지출(유류대)이 급감해 발생한 착시현상이라는 지적이 있음.

 

  실제로 소비자물가지수는 4% 이상 올랐고, 소비자전망지수(Consumer Sentiment Index)는 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보다 낮은 63.8포인트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음.

 

말레이시아 소비자물가지수(CPI) 변동 추이

자료원: The EDGE

 

 말레이시아 재정 압박과 GST 역할

 

  그동안 말레이시아 정부는 국영석유회사인 PETRONAS를 통한 석유 판매 수입에 재정의 40% 가까이를 의존해 왔음.

 

  그나마 재정의 석유 의존구조를 조정하려는 노력을 통해서 지난 2014년에는 전체 재정의 30%까지로 의존도를 낮춤.

 

  그런데 지난 2015년에는 국제유가 폭락으로 석유 관련 수익이 재정의 21.5%로 급감하면서 재정고갈 위기에 직면, 그 공백을 GST가 효과적으로 메꾸어 준 상황임.

 

  2016년에는 석유 관련 수입이 정부재정의 13~14%대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GST에 대한 재정의존도는 그만큼 높아질 것임.

 

 GST와 소비자물가

 

  현재 말레이시아 정부부채가 상한선으로 설정한 전체 GDP의 55%를 상회하는 상황에서, 계획했던 재정절감은 고사하고 추가 재정지출을 하고 있는 상황임.

 

  2015년 연초에 계획했던 2739억 링깃보다 98억 링깃이 추가 지출된 상황에서, 2015년 10월에 설정했던 2672억 링깃의 2016년 예산계획을 연초 유가하락을 다시 반영해 90억 링깃을 삭감한 상황이라 재정압박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됨.

 

  또한, 이러한 삭감액이 정부 운영예산 감축보다는 소비자 유가보조금 축소나 개발지출 순연, 자산매입 연기 등을 통해 달성할 예정이라 결국 가계부담으로 전가될 수 있음.

 

  그리고 GST 도입으로 인한 물가상승요인을 완전히 흡수하지 못한 상태에서 국제유가와 링깃화 가치가 상승할 경우, 잠재해 있던 GST 관련 인플레이션 요인이 발동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있음.

 

  실제로 유가와 링깃화 가치가 상승세를 보이는 2016년 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대비 4.2%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시사점

 

  말레이시아 정부는 지난 2005년부터 GST 도입을 공식적으로 검토하며 수차례에 걸쳐 도입을 연기함. 이 덕분에 시장에서는 미리 GST 도입을 예측했던 상황이라 충격이 어느 정도 수월하게 흡수된 면이 있음.

 

  그 결과, 유가하락으로 인한 재정수입 악화를 적기에 막아주는 구원투수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지만, 지난해 경기침체와 링깃화 가치 하락으로 인한 물가안정 요소 덕분에 GST의 인플레이션 요소가 일시적으로 억제됐을 뿐이라는 분석도 경청해야 함.

 

  따라서 올 상반기에 링깃화와 유가가 회복세로 돌아서게 되면, GST 도입 부작용으로 물가상승 압박이 뒤늦게 발생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어할 것인지는 말레이시아 재정당국의 과제로 남아있음.

 

 

자료원: 말레이시아 언론(The Edge), 딜로이트 발표 자료 및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globalwindow.org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