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라오스 경제특구 투자진출 유망한가

라오스 KOTRA 2021/05/24

- 라오스 12개 경제특구 운영 중 -
- 입주기업들은 제공되는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에 만족 -
- 라오스 경제특구, 산업단지로는 제역할을 못하고 있으나, 잠재력은 있어 -

 
라오스는 2003년부터 경제특별구역(경제특구)를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전력, 광산 등 자원, 해외 유무상 원조에 의존해서는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경제특구에 힘을 쓰는 모습이다.

라오스, 12개 경제특구 운영 중
라오스는 2003년 Savan-Seno 경제특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12개의 경제특구를 운영 중이다.

라오스의 경제특구 건립은 중국이 주도하고 있다. 12개 중 6개가 중화권 자본이 들어갔고 입주기업들도 대다수 중국계다. 베트남은 Longthanh Vientiane 특구를 지정 받아 프로젝트에 착수했으나 골프장 건설 이후 코로나 등의 여파로 프로젝트가 멈춘 상태다.

일본은 라오스, 홍콩 민간기업과 참파삭주에 경제특구를 설치했다. 4개 존으로 구분되어 있는 참파삭 경제특구는 11,152헥타르로 12개 경제특구 중에서 가장 큰 규모다. 특히 1개 존은 팍세-일본 중소기업 특구(Pakse-Japan SME Special Economic Zone)로 일본 기업 또는 일본과의 합작기업만 입주가 가능하다. 일본의 KOTRA인 제트로(JETRO)에서 프로모션 및 기업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은 라오스에 대한 프로젝트 투자 규모 대비 자체적인 경제특구를 갖추고 있지는 못하다. 지난 해까지 프로젝트 투자규모는 중국(122억6000만 달러), 태국(47억2000만 달러), 베트남(40억5000만 달러), 말레이시아(7억9000만 달러), 한국(7억5000만 달러) 순이다.

라오스 경제특구 현황
자료: Special Economic Zone Promotion and Management Office 제공 자료


경제특구에는 총 895개사가 입주해 누적 납입자본금이 140억 달러 규모다. 중국이 압도적으로 많다. 투자기업 수 기준으로 66.6%, 납입자본금 기준 44.6%에 달한다. 해외투자 국가 기준으로 중국 다음으로 태국, 일본, 말레이시아 순이다. 한국은 경제특구 총괄 오피스 측으로부터 5개사가 있는 것으로 자료를 받았으나 현재 남아있는 기업은 없다.

경제특구 기업 유치 실적
(단위: 개사, USD)
자료: Special Economic Zone Promotion and Management Office 제공 자료


경제특구는 법 테두리 내에서 인센티브를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하고 있다. 부가세의 경우 수출을 위해 생산하는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서는 영세율을 적용하는 특구가 있다. 수출 활성화를 위해 관세를 면제하는 경우도 있다. 라오스는 통상적인 업종의 경우 법인세율이 20%인데, 단서조항이 있으나 상당히 매력적인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특구별, 투자업종별로 차이가 있으나 2년에서 16년까지 법인세를 면제하고 있다.

경제특구별 인센티브 제공 현황
자료: 라오스 Special Economic Zone Promotion and Management Office 제공(2021년 4월)


입주기업들은 경제특구 맞춤형 서비스에 만족
라오스는 경제특구별로 상이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며, 예기치 못한 리스크에 대응해서 다양한 추가 혜택을 제공한다. 대다수 국가와 유사하게 입주기업에 대해 비자, 영업허가권, 수출입 허가 등에 대해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 내에 소재하고 있어 투자가들로부터 인기가 높은 Saysettha 경제특구 입주 해외투자기업들을 직접 인터뷰한 결과 ▷입주기업에 따라 세제혜택 종류 및 기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현지 기관 및 기업과의 네트워크 지원뿐만 아니라 비자, 라이선스, 수출입 등 관련 지원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며, ▷위치가 좋다는 장점과 함께 전력공급이 안정적이지 않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됐다. 비엔티안이 타 지역 대비해서 전력공급 사정이 낫다는 점을 고려할 때 24시간 안정적 전원공급이 필수인 업종의 경우 라오스 진출을 재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Jaykal LED Solution사 Hatsady Inthahak 대표 (미국 투자기업)



Hoya Laos사 Latda 이사 인터뷰 (일본 투자기업)



Laos Sanrui Building Material사 Lin Zhong Bin부장 (중국 투자기업)



Laos Tiantai Textile Garment사 Wang Yiao Chao 부장 (중국 투자기업)


 
Beauty Creation사 Xu Wen Tao 부장 (중국 투자기업)



라오스 경제특구 투자진출 유망한가?

라오스는 저렴한 인건비가 장점이다. 주변국들의 인건비가 상승한 반면 라오스는 그대로 멈춰 있기에 노동집약적인 산업에서 라오스를 활용한다면 부가가치를 낼 수 있다. 또 중국과 동남아를 연결하는 지정학적 위치가 큰 장점이다. 특히 현재 진행 중인 라오스-중국 고속도로 및 철도건설이 완료되면 원자재는 중국에서 가져와서 제조를 하고 주변 동남아 국가로 수출을 하는 모델을 고려해볼 수 있다.

저렴한 인건비, 다양한 인센티브와 세제혜택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라오스가 투자 대상국으로 유망한 것은 아니다. 라오스의 경제특구들은 다국적 대기업들의 진출이 미진하여 산업단지로 제역할을 못하고 있다. 현재 Champasak, Saysettha Development Zone, Savan-Seno등을 제외하고는 산업단지 라기보다는 주택단지, 관광단지 수준이다.

한국에 공장이 있고 해외에 첫 투자진출을 한다면 라오스에 공장을 설립하는 것은 말리고 싶다. 반면 태국, 중국, 베트남 등 연접한 지역에 생산시설이 있고 밸류체인 상에서 일부를 이전시킨다면 라오스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실제 현지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들을 보면 태국, 베트남에 공장이 있으며, 일부 인건비 절감이 필요한 공정을 라오스로 옮겨 생산 거점을 연결해 성공한 케이스다. 일본 니콘(Nikon)사는 지난 2013년 10월에 Savan-Seno 경제특구에 공장을 설립해 태국 생산거점과 연결시켰다. 디지털카메라 부품생산 일부를 태국에서 라오스로 하청을 주는 방식이다. 또 세계적인 렌즈 전문회사인 프랑스 에실로는 1,400만 달러를 투자해 Savan-Seno 경제특구에 공장 및 트레이닝 센터를 설립했다. 연 2,000만 개의 UV차단 렌즈 완제품을 라오스에서 생산한다. 에실로 관계자에 따르면 동남아 지역 생산시설 9곳이 각각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보니 상호 협력해 시너지가 나고 있다고 밝혔다.

라오스 경제특구에 투자진출을 고려한다면 현재 프로젝트가 진행 중인 비엔티안 로지스틱스 파크(Vientiane Logistics Park)를 한 번 고려해볼 만하다. 최근 일본 제트로(JETRO)가 라오스를 활용한 일본 기업들의 재수출 전략을 내걸고 해당 파크의 디벨로퍼와 MOU를 체결했다. 비엔티안 로지스틱스 파크는 라오스-태국 우정의 다리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태국 북부지역에 대한 접근성이 뛰어나며, 향후 라오스-중국간 철도가 건설되면 중국까지도 육상 물류 채널을 활용할 수 있다.

또 Savan-Seno 경제특구도 고려할 만하다. 해당 특구에는 4,000명 규모의 149개사가 입주해 제조업이 활성화되어 있다. 해외 투자기업 수가 줄고 있지만, 긍정적으로 보면 훈련된 제조업 노동자가 많이 남을 것이라는 의미도 된다.

루앙프라방 경제특구는 2017년 승인을 받아 현재 인프라 건설이 한창 진행 중인데 현지에 호텔사업, 프랜차이즈 진출을 검토하는 기업이라면 한번 검토할 만하다. 루앙프라방은 라오스 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시 자체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록되어 있다. 코로나 이전까지는 라오스 관광산업을 견인했던 곳이다. 경제특구에는 관광타운이 조성되는데 국가별로 구분을 해서 운영할 계획이라고 한다. 코리아타운도 그중 하나다. 코리아타운은 300에서 500미터 길이로 검토 중이다. 현재는 투자가를 모집하는 단계이나 곧 해당 타운 건설을 위한 EPC 프로젝트도 발주될 예정이라 관심있는 한국 기업은 참여를 검토해볼 수 있다. 관광타운의 하드웨어가 구축되면 추후 한국 프랜차이즈 진출기회도 올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Special Economic Zone Promotion and Management Office제공 등 KOTRA 비엔티안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