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캄보디아 경제 동향 (2022.8.20-8.26)

캄보디아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 2022/09/07

[경제/사회]

■. 1-7월, 캄-UK 양자교역 작년 대비 45.4% 증가 

ㅇ 캄 관세총국(GDCE)의 집계에 의하면, 올해 1-7월간 캄-UK간 양자교역액은 5.81억 달러로 작년 동기의 3.99억 달러 대비 45.5% 증가함.  
- 캄보디아의 대 UK 수출은 5.28억 달러로 43.08% 증가, 수입은 53.6백만 달러로 74.48% 증가
※ 주요 수출품 : 의류, 신발, 핸드백, 자전거, 농산물
   주요 수입품 : 차량, 기계, 전기·전자부품, 건축 자재
- 한 편, 름 헹(Lim Heng) 캄보디아상공회의소 부회장은 “영국이 캄보디아의 대 UK 수출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신규 무역제도인 DCTS*를 조율 중에 있으며, 2023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하고, “DCTS가 EU의 EBA 일부(20%) 철회로 인한 손실을 일부 만회하고, 동 제도를 기반으로 한 유럽계 기업들의 대캄 투자 및 수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 주 캄 영국 대사관은 작년 7월 보도자료를 통해, 영국 정부가 캄보디아를 포함한 저소득 국가들과의 교역을 촉진하기 위한 신규 무역제도 ‘영국-개발도상국 무역제도(Developing Countries Trading  Scheme,DCTS)’에 대한 협의를 시작했으며, 70여개국에 적용될 예정인 동 제도는 관세 인하 및 원산지 규정간소화 등의 개선사항이 포함되어 있다고 발표함.
(Phnom Penh Post 8/22, 1·6면)(Khmer Times 14면)

■. 1-7월 중국 검역 규제 강화로 망고수출 27% 감소

ㅇ 캄 농림수산업부의 집계에 의하면 올해 1-7월간 캄보디아는 약 11.8만톤의 망고를 수출하였으며, 이는 작년 동기 대비 26.84%가 감소한 수치임.
※ 생망고 주요 수출시장 : 베트남(53.11%), 태국, 중국, 한국, 홍콩 순서
- 웽 사콘  농림수산장관은 특히 동기간 망고와 바나나, 중국 시장을 겨냥한 신선 농산물의 수출이 감소했다고 하면서, 중국 세관 당국이 수입 바나나 포장지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발견함으로써 검열조건이 까다로워진 것이 대중 농산물 수출 감소의주요 원인이라고 밝힘.
(Phnom Penh Post 8/23,k 6면)

■. 프놈펜시 고가도로 2개 추가 건설

ㅇ 까읏 차에(Koeut Chhe) 프놈펜시 부지사는 8.22(화) 언론인터뷰를 통해, 프놈펜시의 교통혼잡을 해소하기 위해 이번달말 2개*의 추가 고가도로 건설에 착공할 예정이라고 밝힘. 
* 하나는 뽀사엔쩨이(khan)지역에 다른 하나는 미은쩨이(khan)와 쩜까몬(khan)의 교차지역에 건설
※ 현재 프놈펜시에는 6개의 고가도로가  있으며, 1개(르세이까에우 지역)는 공사 중
(Phnom Penh Post 8/23, 3면)

■. 캄-방글라데시, 캄보디아산 쌀 수출입 논의

ㅇ 웽 사콘 농림수산부장관은 8.22(월) Mohammed Abdul Hye 방콕 주재(캄보디아 담당) 방글라데시 대사와 캄보디아산 쌀 수출입에 관한 실무 회의를 가짐.(출처: 농림수산부 페이스북) 
- 농림부는 동 회의는 지난달(7.17) 있었던 훈 센 총리와 A.K Abdul Momen 방글라데시 외교장관간 회담의 후속 조치라고 언급
- 회의에서 Mohammed 대사는 현재 방글라데시는 국내 쌀 공급의 부족으로 연간 1백만-1.5백만톤의 쌀을 수입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으며, 웽 사콘 장관은 방글라데시의 캄보디아산 쌀 수입을 위해서는 △방글라데시-캄보디아쌀연맹(CRF)간 협력을 확대하거나 △캄보디아내  전국적으로 약 1천개 이상 존재하는 농업협회에 대한 방글라데시의 투자(계약 재배, 보관 창고, 정미기계, 농업협회로부터 쌀 직구 등) 등의 방법이 있다고 제안함.
- 웽 사콘 장관은 또한, 현재 캄보디아는 약 6백만 톤의 잉여 식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수출을 위한 품질 제고, 안전한  포장 및 가공을 추진 중에 있어, 방글라데시의 쌀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함. 
(Phnom Penh Post 8/24, 6면)(캄 농림부 SNS 8/22)     

■. 1-7월 후추 수출 작년 대비 약 69% 감소

ㅇ 캄 농림수산업부의 집계에 의하면 올해 1-7월간 캄보디아산는 총 6,990톤의 후추를 수출했으며, 이는 작년 동기 대비 69.04% 감소한 수치임. 
- 1위 수출시장은 베트남으로 동기간 약 6,298톤(90,10%) 수출
- Mak Ny 캄보디아 후추·향신료 협회(CPSF) 회장은 언론인터뷰(8.23)에서, “후추 산업이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후추에 대한 전 세계 수요 감소 추세 및 이로 인한 후추 가격의 하락(전년 대비 10%)과 이상 기후로 인한 수확 감소, 보관 설비 부족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밝힘. 
(Phnom Penh Post 8/25, 6면)

■. 캄 정부, 연말까지 3억 달러 규모 국채 발행 

ㅇ 캄 경제재무부(MEF)는 8.25(목) 캄 정부가 올해 9월부터 12월말까지 총 8차례에 걸쳐 1차 3억 달러 상당의 3가지 형태의 국채를 발행한다고 발표함.
- MEF는 캄보디아중앙은행(NBC)을 수탁기관으로 하여 1·3·5년 만기의 액면가 $250의 국채를 발행하며, 6개월에 한 번 이자 또는 이표(coupon) 지급하고, 투자자들에 대해서는 매매로 인해 발생한 양도세 면제 및 원천징수세 절반 삭감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고 밝힘.
- 한편, 첫 단계에서는 국가사회보장기금(NSSF), 은행 및 보험회사 등을 대상으로 투자를 받고 점차 투자대상을 대중들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함. 
(Khmer Times, Phnom Penh Post 8/26, 1면)

■. 캄 정부, 26개월간 재난지원금 총 7.75억 달러 제공

ㅇ 캄 사회·보훈·청소년재활부는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차원의) 빈곤·취약계층 약 70만 가구를 대상으로 2020.6.25.부터 올해 8.24까지 26개월간 총 10차례에 걸쳐 약 7.75억 달러를 지급했다고 밝힘. 
(Phnom Penh Post 8/26, 3면)

■. 1-7월 캄-태 양자교역 작년 대비 26% 증가

ㅇ 올해 1-7월간 캄-태국 양자교역액은 약 27.81억 달러로 작년 동기의 21.99억 달러 대비 26.46% 증가함. 
- 동 기간 캄보디아의 수출은 5.59억 달러로 38.36% 증가, 수입은 22.22억 달러로 23.85% 증가 
- 주요 수출품 : 농산물
  주요 수입품 : 자동차, 연료, 건축자재, 비료, 식품, 화장품
※ 양국은 제6차 공동무역위원회(JTC)회의에서 2020년 양자교역 목표액을 150억 달러로 책정한 바 있음.
※ 올해 1-7월 기준 태국은 중국(69.7억 달러), 미국(58.9억 달러), 베트남(37.6억 달러)에 이어 캄보디아의 제4위 교역국임.

(Khmer Times 8/26, 14면)     

■. 시하누크주, 범죄 단속 강화 발표 

ㅇ 쁘레야시하누크 주 당국은 8.25(목) 꾸읏 쩜라은 주지사가 주재한 회의에서 최근 증가하고 있는 범죄들인 인신매매, 근로자 불법 고용 및 학대·구금에 연루된 사업체들에 대해 수사하고 수사 결과에 따라 범법자 체포 및 사업장 폐쇄 등의 엄중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발표함. 
(Khmer Times 8/26, 1면)

[대외 협력]

■. UNCDF, 캄보디아 증권부문 역량 개발 지원 

ㅇ 유엔자본개발기금(UNCDF)은 8.18 캄측과 캄보디아의 증권부문 발전을 위한 제도적 역량개발과 인적 역량개발의 이행을 지원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MOU를 체결함.  
- MOU는 Preeti Sinha, UNCDF 사무총장, Sou Socheat 캄보디아 증권거래감독원(SERC) 사무총장, Hong Sok Hour 캄보디아증권거래소(CSX)* 이사장간 체결됨.  
* CSX는 2012년 캄보디아 정부 지분 55% + 한국거래소 지분 45%의 합작으로 출범. CSX에 상장된 상장사는 총 16곳(주식 9곳, 채권 7곳), 약 3.1만명의 투자자들이 거래 계좌를 개설, 이 중 약 10%는 외국인 투자자
(Phnom Penh Post 8/22, 6면, Khmer Times 14면)

■. EuroCham, 지뢰제거부문 지원

ㅇ 재캄 유럽상공회의소(EuroCham)*는 8.24(수) 캄보디아지뢰제거 및 희생자지원국(CMAA)과‘2025년 지뢰없는 캄보디아’목표달성을 지원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함. 
* 회원수 300여명
(Phnom Penh Post 8/25, 2면)

[코로나19 동향]

■. 신규 확진 및 사망

ㅇ 7일(8.20-8.26)간
- 신규 확진 :  총 142명(PCR, 오미크론)
                1일 평균 20명
  ※ 해외 유입 : 0명
 - 사망 :  0명

ㅇ 8.26(금) 07:00 기준
- 누적 확진 : 137,519명(해외 유입 21,232명)
- 사망 :   3,056명 

■. 보건부, 백신 추가 접종 촉구

ㅇ 오반딘 보건부 대변인 겸 국가 코로나19 백신접종 위원회 위원장은 현재 1차 및 2차 접종을 완료한 국민들의 수는 약 1,450만 명, 3차 접종까지 완료한 국민들의 수는 약 천만 명이라고 하고, 아직 3차 접종을 하지 않은 400-500만 명이 3차 접종을 서두를 것을 촉구하는 한편, 노동부, 교육부와 협력하여 봉제근로자들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4차 및 5차 접종을 진행 할 것이라고 밝힘.
- 8.20 기준, 약 4백만 명이 4차 접종· 약 60만 명이 5차 접종 완료  
(Phnom Penh Post 8/22, 3면)

■. 백신 접종 통계 

ㅇ 8.25(목) 기준 누적 코로나19 백신 접종자수 : 15,163,026명
- 전체 인구 16백만 명 기준 접종률 : 94.77%
※ 18세 이상 약 10백만 명 기준 접종률 : 103.55%
※ 12-17세   약 2백만 명 기준 접종률 : 100.95% 
※  6-11세   약 1.9백만 명 기준 접종률 : 109.90% 
※ 5세   약 30만 명 기준 접종률 : 138.17%
※ 3-5세미만 약 61만 명 기준 접종률 : 74.95%
(보건부 SNS 8/25)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캄보디아 우유 시장동향 2022-08-25
다음글 프놈펜 무역관 뉴스레터 (2022.8.29) 2022-09-03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