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인도네시아 폴리우레탄 시장 동향

인도네시아 KOTRA 2023/06/05

인도네시아 폴리우레탄 시장 동향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 3921.13(폴리우레탄으로 만든 그 밖의 판ㆍ시트(sheet)ㆍ필름ㆍ박(箔)ㆍ스트립)

폴리우레탄은 플라스틱 소재의 일종으로 탄성, 내마모성, 가공성이 우수해 산업 및 소비재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성형 방식에 따라 폼(foam)과 비폼(non-foam)으로 나뉘며 폼은 강도에 따라 경질, 반경질, 연질로 구분하고, 비폼은 용도에 따라 코팅제, 접착제, 실란트, 엘라스토머(탄성체)와 기타로 구분한다. 폴리우레탄이 사용되는 제품의 예로는 가구∙침구∙카시트용 완충제, 건물 및 가전제품용 단열재, 목공용 접착제, 바닥 코팅제, 의류 및 기타 섬유 등이 있다.  



시장동향

인도네시아는 건설 및 자동차 산업의 성장, 가정 및 기업에서의 단열재 사용 증가, 섬유유리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복합소재의 인기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폴리우레탄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통게청(BPS)에 따르면 2022년 인도네시아의 폴리우레탄 국내 소비량은 전년 대비 46% 증가한 12,645톤에 달했다.  



<인도네시아 폴리우레탄 소비량(2018~2022년)>

(단위 : 톤)
[자료 :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수입동향

폴리우레탄(HS CODE 392113)에 대한 인도네시아의 최근 5개년 수입 동향을 살펴보면 코로나19로 잠시 주춤했지만 회복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에는 전년 대비 42.9% 증가한 7,527만 달러를 기록했다.



<인도네시아 폴리우레탄(HS CODE 392113) 수입동향(2018~2022년)>

(단위 : 만 달러, %)


[자료 :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2022년 인도네시아 폴리우레탄 제품(HS 코드 3921.13)의 주요 수입국은 중국, 베트남, 한국, 일본 순이다.  한국은 인도네시아의 제3위 수입국인 가운데 2022년 수입국 점유율은 22.2%를 기록했다.

<인도네시아 폴리우레탄(HS CODE 392113) 주요 수입 국가(2018~2022년)>
(단위 : 만 달러, %)
[자료 :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인도네시아 통계청에 따르면 HS 코드 3921.13에 해당하는 제품의 수입은 주로 연질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위 품목을 살펴보면 2022년 HS 코드 3921.13.99(접시 시트 및 필름 외)의 수입금액은 3,582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48%를 차지했다. 그 뒤로 HS CODE 3921.13.91(비강성 형태의 플레이트 및 시트)가 38%를 기록했다.

 

유통구조


인도네시아의 폴리우레탄 관련 제품 유통은 B2B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입 및 유통사가 폴리우레탄을 인도네시아 제조업체 또는 도매 공급업체에 판매하는 구조이다. 제품에 따라 건축자재점, 산업용품 점 등 폴리우레탄 관련 상품을 판매하는 소매점도 있다.



경쟁동향


폴리우레탄을 포함한 인도네시아아의 플라스틱 시장은 대형 다국적 기업들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무역부에 따르면 그 중에서 BASF(독일), 롯데케미칼(한국), Toray(일본), Polychem(인도네시아)의 4개 기업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롯데케미칼(한국)을 제외한 플라스틱 산업의 주요 시장 참여자는 아래의 표와 같다.



<인도네시아 플라스틱 산업의 주요 기업> 
[자료 : 각 기업 홈페이지]





관세율 및 수입규제

폴리우레탄 시트의 경우 하위 코드별, 협정 유형별 적용되는 관세가 다르다. 경질 폴리우레탄(HS 코드 3921.13.11 및 3921.13.19)의 경우 IK-CEPA, RCEP을 통해 통관할 경우 0%의 관세율을 적용 받을 수 있다.

<폴리우레탄(HS CODE 392113) 하위 코드별 관세율>
(단위: %)
[자료: 인도네시아 관세청

(AK-FTA) PMK 45/PMK.010/2022 / (IK-CEPA) PMK 227/PMK.010/2022 / (RCEP) PMK-223/PMK.010/2022]



시사점

인도네시아에서 폴리우레탄 제품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만큼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폴리우레탄 제품을 수출하고자 한다면 현지 시장 동향 등에 대한 사전 조사가 필수적이며 최종 사용 산업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설, 자동차, 가구 및 전자 산업과 같은 산업은 폴리우레탄 제품의 메인 소비자로서 산업의 구체적인 요구사항과 선호도를 이해하는 것이 요구된다.

 

자료: 인도네시아 재무부, 인도네시아 관세청, 인도네시아 통계청, 인도네시아 무역부, 각 업체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