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인도네시아 5월 인플레이션 발표 (4.00%)

인도네시아 주인도네시아 대한민국대사 2023/06/22

2023.6.5.(월) 인도네시아 통계청은 5월 인플레이션 통계를 발표한 바, 관련내용 아래 공유합니다. 



1. 핵심내용



 o 전년대비 인플레이션(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4.00%로, (22.5월 3.55% 이후) 12개월만에 최저수준으로 떨어졌고, 인니 중앙은행(BI)의 목표치인 4% 이내로 돌아왔으나, 당분간 급격한 금리 인하는 예상되지 않음.





2. 관찰 및 평가



 o (현황 분석) 전년대비 인플레이션 4.00%는 무디스평가사(4.00%), 뻐르마따 은행(4.24%), KB Valbury 증권(4.25%) 등의 예측치와 일치하거나 더 낮은 수준임.

   - 중앙은행은 연초까지만 해도 금년 하반기(또는 9월) 내에 인플레이션을 목표범위(3.0%±1%) 내 관리하는 것을 기준으로 삼았으나, 예상보다 빠른 시점에 기준에 도달한 것으로 보임.



 o (기준금리) 중앙은행은 23.1월 5.75%로 기준금리를 인상조정한 후, 23.2월~5월 동안 동결한 바 있음. 경기부양을 위한 정부의 기준금리 인하 바람에도 불구하고,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과 엘니뇨의 잠재적 영향을 감안할 때, 시장에서는 인니 기준 금리인하가 내년에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음.





3. 상세내용

 

 가. 항목별 검토

 o (전년대비) 2023.5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전년대비)은 4.00%로, 지난 달 수치에 비해 -0.33%P 하락하였음. 주요 상승항목은 교통(10.62%),식음료·담배(4.27%), 주택·물·전기·가정용연료(2.48%)이며, 정보통신·재무 서비스만 하락(-0.27%)함.  

  * CPI 상승률(Y-on-Y): 2021년(1.55%, 1.38%, 1.37%, 1.42%, 1.68%, 1.33%, 1.52%, 1.59%, 1.60% ,1.66%, 1.75%, 1.87%)

                           2022년(2.18%, 2.06%, 2.64%, 3.47%, 3.55%, 4.35%, 4.94%, 4.69%, 5.95%, 5.71%, 5.42%, 5.51%)

                           2023년(5.28%, 5.47%, 4.97%, 4.33%, 4.00%)



 o (전월대비) 2023.5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전월대비)은 0.09%로, 지난 달 수치에 비해 -0.09%P 하락하였음. 주요 상승항목은 식음료·담배(0.48%)이며, 하락항목은 교통수단(-0.56%), 의류·신발(-0.46%)임.

   * CPI 상승률(M-to-M): 2021년(0.26%, 0.10%, 0.08%, 0.13%, 0.32%, -0.16%, 0.08%, 0.03%, -0.04% ,0.12%, 0.37%, 0.57%)

                          2022년(0.56%, -0.02%, 0.66%, 0.95%, 0.40%, 0.61%, 0.64%, -0.21%, 1.17%, -0.11%, 0.09%, 0.66%)

                          2023년(0.34%, 0.16%, 0.18%, 0.33%, 0.09%)





 나. 금융기관별 분석



 o (인니 중앙은행)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09%로서, 지난달 수치 0.33% 대비 하락하였으며, 전년대비는 4.00%로서 지난달 수치 4.33% 대비 역시 하락함.

    - 근원인플레이션*은 전년대비 2.66%로 지난달 수치 2.83%보다 낮으며, 중앙은행은 2023년 남은 기간 동안 인플레이션이 목표범위(3.0%±1%) 안에서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라 확신함.

    * 근원인플레이션(Core Inflation): 기초경제여건으로 결정되는 물가상승률의 의미하며, 본래의 소비자물가상승률에서 농산물․원자재 등을 제거하여 계산함.



 o (다나몬 은행) 디스인플레이션(인플레이션에 대비한 경제조정정책)이 부문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생하였음. 금년 전체 인플레이션은 3.8%를 예상함.



 o (샤리아 은행) 인플레이션의 하락세가 단기적으로 계속될 것이나, 최근 엘니뇨 등 기상 현상이 농업 생산량을 방해할 경우 식품 가격이 상승할 위험이 있고, 학생 방학 등에 따른 교통 요금 인상도 주시해야 할 부분임.  



 o (뻐르마따 은행) 근원인플레이션의 상당한 둔화는 다른 의미로 소비성장의 둔화를 의미하므로, 경기 악화에 대한 가능성도 열어두어야 함. 금년 전체 인플레이션은 3%~3.5%를 예상함. /끝/.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