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필리핀 휴대전화 시장 동향

필리핀 KOTRA 2023/06/28

공급망 완화로 필리핀 휴대전화 시장 성장 전망

첨단 기술이 탑재된 스마트폰 수요 증가

상품명 및 HS Code

휴대전화 (HS Code: 8517.12)

 

시장 규모 및 동향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22년 필리핀 휴대전화 판매량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정부의 봉쇄 조치와 글로벌 공급망 마비로 인해 전년 대비 2.4% 감소한 19,447대를 기록하였다. 휴대전화는 피처폰과 스마트폰으로 구분되는데, 2022년 피처폰 및 스마트폰 판매량은 각각 156만 대, 1,789만 대를 기록했다. 2023~2027년 필리핀 휴대전화 판매량은 공급망이 완화됨에 따라 연평균 3.3% 증가하면서 2027년에는 2,284만 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필리핀 모바일 휴대전화 판매량 추이>

(단위: 천 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424346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10pixel, 세로 556pixel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2022년 필리핀 인터넷 이용자는 전체 인구수의 73.1%인 8,516만 명이며 중국, 인도, 미국 등에 이어 세계 인터넷 사용자 수 10위를 차지하고 있다. 2022년 필리핀 스마트폰 이용자 수는 8,467만 명이고 지속 증가할 전망이다.

 

<필리핀 스마트폰 이용자 수>

(단위: 만 명, %)
[자료: 스태티스타(Statista)]

 

수입 현황

 

2022년 기준 필리핀 휴대전화 총수입액은 전년 대비 10.7% 감소한 약 7억 9,959만 달러를 기록했다. 최근 수입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싱가포르(43.65%)로 약 3억 4,899만 달러를 기록하며 베트남(29.49%), 중국(14.92%), 인도네시아(6.73%), 홍콩(2.48%), 인도(2.43%), 한국(0.12%), 미국(0.07%), 아랍에미레이트(0.02%), 태국(0.01%) 순이다. 



한국 휴대전화 수입액은 약 98만 달러로 전체 수입국 중 7위를 기록했다. 다만,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등 다수 국가에 한국 휴대전화 제조공장이 있어 해당 국가 수입액에 한국산 휴대전화 수입액이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필리핀 휴대전화 수입 추이>

(단위: 천 달러, %)

(HS Code: 8517.12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 동향 및 주요 기업

 

<필리핀 내 주요 휴대전화 판매 기업>
[자료: KOTRA 마닐라무역관 자체 정리]



 

유통구조

 

휴대전화는 전문판매점(Realme store, Samsung Store, Oppo Store)을 통하여 구매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필리핀 휴대전화 전문판매점은 대부분 쇼핑몰(SM mall, Ayala mall, Robinsons mall 등) 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자상거래의 발전으로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다. 2022년 온라인 판매 점유율은 전년 대비 27.7% 증가한 23.5%를 기록하였으며,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필리핀 휴대전화 주요 유통채널별 점유율>

(단위: %)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필리핀 휴대전화 주요 유통채널>
[자료: KOTRA 마닐라무역관 자체 정리]

 

관세율 및 수입 규제

 

휴대전화(HS Code: 8517.14.00)의 경우, 기본세율(MFN) 0%, 한-아세안 FTA 활용 세울(AKFTA) 0%로 조회된다. 단, 이는 HS Code: 8517.14.00 기준으로 HS Code 변동 시 관세율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필리핀 관세청에서는 HS Code: 8517.12.00가 HS Code: 8517.14.00으로 분류된다. 

 

<휴대전화(HS Code: 8517.14.00) 관세율 조회 결과>
[자료: Philippine Tariff Commission]

 

필리핀 통신위원회(NTC / National Telecommunications Commission)는 필리핀 내 모든 통신 서비스를 규제하는 기관으로 고객 댁내 장치(CPE / Customer Premises Equipment)와 무선 통신 설비(RCE /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등을 관리하며 관련 증명서를 발급한다.

 

휴대전화 수입 시 사전에 필리핀 통신위원회(NTC)로부터 수입 허가서(Permit to Import)를 발급받아야 하며, 유통하기 위해서는 관세청(BOC / Bureau of Customs)의 수입 면허(License to Import)가 필요하다. 필리핀 통신위원회(NTC)에서 발행하는 수입 허가서는 발행일로부터 90일 동안 유효하다.

 

수입 허가 업체로는 1) 무선 장비 제조업체 또는 판매업체, 2) 무선 통신망의 설치, 운영 및 유지를 관리하는 필리핀 통신위원회(NTC)의 허가를 받은 개인, 민간, 정부, 방송기관, 3) 저전력 단거리 기기를 사용, 운영하고자 하는 개인, 민간, 정부 기관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서류들을 제출해야 한다.

 

1) Registration/License as Importer

2) Register online to National Single Window(https://nsw.gov.ph)

3) Affidavit of Undertaking

(https://www.pntr.gov.ph/wp-content/uploads/2023/04/LICENSING_Affidavit-OMB-PS_06.01.2022_website.pdf)

4) Certified copy of Contract and/or Certificate of Ownership from the Source of Rights

5) Airway Bill of Lading

6) Certified copy of Commercial Invoice

7) Packing list

8) Import Permit fee: Php 500.00 / way bill or bill of lading

 

시사점

 

필리핀은 팬데믹의 영향으로 반도체 공급 문제를 심하게 겪었으며, 반도체가 탑재된 휴대전화 등 전자제품 시장은 여전히 회복하는 과정에 있다. 2022년 필리핀 모바일 게임 시장은 전년 대비 13.86% 상승한 11억5,000만 달러로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필리핀인은 더 크고 선명한 화면과 더 나은 품질의 스피커를 갖춘 스마트폰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필리핀 소셜미디어 사용자는 약 8,445만 명으로 필리핀 인터넷 사용자의 99.2%에 해당하며, 하루 평균 3시간 43분을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데 소비한다.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더 빠른 충전, 더 긴 배터리 수명, 더 나은 카메라가 탑재된 스마트폰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 기업은 필리핀 진출 시 SNS, 유튜브 등을 통한 마케팅으로 현지인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 스태티스타(Statista), 유로모니터(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Philippine Tariff Commission 및 KOTRA 마닐라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