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2023년 베트남 소비자용 제빙기 시장 동향

베트남 KOTRA 2023/09/04

더운 날씨, 외식 문화 변화 등으로 인해 냉음료 수요 확대... 얼음 소비량 증가

현지 진출 시, 제품 디자인 및 합리적 가격대 설정이 관건

품목명 및 HS 코드

 

제빙기는 HS CODE 제8418.69호 기타로 분류된다.

 

<제빙기 HS Code>


시장 동향

 

시장 규모 및 시장 동향

 

베트남의 소비자용 제빙기 시장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정확한 자료는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베트남의 소비자용 제빙기 시장은 환대산업(Hospitality industry)의 확대, 그중에서도 식음료 서비스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시장이다.

 

베트남 제빙기 산업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첫 번째 요인은 기후이다. 1년 내내 더운 날씨가 지속되는 남부 지역은 물론, 비교적 사계절이 뚜렷한 북부 지역에서도 여름이 오래 지속되기 때문에 베트남에서는 냉음료 수요가 높다. 냉음료에 대한 선호가 높은 덕분에 커피, 스무디 또는 씽또(Sinh To, 베트남식 과일 스무디), 기타 차 음료 등 소비되는 음료 종류가 다양하여 제빙기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두 번째 요인은 소득 증가에 따른 생활 양상 변화이다. 1인당 소득이 증가하면서 베트남의 생활 양상이 변화하기 시작했는데, 그 중 하나는 패스트푸드 체인, 카페 프랜차이즈 등 외식을 즐길 수 있는 곳이 다양해졌다는 점이다. 이에 가정 뿐만 아니라 요식업 매장에서도 얼음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들이 직접 얼음을 얼리는 전통적인 방식에서 편의와 위생, 그리고 얼음 대량 생산을 위해 제빙기를 사용하는 곳이 많아지고 있다.



이처럼 제빙기는 식음료 산업을 비롯한 환대산업 전반, 일반 소매 산업 등 다양한 업종에서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얼음 형태에 따라서는 큐브형(정육면체) 제빙기가 최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한다. 큐브형 얼음이 각종 음료를 비롯하여 활용처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이외에는 얼음 형태보다 제빙기의 디자인에 따라 수요가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며, 베트남 소비자들은 각 가정의 인테리어와 잘 어울리는 디자인의 제빙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분명히 성장 중인 시장이지만, 현재까지 베트남 전체 가전제품 시장에서 소비자용 제빙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적다. 그러나 기후, 요식업 산업 발전 등 제빙기 수요가 확대될 여지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입 동향 및 수입 상위 10개국

 

수입 규모

 

HS CODE 841869 품목은 2020년을 제외하고 조사 기간(2017~2021년) 내내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했다. 2020년 수입 감소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추정되며, 이를 제외하고는 매년 수입액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이에 따라 2017년 대비 2021년 수입액 증감률은 26.7%를 기록했다.

 

다만 HS CODE 841869 품목에는 소비자용 제빙기뿐만 아니라 다른 품목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수입액 추이는 관련 시장 규모를 추정하는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2017~2021년 HS CODE 841869 수입액 추이>

(단위: 1,000달러, %)

[자료: ITC Trademap]

 

상위 10개 수입국

 

베트남의 HS CODE 841869 품목 수입 시장에서 중국산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64.4%이며, 수입액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중국 역시 베트남처럼 제조업 아웃소싱의 장점을 누릴 수 있는 국가로, 모기업이 중국이 아닌 다른 국가에 위치하더라도 중국에서 제빙기를 생산하여 베트남으로 수출하는 물량이 많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2021년 對베트남 HS CODE 841869 품목 수출국 2위 및 3위는 한국과 스웨덴으로, 각각 11.9%, 4.1%로 중국의 뒤를 잇고 있다. 베트남의 한국산 HS CODE 841869 품목 수입액은 2019년 1,816만 달러를 기록한 후, 2021년 약 1,295만 달러로 감소했다.

 

 

<2019~2021년 베트남의 HS CODE 841869 수입 상위 10개국>

(단위: 1,000달러, %)
[자료: ITC Trademap]

 

경쟁 동향

 

베트남 제빙기 시장 내 브랜드는 그리 많지 않으며, 국외 브랜드 역시 티로스(Tiross) 이외에는 가전 분야 브랜드가 거의 진출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소비자용 제빙기 브랜드 중 소비자들에게 가장 친숙한 해외 브랜드는 티로스이다. 베트남 국내 기업들은 제빙기를 개발했지만, 소비자용 제빙기보다 산업용 제빙기 시장에 더 많이 포진해있다.

 

각 제품은 가격, 제품 상세사양 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 소비자용 제빙기 가격대는 브랜드 및 상세사양에 따라 약 200만 동(85달러)에서 500만 동(212달러)까지 다양하게 설정되어 있다.

 

<베트남 시장 내 유통 중인 제품>
주: 환율 1USD=23,600VND 적용 / 용량은 1일 최대 제빙 가능 용량

[자료: Shopee, Tiki]



베트남에 수입되는 가정용 제빙기 중 가장 대표적인 한국 제품은 ‘Olly’ 시리즈로, 한국 기업임에도 생산시설이 중국에 있어 중국에서 수입되는 것으로 집계되는 것으로 보인다. 해당 모델은 가격이 높은 편이라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지는 못하고 있다.

 

<베트남 시장 내 유통 중인 한국 제품>
주: 환율 1USD=23,600VND 적용 / 용량은 1일 최대 제빙 가능 용량

[자료: Shopee]

  

유통 동향

 

대부분의 소비자용 제빙기는 전자제품 전문 매장, 슈퍼마켓, 온라인 마켓플레이스(Online marketplace) 등의 소매 채널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는 오픈마켓으로도 불리며, 특별한 자격 조건 없이도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물건을 매매할 수 있는 인터넷 쇼핑몰을 말한다. 이러한 소매 채널 이용 및 접근 가능성은 소비자의 위치와 지역별 인프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베트남에서는 전자상거래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제공하는 각종 할인 및 프로모션 판매나 편의성으로 인해 많은 소비자가 온라인 채널을 통한 가전제품 구매를 선호한다. 티키(Tiki), 쇼피(Shopee), 라자다(Lazada) 등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제품을 쉽게 탐색하고 구매할 수 있어, 베트남 소비자용 제빙기 시장 성장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규제 동향

 

수입 관세

 

<HS CODE 841869 품목 베트남 수입 관세율표>

(단위: %)


주: HS CODE가 상이하여 원문으로 표기 / ATIGA - 아세안 자유무역협정, CPTPP -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자료: 베트남 관세총국(GDC)]

 

관련 법적 문서

 

소비자용 제빙기는 가정용 및 기타 유사 전기·전자 제품에 대한 전자파적합성(EMC, 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에 대한 베트남 국가 기술 규정 QCVN 9:2012/BKHCN 및 개정 1:2018 QCVN 9:2012/BKHCN을 따라야 한다.

 

 

시사점

 

베트남은 인구 성장, 구매력 향상 등으로 인해 향후 소비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평가를 꾸준히 받아왔다. 제빙기 시장 역시 예외는 아니다. 다만 일반 큐브형 제빙기 이외에 디자인이나 기능 측면에서 차별점이 있는 제품이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현지 언론 뚜오이쩨(Tuoi Tre) 보도자료>
[자료: Tuoi Tre]

 

제빙기는 대부분 제빙 및 얼음 보관 기능을 동시에 갖추어야 해서, 부피가 큰 직육면체 용기 형태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이런 획일적 디자인이 각 가정의 인테리어를 해친다는 점 때문에 주로 ‘얼음정수기 냉장고’와 같이 제빙 기능이 포함된 냉장·냉동고를 소비한다.

 

그러나 얼음정수기 냉장고는 가격대가 높게 형성되어 있고, 제빙 기능만을 위해 냉장고를 구매하지는 않기 때문에 합리적 가격대의 제빙기를 선호하는 가정이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색상, 모양 등에서 변화를 추구하되 제빙 기능에 충실한 제품을 통해 베트남 진출을 시도한다면, 베트남 제빙기 시장에서 한국 기업이 성공을 거둘 여지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동작성: Tang Thanh Lam

자료: ITC Trademap, Shopee, Tiki, 베트남 관세총국(GDC), 뚜오이쩨(Tuoi Tre), 클립아트코리아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베트남 자외선차단제 시장 동향 2023-09-04
다음글 베트남 Z세대 타켓 마케팅 트렌드 2023-09-04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