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시장뉴스] 베트남, 희토류 매장량 세계 2위

베트남 KITA 2023/10/16

주요내용
베트남, 희토류 매장량 세계 2위
베트남, 희토류 매장량 세계 2위
                                                                                                           
                                                                                                        한국무역협회 호치민지부

□  미국 지질조사국(US Geological Survey)에 따르면 전세계 희토류 매장량은 1억2000만톤이며, 베트남은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의 매장량을 기록

  ㅇ 일부 연구에 따르면 세계 희토류 시장은 약 81억 달러의 가치가 있으며, 2025년에는 144억 달러로 
       가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 희토류는 소량으로 기기의 성능을 극대화해 반도체, 스마트폰, 카메라, 컴퓨터 등 첨단 IT·전자제품 
         생산에 반드시 필요한 원료이며, 페인트, 배터리의 원료로 쓰이기도 함

  ㅇ 세계에서 희토류 매장량이 가장 많은 5개국은 중국(4400만톤), 베트남(2200만톤), 브라질(2100만톤), 
       러시아(2100만톤), 인도(690만톤) 순

  ㅇ 베트남의 희토류는 주로 북서부 지역에 분포함

      - 희토류 광산이 많은 지역은 라이쩌우(Lai Chau), 라오까이(Lao Cai), 옌바이(Yen Bai) 등이 있으며, 
         특히 라이쩌우(Lai Chau)에는 4개의 희토류 광산이 있으며, 전국 최대의 희토류가 매장되어 있음


□  향후 베트남의 희토류 개발 및 투자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

  ㅇ 자연자원환경부의“2021~2030년 광물 탐사·개발·가공 및 사용 일반계획”에 따르면 2030년까지 베트남은 
       연간 약 200만 톤의 희토류 원석을 채굴할 것으로 예상

      - 2031년부터 2050년까지 라이쩌우(Lai Chau)와 라오까이(Lao Cai)에 1~2개의 신규 희토류 광산이 
         개발돼 연간 채굴량이 10만톤 증가 예상

  ㅇ 베트남 희토류 시장에 한국 기업들의 투자가 증가할 전망

      - 그 이유는 베트남의 희토류 개발 잠재력이 높고, 기업들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임

      - 지난 6월 윤석열 대통령의 베트남 국빈 방문 때 양국간 희토류 등 핵심광물 공급망 부문에 대한 협력 강화를 
         합의하기도 했음


출처: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