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남아 반도체 허브로 도약하는 베트남

베트남 KOTRA 2024/01/16

미-중 경쟁으로 중국을 대체하는 반도체 생산기지로 부상

새롭게 형성되는 동남아 반도체 산업 생태계에서 베트남의 역할

최근 미국과 중국의 정상이 연이어 베트남을 방문하면서 동남아시아의 전략적인 교두보인 베트남을 끌어안기 위한 미중 양국의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특히, 미국은 정상의 베트남 방문기간 중 베트남과 반도체 파트너십을 체결, 베트남을 차세대 반도체 공급망으로 육성하기로 하여 귀추가 주목된다. 5G, AI, 블록체인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반도체 수요가 지속 증가하는 가운데 반도체를 포함한 전략 산업의 글로벌 생태계 변화로 삼성전자  주요 IT 기업의 글로벌 생산기지가 소재한 베트남이 차세대 반도체 생산기지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에는 반도체의 핵심 원료인 희토류 광산이 대거 분포돼 있어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서 베트남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베트남 반도체 산업 시장 규모


베트남 통계청 따르면,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통신산업은 이미 수년 전부터 베트남의 최대 수출 산업으로 부상했으며 그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베트남 전자통신산업의 2022 수출액은 1143 달러로, 2018년의 796 달러와 비교해 4년간 무려 44%의 비약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전자통신산업 내에서도 핸드폰  부품은 글로벌 핸드폰 시장의 침체 여파로 2018 500 달러에서 2022 593 달러로 수출 증가세가 상대적으로 완만했으나 여타 전자 및 컴퓨터 부품의 수출은 2018 296 달러에서 2022 555 달러로 2 가까이 증가하면서 새로운 수출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베트남의 전기전자 산업이 과거 완제품 조립 위주에서 반제품, 패키징, 설계 등으로 점차 고도화되고 있음을 짐작할  있는 대목이다.

 

<베트남 전자, 컴퓨터 및 부품 수출 규모>                      <베트남 핸드폰 및 부품 수출 규모>

(단위: US$ 십억, %)

[자료: 베트남 통계청]


미국 정부의 통계에 따르면, 미국으로 수입된 베트남의 반도체 금액은 2023년 2월 기준 약 5억6000만 달러인데 이는 1년 전인 2022년 2월의 약 3억2000만 달러에서 75% 가량 증가한 것이다. 베트남의 대미 반도체 수출금액은 말레이시아, 대만에 이어 아시아 3위에 해당하며 전체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11.6%를 차지하고 있다.


<10 주요 시장별 대미국 반도체  수입량>

(단위: US$ 백만)

[자료: 미국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

 

베트남이 미국과 2000 무역협정을 맺고 2006 미의회가 베트남과의 항구적 정상무역관계(PNTR) 승인하면서 베트남을 향한 해외직접투자와 베트남의 대외 수출이 급격히 급증했던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역사적 현실에 비춰 첨단 제품으로서 글로벌 교역구조 변화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는 반도체의 대미 수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다. AI가 고도로 발전하고 데이터 센터와 통신, 컴퓨터 장비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베트남이 글로벌 생산과 교역의 중심지로 발돋움할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베트남 반도체 생태계와 외국인투자기업 진출 현황

 

이러한 외형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반도체 산업은 여전히 취약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 반도체 밸류체인을 설계, 제조, 패키징  테스트로 나눠봤을  베트남의 밸류체인은 설계와 패키징  테스트로 한정돼 있으며 반도체 칩 제조는 100%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베트남에서 반도체 설계 관여하 기업도 베트남 군사산업통신그룹(Viettel, 비엣텔) 자회사인 Viettel High-Tech Industry Corporation(VHT) FPT뿐이며 패키징·테스트 관련 기업도 외자기업이거나 외국과 합작한 일부기업에 한정돼 있다.

 

< 제조의 기본 프로세스  주요 기업>

[자료: 현지 언론자료  다낭 무역관 종합]

 

설계와 패키징  테스트 분야는 초기에  투자가 필요치 않고 인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초기 진입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설계 부문은 대부분 외국 파트너사의 주문에 따른 아웃소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아웃소싱이 베트남 반도체 산업 설계부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0%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대만, 인도 등 주요국 기업 40여 개사가 베트남 반도체 산업에 투자했으며 인텔(Intel), 삼성(Samsung) 비롯해 세계 유수의 기업이 베트남 현지에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베트남 소재 주요 글로벌 반도체 기업 현황>

연번

회사명

국가

세부내용

1

앰코테크놀로지

Amkor Technology

미국

한국과 미국을 포함한 11개국 18개 생산기지를 운영, 삼성·SK하이닉스·LG·브로드컴·엔비디아·폭스콘·럭스쉐어(Luxshare)·고어텍(GoerTek) 등에 공급하는 세계 2위의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기업임. 2023년 9월 베트남 북부 박닌(Bac Ninh)성에서 반도체공장을 설립했음. 옌퐁2C산업단지(Yen Phong 2-C)내 23만 ㎡ 부지에 반도체 패키징·테스트 공장 설립에 2035년까지 총 16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으로 1단계 사업에서 5억2500만 달러를 우선 투자하기로 했음. 앰코테크놀로지 박닌성 반도체공장은 앰코테크놀로지의 글로벌 생산시설 중 최대 규모

2

하나마이크론
Hana Micron

한국

반도체 후공정기업으로, 2020년 베트남 자회사인 하나마이크론비나 제1공장을 베트남 박장(Bac Giang)성에서 준공했음. 이후 2023년 9월 제2공장 준공식을 치뤘으며 현재까지 베트남 투자 규모는 6만6000㎡ 규모 2개 공장, 약 6억 달러에 달함. 전체 인력의 70%를 베트남 생산기지에서 채용하고 지속적인 추가 투자를 진행하여, 베트남을 글로벌 최대 생산거점으로 활용한다는 계획

3

인텔

Intel

미국

2006년 호치민시 사이공하이테크파크(SHTP)에 베트남 현지 자회사인 인텔프로덕츠베트남(IPV)의 명의로 조립 및 테스트(ATM) 공장을 설립했음. 인텔의 글로벌 10대 제조공장 중의 하나이며, 현재는 5G 제품과 10세대 인텔 코어(Core) 프로세서 등을 생산. 반도체 수요 지속적으로 확대되자 2021 SHTP 공장에 47500만달러를 추가 투자했으, 현재까지 누적 투자액은 15억 달러에 달함.

4

삼성전기

Samsung Electro-Mechanics

한국

베트남 타이응옌(Thai Nguyen)성 공장에서 반도체 칩 그리드 제품 시험생산을 거쳐, 2023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생산할 예정이며, 2022년 12월에 타이응웬성 산업단지관리위원회에 투자제안서를 제출해  FCBGA(Flip Chip Ball Grid Array, 고집적패키지기판)와 부품 등의 생산라인을 증설을 추진 중 

[자료:   홈페이지 등으로부터 KOTRA 다낭 무역관 종합]

 

지난 9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베트남 국빈방문은 양국  경제협력 확대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지난 12 10   (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는 미국 엔비디아(NVIDIA) 회장  총괄이사인 젠슨 (Jensen Huang) 맞이하여 향후 베트남 반도체 분야에 협력에 대하여 논의했다.  자리에서 엔비디아의 베트남 생산 기반 구축, 글로벌 인재의 베트남 유치 등에 양측은 대화를 나눴으며 궁극적으로 반도체  인공지능 생태계 구축  개발, 스타트업 육성, 슈퍼컴퓨터 설계  개발 등을 베트남에서 진행하는 방안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구체적으로 밝혀진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베트남 투자진출 계획은 다음과 같다.

  - 반도체 장비 산업 분야 설계, 개발, 제조업체인 한미 반도체(한국)는 2023년 5월 말 박닌성에 한미 베트남 지점 운영 계획 발표

  - 전력 시스템 및 IoT용 반도체 솔루션 전문 기업인 인피니온 테크놀로지(독일)는 2023년 5월 사업 규모 확대 및 개발팀 설립 발표

  - 시놉시스(Synopsys, 미국)는 호치민시 하이테크 파크(High-Tech Park) 당국과 협력하여 반도체 설계 및 인큐베이션 센터 구축 계획

  - 전자 부품 및 반도체 제조 전문 중국 기업인 Victory Giant Technology는 베트남 박닌성에 총 4억 달러를 투자해 공장 설립 예정


베트남 반도체 산업의 잠재력과 향후 발전 계획

 

베트남은 반도체 제조에 있어서 필수적인 희토류의 매장량이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번째로 많은 (22만 톤)으로 알려져 있다. 기타 산업재인 알루미늄 보크사이트의 매장량은  58억 톤으로 기니의 74억 톤에 이어 세계 2 규모이며, 라오까이(Lao Cai) 지방에 소재한 신꾸엔(Sin Quyen) 광산의 구리 광석 매장량은  1 톤으로 추산되고 있다.

 

<  희토류 매장량> 

(단위: 만 톤)

[자료: 미국 지질조사국]


<베트남 희토류 주요 매장 지역>

[자료: 베트남 지질학 및 광물자원 지도]


아울러 베트남 마이크로칩 커뮤니티의 통계에 따르면, 베트남에는 현재  5500명의  설계 엔지니어가 활동 중이다.   (Pham Minh Chinh) 총리를 비롯한 베트남 정부는 반도체 분야에서 베트남  글로벌 기업의 투자 협력 촉진과 산업 발전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베트남 기획투자부, 정보통신부 등은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하여 2030년까지 5만 명의 엔지니어를 육성할 계획이다.



 

<2020~2023 베트남  설계 엔지니어의 성장>

(단위: )

<베트남  설계 관련 기업  지역별 인력배치 비율>

[자료: 베트남 마이크로칩 커뮤니티]


베트남 중부도시인 다낭에서도 현재 반도체 칩 분야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다낭시 정부는 해외 유관기관과 협업하여 반도체 칩 인적자원 양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진출기업, 전문가들을 유치하기 위해 힘쓰고 있으며 현지에 소재한 여러 대학들은 마이크로칩 및 전자 교육 학과 또는 관련 커리큘럼을 개발하며 추세를 선도하고 있다. 


다낭시 백과대학교 부총재인 팜홍하이 부교수는 베트남의 반도체 칩 산업의 인력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국내외 기업 및 전문가와 긴밀히 협력하여 단기적인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있으며 매년 150~200명의 기술자를 배출해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시사점

 

반도체 산업은 베트남에서 가장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분야이다. 디지털 전환, IoT, AI  신기술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글로벌 반도체 생산기지로 떠오르고 있는 베트남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최대 수혜국이  가능성이 높다. 반도체 산업은 미국과의 국교정상화 이후, Next China 글로벌 생산기지로 고속성장을 해왔던 베트남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Next China 넘어선 Altasia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알타시아(Altasia) 2023 2 Economist 제시한 신조어로, 중국을 대체할 새로운 공급망 생태계를 지칭한다. 한국, 일본, 대만, 아세안 9개국(미얀마 제외), 인도, 방글라데시를 포함한 14개국으로 구성되며 중국을 대신할 단일국가가 부재한 상황에서 한국과 일본, 대만의 기술력, 싱가포르의 물류  금융허브 기능, 베트남을 위시한 기타 동남아 국가의 저렴한 노동력과 광물자원 등의 비교우위가 결합돼 중국을 대체하 공급망 생태계 형성이 가능하다는 내용이다.


동남아시아는 한국, 미국, 일본, 대만  반도체 기술 선진국과 새로운 밸류체인을 형성할  있는 중국의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동남아시아는 이미  세계 마이크로칩 패키징 생산량의  30~40% 차지하고 있다. 다만,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 간의 반도체 생태계와의 연계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반도체 생산의 잠재력 차원에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은 기술 플랫폼과 인프라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는 반면에 베트남은 저렴한 비용  풍부한 인적자원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실제 베트남에 진출한 기업들은 글로벌 최저한세 도입 등으로 점점 축소되는 비용절감 효과  숙련된 노동인력 부족에 따른 한계를 체감하고 있으며 이는 베트남 정부가 적극적으로 극복해 나가야  과제이다.


동남아시아에서 반도체를 기반으로한 새로운 첨단기술 생태계가 형성되는 가운데, 베트남이  생태계에서 어떠한 위치를 점하게 될 지, 우리 기업에 주는 기회요인과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자료: 베트남 통계청,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마이크로칩 커뮤니티주요 언론기사 등 KOTRA 다낭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