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불가리아, 우크라이나에 군사 지원 시작

불가리아 EMERICs - - 2023/07/28

☐ 불가리아 신규 내각,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 결정

◦ 6월 임명된 불가리아 신규 내각은 우크라이나에 군사 지원을 제공하기로 결정함 
- 6월 26일 각료회의를 통해 불가리아 정부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 패키지를 승인했다. 앞서 2022년 12월 불가리아 의회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을 승인했지만, 친(親)러시아 성향의 루멘 라데프(Rumen Radev) 불가리아 대통령이 이에 거부권을 행사하여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의회는 군사 지원을 발표하며, 이는 2022년 12월 합의된 지원안에 상응하는 것이고 군사 지원이 불가리아 군대의 무기 재고와 훈련 및 전투 대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의회 발표에서 구체적인 지원 내역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 토도르 타가레프(Todor Tagarev) 불가리아 국방부 장관은 이번 군사 지원에 소련제 무기에 호환되는 탄약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타가레프 장관은 우크라이나에 지원되는 탄약이 30년 전에 생산된 제품으로, 지금 사용하지 않으면 몇 년 내 폐기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 불가리아 대통령,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거부
- 라데프 대통령은 2022년 12월 의회에서 통과된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안을 거부했으며, 이후 미국으로부터 2억 달러(한화 약 2,555억 원) 상당의 방공 체계를 받는 대가로 우크라이나에 소련의 S-300 대공 체계를 양도하는 내용의 제안도 거부했다. 당시 디미타르 스토야노프(Dimitar Stoyanov) 전 불가리아 국방부 장관은 불가리아가 보유한 소련제 탱크와 전투기, S-300 방공 체계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할 경우, 국방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당시 아타나스 자프라야노프(Atanas Zapryanov) 국방부 차관은 불가리아 군대가 비축한 무기 상당수가 5년 내 폐기가 예정되어 있을 정도로 낙후해 있기 때문에, 국방력 약화를 우려한다면 낡은 무기를 버리고 새로운 무기를 구입해야 한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 라데프 대통령은 3월 23일 유럽연합(EU) 정상회담을 앞두고 우크라이나에 불가리아의 탄약을 공급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라데프 대통령은 불가리아는 전 세계에 탄약과 무기를 수출하고 있으며, 자국의 포탄 비축량을 보충하고 다른 EU 회원국들의 포탄을 보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방위 산업 역량을 동원할 것이라 밝혔으나 우크라이나에 대한 직접 지원은 거부했다, 또한, EU 회원국에 판매된 불가리아의 탄약이 우크라이나에 전달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각국은 최종 수령국이 어디인지 밝힐 의무가 있으며, 판매에 앞서 조건을 정할 것이라 덧붙였다.

☐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불가리아 방문 이후 중장비 지원 결정

◦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불가리아에 방문하여 NATO 가입에 대해 논의함
- 7월 6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Volodymyr Zelensky)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불가리아를 방문하였으며, 니콜라이 덴코프(Nikolay Denkov) 불가리아 총리를 비롯한 행정 관료들과 회담을 가졌다. 양자 회담 이후 덴코프 총리는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에 관한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으며, 이호르 조브크바(Ihor Zhovkva) 불가리아 대통령실 부실장은 조건이 충족되는 대로 불가리아가 우크라이나의 NATO 가입을 지지하고 양자 수준에서도 우크라이나를 지원할 것이라 밝혔다. 또한, 덴코프 총리와 젤렌스키 대통령은 불가리아가 러시아로부터 구매한 2기의 원자로를 우크라이나에 매각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 이후 젤렌스키 대통령은 라데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으며, 회담에서 우크라이나의 평화 공식, 우크라이나 주재 불가리아 대사 임명, 흑해 지역에서의 협력에 대해 논의했다.  라데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많은 무기와 군사적 방법으로는 분쟁을 해결할 수 없을 것이라 발언하였는데,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의 침공을 분쟁으로 묘사하고, 무기 지원에 반대하는 라데프 대통령을 비판했다. 또한, 젤렌스키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인을 상대로 섬멸전을 시작했다고 강조하며, 불가리아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는 것이 옳은 일이라 발언했다.

◦ 젤렌스키 대통령의 불가리아 방문 이후, 불가리아는 최대 규모의 군사원조 패키지 발표
- 7월 13일 불가리아는 우크라이나에 비축 장갑차 100대가 포함된 군사 지원 패키지를 보냈다고 발표했다. 우리는 변화를 계속한다(We Continue the Change)의 이바일로 미르체프(Ivaylo Mirchev) 의원은 제공된 장갑차가 1960~70년대에 생산되었으며, 불가리아 보안군이 구입했지만 사용하지 않고 있는 장갑차라고 설명했다. 또한, 미르체프 의원은 라데프 대통령이 불가리아 군대가 약해지는 것을 우려하고 있지만 서방의 방공 체계가 러시아의 초음속 미사일을 격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아직 미국의 제안이 유효하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불가리아 정부는 미국의 보병용 장갑차 10억 달러(한화 약 1조 2,775억 원) 분량을 주문할 것이라 밝혔으나 판매 절차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이다.
- 그러나 군사 지원 발표 이후 라데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전쟁을 고집하고 있으며, 그 비용을 유럽 전체가 부담하는 점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이에 불가리아 주재 우크라이나 대사관은 성명을 통해 전쟁의 책임에 대해 우크라이나를 비난하는 것은 러시아의 하이브리드 전쟁을 지지하는 일반적인 논리라며 반발했다. 이어 우크라이나는 평화를 회복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우크라이나가 전쟁을 더 이어가길 원한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답했다. 또한,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적 지원은 사상자 증가가 아닌 더 많은 생명을 구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덴코프 총리도 전쟁을 주장하는 것은 푸틴 대통령과 그 주변인이며, 그들이 전쟁을 시작했다고 발언했다. 이어 전쟁을 멈추기 위해서는 러시아 군대에 철수를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감수 :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Politico, Ukraine blasts Bulgaria president’s claims that Kyiv is to blame for the war, 2023.07.16.
Euractiv, Bulgaria sends largest military aid package to Ukraine, 2023.07.14.
Kyiv Independent, Bulgarian MP: Bulgaria can send 100 armored vehicles to Ukraine, 2023.07.13.
Euractiv, Ukraine in talks with Bulgaria to buy Russian nuclear reactors with EU funds, 2023.07.07.
Kyiv Independent, Bulgaria signs declaration in support of Ukraine's move toward NATO membership, 2023.07.06.
Politico, Zelenskyy mauls Bulgarian president over his opposition to arming Ukraine, 2023.07.06.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New Bulgarian Government Approves Military Aid For Ukraine, 2023.06.26.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Правителството одобри изпращането на нов пакет военна помощ за Украйна, 2023.06.26.
Euractiv, Bulgaria’s Radev doubles down: ‘No ammunitions for Ukraine’, 2023.03.24.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Bulgaria's Pro-Kremlin Leader Refuses To Send Soviet-Era Fighter Jets And Tanks To Ukraine, 2023.03.23.

[관련 정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