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사회] 베트남 공동체 복지의 양상과 메커니즘: 사적소득이전과 경조사 참석 및 계모임 활동을 중심으로

베트남 국내연구자료 기타 백용훈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발간일 : 2016-03-01 등록일 : 2017-05-04 원문링크

본 연구의 목적은 비공식 영역에 존재하는 다양한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복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에 대한 분석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복지 혼합(welfare mix)”과 “사회자본(social capital)”, 두 논의로부터 대안적인 이론 및 분석틀을 제시하였고 공동체 복지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사적소득이전’과 마을 내 이웃, 자발적 결사체 구성원들 간의 ‘경조사 참석 및 계모임을 통해 주고받는 경제적 지원’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분석 자료는 베트남 북부와 남부의 농촌 마을에 거주하는 가구들(남북부 각각 300 가구)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가족과 마을 단위에서 닫힌 연결망을 보유한 베트남 북부 지역 사람들은 남부에 비해 더 많은 수준의 비공식 복지 자원을 교환하고 있었고, 개인-가족-마을 공동체 구성원들 간에 자원의 순환 역시 지속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에, 남부 지역 사람들은 열린 연결망을 바탕으로 복지 자원을 교환하고 있었지만 그 자원은 북부에 비해 훨씬 적은 수준이었고 자원의 순환 역시 지속적이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 남북부의 사례를 통해 드러난 다양한 공동체 구성원들 간에 상호부조의 기제로서 중요한 사회자본의 속성은 닫힌 연결망과 일반화된 호혜성의 규범이다. 이를 기반으로 더 좁은 수준의 공동체의 복지 자원이 더 넓은 수준의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복지 자원으로 혹은 그 반대로 순환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