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교육] 베트남 고교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시도와 장점 - 호찌민시와 붕따우 소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지 경험을 중심으로 -

베트남 국내연구자료 학술논문 쩐팉투르엉, 안경환 인문학연구 발간일 : 2017-02-28 등록일 : 2018-03-30 원문링크

지난 4반세기 동안 한국과 베트남 관계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달성하였다. 특히, 두 나라간의 포괄적인 협력관계가 구축되었다는 점에서 상당한 결과를 달성하였다고 판단한다. 한국과 베트남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하루빨리 해결하여야만 하는 문제들이 남아있다. 그것은 바로 한국과 베트남간의 사회문화 교류, 경제협력관계의 발전 속도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구사자의 부족을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한국과 베트남의 지속적인 관계발전을 위해서는 베트남에서의 한국어의 보급과 한국문화의 전파를 위한 획기적이고도 전략적인 해결 방법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한국어 학습자의 급속한 증가,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접근성 확대, 한국어 학습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충분한 시간과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한 획기적인 방안 가운데 하나는 베트남 고등학교에 한국어 교육을 도입하고 교육의 체계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2016년 2월에 베트남 고등학교에서 한국어 시범교육에 대한 베트남 교육훈련부와 주 베트남 한국대사관이 체결한 합의서는 매우 타당한 것이며, 이는 베트남에서의 한국학과 한국어 확대 발전에 큰 비전을 가져다 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전에 전환점을 이루고, 획기적인 방안으로 적절한 발전 방향으로 실현해나가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도와 장점에 대해서 한국과 베트남 모두 명확하게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국립호찌민인문사회과학대학교 한국학센터와 호찌민시의 한국어교육원이 협력하여 호찌민시 소재 쩐다이응이어고등학교와 마리꾸리고등학교에서 한국어 시범교육을 시행하였고, 고등학교에서 시행한 한국어 교육을 바탕으로 한국어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본 논문은 베트남 고등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시도와 이에 대한 장점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도움을 주고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