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중앙아시아 및 중동부유럽의 건설시장 전망

중동부유럽 일반 KITA 2016/09/29

중앙아시아 및 중동부유럽의 건설시장 전망

 

 

- 한국무역협회 브뤼셀지부 / KBA Europe 제공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1. 중앙아시아 건설시장의 성장 주도 전망 

 

 현재 에너지 및 교통 인프라에 대한 해외 투자가 집중되고 있는 중앙아시아의 건설시장은 향후 5년간 중동부유럽의 건설시장보다 빠르게 성장할 전망

 

 ㅇ 서유럽의 건설시장은 다양한 EU기금 및 상대적으로 안정된 투자환경 등으로 중동부유럽보다 낮지만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전망

 

 중앙아시아와 중동부유럽의 건설시장은 투르크메니스탄이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5년간 연평균7.5%의 성장률을 보일 전망

 

 ㅇ 특히 터키, 일본, 한국 기업들이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 인프라 분야에 활발한 투자를 하고 있음

 

   - 현재 진행되고 있는 주요 프로젝트로는 일본과 한국의 합작 프로젝트로 일본의 Toyo Engineering Corporation과 한국의 현대건설이 Turkmenbashi 30억달러(USD) 규모의 가스 케미컬 단지를 건설하고 있음

 

   - 해당 프로젝트는 일본국제협력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이 투자하고 있음

 

 카자흐스탄은 카자흐스탄정부의 건설시장 및 교통 인프라에 대한 투자 증대로 연평균 5.7% 성장률을 보일 전망

 

 ㅇ 카자흐스탄정부는 원유 및 광물자원에 의존하는 경제 체제에서 탈피, 산업다각화를 추진하는 일환으로 주거용, 상업용 빌딩 및 교통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음

 

 ㅇ 카자흐스탄정부의 주택구입비용 절감 정책 및 임대주택 건설에 대한 재정지원 등으로 인해 주거용 빌딩 시장의 성장이 돋보일 것으로 전망됨

 

 ㅇ 중국은 ()실크로드 전략*의 일환으로 카자흐스탄과 중국을 잇는 도로 및 철도 프로젝트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중국이 지원한 카자흐스탄의 내륙항 Khorgos Dry Gate는 중국-유럽간 대규모 물량을 처리하고 있음

 

 ()실크로드 전략 (一帶一路: One Belt, One Road): 중앙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육상 실크로드(一帶)와 동남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해상 실크로드(一路)를 뜻하는 말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3 9~10월 중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순방에서 처음 제시한 전략

 

 

<중앙아시아 및 중동부유럽 건설시장 성장률 전망>

 

 

- 단위 : 건설시장 성장률 (%)

* 출처 : BMI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