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제약업 현황 및 전망(하)

베트남 KITA 2017/01/23

베트남 제약업 현황 및 전망(하)


  주요 제약회사

  o 베트남 제약시장은 현지기업과 외국계 기업이 공존하고 있음

  o 베트남 內 제약업 관련 외국계 기업은 600여개에 달하며 대부분은 유통관련 기업임

   - Sanofi社와 Rhoto社는 현재 의약품 생산시설을 건설 중임


                      ‘15년 매출액 기준 10대 제약회사(10억 베트남동)

  

  o 베트남 內 제약업 관련 현지 기업은 180여개에 달하며, 현대 의약품 혹은 전통 의약품을 취급하고 있음

   - 현대의약품 제조업체중 대표적 현지기업으로는 Duoc Hau Giang社, Domesco社가 있으며 Traphaco社는 전통

     의약품을 취급함

 

제약업 경쟁 환경 분석

  o 시장 경쟁상황은 전반적으로 치열한 편이나 과도한 수준은 아님
  o 원재료 수입 의존도가 높고 외국계 기업과의 경쟁이 증가하였지만, 다양한 의약품 구매주체가 존재하며 진입장벽

    이 높아 제약회사 간 경쟁 수준이 과도하게 높지 않음
◎ 공급자 교섭력

  o 원재료에 대해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임

   - 현대의약품 원재료는 주로 중국과 인도에서 수입되며 전통의약품 원재료는 대부분은 중국에서 수입됨

   - 베트남 자체적으로도 생산이 가능하지만 저렴한 중국산 원재료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짐

   - 중국과 인도 정부는 보조금 지급 및 낮은 세금 부과를 통해 자국 內 제약업을 지원함
 ◎ 구매자 교섭력

  o 최종소비자에게 도달하기 전 약국, 대형 병원, 개인 병원 등 다양한 구매주체들이 존재하여 구매자 교섭력은 높지

    않은 편임

   - 50,000개의 약국 및 의약품 직판점이 존재하고 있음

 ◎ 신규진입자의 위협

  o 새로운 경쟁업체가 시장에 진출할 가능성이 매우 낮음

   - 높은 신약 연구개발 비용이 가장 큰 진입장벽임   

   -  또한 임상실험을 실시해야 하며 신약 출시에 많은 규제들이 존재하기에 투자금을 회수하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됨

 ◎ 대체재의 위협

  o 미흡한 의약품 관련 지적재산권 보호조치 및 위조약 유통 문제가 상존함

   - 대부분의 복제약 품질은 열악한 수준이며 약효가 충분히 검증되지 못하였음

   - 특허약 또한 라이센스 취득 없이 복제생산 되는 경우가 일반적임

 ◎ 기존 경쟁업체의 위협

  o 복제약 시장 內 기존 경쟁업체간 경쟁 환경은 매우 치열함 
   - 특허약은 주로 수입되고 있기 때문에 주로 복제약 시장에서의 현지기업 간 경쟁이 치열함

  o 하지만 낮은 수입관세와 수입의약품 선호 추세로 인하여 복제약 시장에서 외국계 기업과의 경쟁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외국계 기업은 복제약 수입과 유통이 불가능 하지만 현지 업체와 합작투자를 진행할 시 수입과 유통에 재량권을

     부여받아 이에 따른 이점을 누리고 있음


  제약업 성장 및 장애요인

 

  ◎ 성장 요인

  o 제약업의 성장요인으로 △인구 증가 △건강에 대한 관심증가 △의약품에 대한 접근성 향상 등이 꼽힘

  o 연평균 인구 증가율이 꾸준히 1%대를 유지함

  o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웰빙에 대한 지출이 증가하고 있음

  o 또한 대형병원, 개인 병원, 약국 등 건강과 관련한 인프라 구축이 증가함에 따라 의약품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됨 
  
 ◎ 장애 요인

  o 제조업 발전 장애요인으로 △비효율적인 가격 조절 메커니즘 △부패 △미흡한 지적재산권 보호 △위조약 유통

    등이 꼽힘


  제약업 가치사슬

  o 공급사슬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의약품 가격이 높게 형성됨

  o 제조업 공급사슬은 원재료 수입자, 현지 생산업체, 도매상/유통업체, 약국/대형 병원/개인 병원, 의사, 최종.

   소비자로 구성됨

 

  

  o 주요 도매 유통체널은 유통업체 혹은 의약품 도매시장임

  o (유통업체) 외국계 기업인 Zuelling Pharma社, Mega Product社, Diethelm Vietnam社는 유통시장의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주요 핵심역량은 오랜 기간 유지된 제약회사와의 관계와 창고, 보관, 운송 시스템과 같은 잘 갖춰

    진 인프라임

  o (의약품 도매시장) 주로 생산자에게 직접 의약품을 수입을 하거나 유통업체를 통해 수입함

   - 그러나 수입절차가 까다로워 위조약이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음

  o 주요 소매 유통체널은 병원과 약국임

  o (병원) 병원을 통한 소매유통 과정이 투명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의사와 제약회사 사이의 리베이트 관계가 형성됨

   - 의사에게 직접 리베이트를 주거나 해외 컨퍼런스에 초대하는 형식으로 행해짐

  o (약국) 대부분의 약국이 소규모이기에 잘 통제되지 못하고 있음

   - 호치민 약대의 발표에 따르면 대부분의 약국은 자체적으로 가격을 설정해 동제품 가격이 약국별로 10%에서 38%

     까지 차이가 남

 

규제

  o 정부 규제가 명확하지 않아 분쟁을 야기함

  o ’96년 발표된 보건부의 의약품 등록 관리 시행령인 No.1203 / BYT / QD가 주요 규제 법규임

  o ’05년 발표된 보건부의 시행령에 따르면 ’10년 까지 의약품 생산업체는 보건부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하지만 180개

    업체 중 120개 업체만이 승인을 받을 정도로 정부 규제가 느슨함  

  o 베트남은 WTO 가입국으로 의약품 생산규정이 국제 기준을 준수해야 하지만 이와 관련한 법률체계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임
   - 중앙 정부의 관리권한 부재로 인하여 정부기관이 의약품 관련 지적재산권 침해자에게 책임을 부과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음 

   - 미국 의약품 연구 및 생산협회(PhRMA)는 베트남을 ’04년부터 관리 대상국으로 지정함

  o 정부는 처방의약품을 최종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광고하는 것을 금지한 반면 일반의약품에 대해서는 이를 허가함

   - 처방의약품은 의사와 제약회사의 대리인간의 직접적인 미팅 혹은 컨퍼런스를 통해서만 마케팅 활동이 가능하며

     사전에 보건 당국에 이를 알리고 허가를 받아야함

   - 반면 일반의약품은 신문, 잡지 등을 통해 광고할 수 있고 만약 TV, 라디오를 통해 광고할 경우 보건 당국에 공식

     신청을 요함

 

전망

  o 베트남 제약업은 ’15년부터 ’19년까지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됨

  o '15년 정부는 외국인소유 지분제한에 대한 규제를 폐지하여 외국인 투자자들도 제약업에 대한 49% 이상의 지분을

     소유할 수 있게 허용함

   - Domesco社는 ’16년 9월 처음으로 외국인소유지분 제한규제를 폐지를 적용받은 기업임

  o '17년 1월부터 발효되는 의약품 법에 따라 공공 병원, 공공 의료 프로그램와 같은 공공기관에서 현지 의약품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예정임

   - 이러한 최근의 규제는 복제약과 원재료 분야의 성장을 장려하고 의약품 가격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서임
  
< 출처 : FPT Securities, BMI Research 및 무역협회 호치민지부 자료 종합>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