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건설업 동향 및 전망(하)

베트남 KITA 2017/06/15

베트남 건설업 동향 및 전망

 

□ 관련 규정 (Regulation)

   o 건설산업관련 건설법, 부동산 정책, 입찰법 등의 규정이 있음

    - 건설법(Construction Law): 2014년도에 개정된 건설법은 국비 운영 건설프로젝트의 관리감독, 품질관리, 건설허가증 발급시 투명성 제고, 서류 작업 축소화 등을 목표로 하고 있음

    - 부동산 정책(Real Estate Policies): 베트남 정부는 ’15년 부동산 정책을 개정하여 외국인의 주택부동산 소유가 가능해짐. 건설에 참여하려면 200억동(VND) 자본금이 필요해 진입 장벽이 높음

    · 건설개발업자는 자본의 15%-20%를 소유해야 하며 매매전 은행 보증을 받아야함

    - 입찰법(Bidding Law): 공정성 및 투명성 제고를 위해 개정된 입찰법에 따르면, 계약자와 개발자는 서로 지분을 30% 이상 보유해선 안 되고 계약은 입찰자 발표 전에 이루어져야 함

    · 국내 비용이 전체 비용의 25%를 초과하면 계약자에게 우선권이 주어지며, 입찰 관리감독은 정부기관, 입찰당국 및 관련 단체로 확장되어지고 있음
 
□ 하방위험과 호황요인 - 향후 전망 (Outlook)

 ◎ 향후 베트남의 건설경기는 가격 변동성, 거시경제의 변화, 부실대출, 기술력 부족 등의 하방위험에 직면할 수도 있음

   o (건축자재의 가격 변동성) 금년 3월 철강재 가격이 톤당 2~3만원 상승하다, 4월에 진정세로 돌아서면서 재고량이 급감하는 등 건축자재의 가격 변동이 심해지고 있음

   o (거시경제의 부정적 변화) 건설경기가 경제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고, 정부의 통화 및 재정정책에 따라 움직임에 따라 이자율 상승 등 거시경제 정책으로 인한 하방위험이 있을 수 있음

    - 예를들어, ‘11~13년 20%가 넘는 이자율로 건설분야로의 자본유입에 큰 어려움이 있었음

   o (무수익여신/부실채권) ‘16년 부동산대출에 대한 신용이 8.5% 증가하는 등 GDP 증가율을 훌쩍 뛰어 넘고 있으며, 은행의 실질 부실채권률이 명목 부실채권률을 크게 상회하는 등 금융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음

    - ’16년 말 2.46%의 부실채권률은 은행들이 위험성이 높은 부채를 부실채권보다 한 등급 나은 문제여신(Special mention loans)로 분류하여 부실채권률을 의도적으로 낮춘 결과임

    - 자산공사(VAMC)에 이미 매각된 부채와 숨겨진 악성 부채를 포함하면 실제 부실채권률은 8.86%에 달함

   o (전문성/기술력 부족) 베트남 건설협회에 따르면, 건설현장 노동자들의 80%가 계약직이나 일용직으로 적정한 교육과 훈련을 받지 못해 까다롭고 기술적인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향후 베트남 건설산업은 경제성장률, 통화정책, 도시화 등 긍정적 환경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호조를 띌 것으로 전망됨

   o (긍정적 경제 전망) 베트남은 ’17년 경제 성장률 6.3%-6.5%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됨 (VCBS,2016)

    - 거시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대체적으로 안정적일 전망임

   o (확장적 통화정책) ’17년도 신용도 성장률은 16%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경제 성장 위해 신용도 상승에 의존할 것으로 전망됨

   o (도시화 가속화) 지방에서 도시로 이전하는 인구로 인해 거주공간의 수요가 급증

    - ’10-’15년 베트남의 도시 인구 성장률은 3.1% 증가했으며 도시화 수준이 ASEAN 국가들 중에서 끝에서 3위를 기록하여 건설 산업의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됨

   o (외국인직접투자) 부동산 분야는 외국인투자를 3번째로 많이 받는 분야로 ’16년 16.8억 달러를 기록함 (MPI, 2016)

   o (탄탄한 부동산 시장) 부동산 시장의 주춤세가 보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굳건한 상태임

    - ’13년 아파트 재고물량이 급격히 줄었으며 ’16년 호치민시 아파트 물량은 37,419개, 하노이시 30,028개를 기록(CBRE, 2016) 했으며 판매 수는 호치민시 35,008개, 하노이시 21,188개를 기록함

   o (인프라 개발 필요성 증대) 교통인프라 개발 소요비용은 약 480억 달러에 달하지만, 베트남 정부 예산은 전체의 28%에 그쳐 민관합작투자사업(PPP: Public-Private Partnership)을 통한 비즈니스 기회 포착 필요

   o (성장하는 제조업 분야) 제조업 분야로 막대한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에 힘입어 산업형 건설 분야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제조업 분야가 전체 외국인직접투자 중 63.7%를 차지했으며 155.3억 달러를 기록함(MPI, 2016)

    - 삼성社의 새로운 공장 설립으로 인해 산업형 인프라 및 기타 인프라가 증가할 것으로 보임

 

    < 끝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