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2021년 멕시코 사상 최대규모 선거 결과

멕시코 KOTRA 2021/07/02

- 2021년 6월 6일 선거 -
- 현 여당인 MORENA당의 주지사 및 하원의원 선거 승리로 끝나 -


2021년 6월 6일 1만9915건의 투표가 집계된 멕시코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선거가 막을 내렸다. 해당 선거를 통해 15개 주의 주지사직, 하원직(직선), 지방정부 장과 의원을 선출했다. 국회의원 선거의 경우 각 주의 의원직과 지방의원직을 함께 선출했다. 해당 선거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Instituto Nacional Electoral a nivel federal)와 각 주별 관리위원회가 관리하여 추진했다.

2021년 멕시코 총선 결과
자료: 멕시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INE


선거 관련 주요 이슈
이번 선거의 가장 큰 이슈는 거대 여당인 Morena당(50.4%)의 재집권 여부였다. 지금까지 Morena당과 좌파당이 연합해 의석의 64.8%를 차지, AMLO 대통령은 이러한 기반을 바탕으로 다양한 법안 개혁을 시도했다.   

메릴린치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거대 여당이 힘을 잃는 것이 오히려 멕시코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는데, 이는 AMLO 대통령이 추진 중인 법안 개혁에 대한 부정적인 시간을 반영한 것이다. 

멕시코 주요 정당
멕시코에는 3개의 주요 정당이 있는데 1) 제도혁명당 Partido Revolucionario Institucional(PRI), 2) 멕시코 최초의 정당인 국민행동당 Partido de Acción Nacional(PAN), 3) 현 여당인 국가재건운동당 Movimiento de Regeneración Nacional(Morena)당이다. Morena당의 경우 2014년 공식 정당으로 등록해 현 AMLO 대통령이 초대 당대표를 지낸 당이다. 이외에 민주혁명당PRD, 녹색당Partido Verde, 노동당PT, 시민운동당Movimiento Ciudadano 등이 있다.

멕시코 주요 정당
자료: 각 당 홈페이지


이번 선거를 위해 각 정당이 연합해 2개 세력을 구성했는데, Morena당은 PT와 PVEM당과 연합했다. 해당 연합은 “함께하면 역사를 만들 것이다”라는 슬로건으로 캠페인을 추진했다.

자료: 위키피디아


다른 연합은 “멕시코를 위하여”라는 슬로건으로 PRI, PAN, PRD당이 함께했다.

자료: 위키피디아


주지사 선거 결과
2021년 6월 6일 치러진 선거에는 약 15만4000개의 투표소가 설치되었다. 선관위에 따르면, 선거 예상 참가율은 9350만 명 중 52.67%였다. 코로나 감염을 최소화하고자 투표소마다 마스크 착용, 페이스쉴드, 장갑 등을 착용했으며, 유권자는 순서대로 손소독제 사용, 방역 박스 통과 등의 절차를 따라야 했다. 

가장 큰 이슈였던 15개의 주지사 선거 결과는 Morena당이 11개 주에서 승리하며 대승을 거뒀다. PAN당은 2개 주, MC당이 1개 주에서 승리했다. 이번 선거로 PRI와 PRD당은 각 8개, 2개 주에서 모두 Morena당에 대패했다.

주별 선거 결과
자료: 멕시코선거관리위원회
 

멕시코 선거결과 지도(2021)
자료: paintmaps.com(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재가공)


하원의원 선거결과
멕시코 하원은 총 500명으로 임기는 3년이다. 이 중 300명은 전국 단일선거구에서 선출되며, 200명은 비례대표제로 선출된다. 현재 정당별 의석 수는 Morena 252석(50.4%), PAN 80석(16%), PRI 49석(9.8%), PT 44석(8.8%), MC 23석(4.6%), PES 23석(4.6%), PRD 12석(2.4%) PVEM 11석(2.2%), 무소속 6석(1.2%)다.  

이번 선거에는 하원의원 300명을 선출하는 것으로 집계 결과, Morena당이 의석수를 잃었으나 여전히 1여당으로 자리잡았다. Morena당이 39.4%, PAN당이 22.2%, PRI당이 13.8%, PVEM당이 8.8%, PT당이 7.6%, MC당 4.8%, PRD 3.4%로 집계되었다. 

하원의원 선거결과
자료: 멕시코선거관리위원회
 

시기별 하원의원(직선,비례) 구성 정당
주*: 하원의원 비례대표가 선출되지 않은 상황으로 2021년 8월 23일까지 최종 확정
자료: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재가공


전망 및 시사점
이번 선거는 멕시코 주지사 선거 결과에 주목할 만한데, 주요당이었던 PRI와 PRD당의 대패로 당선된 좌파당 출신의 신규 주지사들의 정책 방향이 이전과 다소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기조는 인프라 투자 및 외국인 투자유치를 장려한다고 하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별로 한국의 대멕시코 수입, 투자 동향을 집계한 결과 한국 기업의 투자 및 수출이 활발한 지역들*의 경우, 누에보 레온의 과거 무소속당에서 MC당의 주지사가 당선된 것 외에 정당 변경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주*: 티후아나가 속한 바하 칼리포니아주, 몬테레이가 있는 누에보 레온주, 께레따로주
 

한국의 대멕시코 수입 및 FDI 집계
(단위: 백만 달러, %)
자료: 멕시코 경제부
  

이번 선거 결과로 Morena당이 거대 여당으로 지속 집권하게 되면서 AMLO 대통령은 3가지 헌법 개혁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첫째, 전력산업법 개혁을 통해 국영전력공사인 CFE로의 권한을 부여하겠다는 것, 둘째, 선거제도 개혁으로 비례대표제를 폐지하고 간선제를 실시하겠다는 것이며 셋째, 국가방위군을 국방부로 편입시키겠다는 것이다.

전력산업법 개혁의 경우, 2021년 3월 9일 공표된 바 있으나 독점 등의 사유로 연방 판사가 효력 중지를 명령한 상황이다. 부패 척결을 외치며 다양한 헌법 개혁을 시도 중인 AMLO 대통령의 행보는 이번 선거를 통해 더욱더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자료: Instituto Nacional Electoral (INE), BBC, Secretaría de Economía, Expansión, Senado de México, Milenio, El Financiero, UNO TV, El País, Cámara de Diputados, El Universal, Data México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멕시코 ESG 동향 2021-08-25
다음글 2021년 멕시코 항공산업 정보 2021-09-07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