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칠레 일회용 밴드 시장 동향

칠레 - 2022/08/16

- 2020~2025년 연평균 성장률 6.61% 예상


HS Code 및 상품명
HS Code 300510 접착성 피복재와 접착층을 갖는 그 밖의 물품 (일회용 밴드)

시장동향
모르도르 인텔리전스(Mordor Intelligence) 보고서에 따르면, 2020~2025년 기간 동안 칠레 상처 관리 제품 시장은 연간 6.6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성장 원인에는 먼저 가정 내 안전사고 빈도 증가가 있다. 2020~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의무적 자가격리 실시로 재택근무, 육아 등 가족 돌봄 등 가사 활동이 증가했다. 이로 인해, 유로모니터(Euromonitor)는 가정에서 화상, 베임 등 안전사고 빈도가 높아지면서 일회용 밴드와 같이 상처 치료에 필요한 제품 수요가 증가했다고 설명한다.

다른 원인으로는 만성 피부질환 환자 수 증가가 있다. 칠레의 경우 대표적인 사례로 당뇨병을 뽑을 수 있다. 당뇨병은 족부 궤양과 같은 만성 피부질환을 유발하는데 칠레 보건부(Ministerio de Salud)에 따르면, 2019년 칠레 전체 인구의 12%가 당뇨병을 앓고 있다. 유로모니터는 비만, 좌식 생활, 고지방 식사 등으로 칠레 당뇨병 환자가 증가하면서 향후 상처 치료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수입동향
HS Code 300510 기준 2021년 칠레의 일회용 밴드 수입액은 2,887만 달러를 기록했다. 칠레의 최대 수입대상국은 미국으로, 2021년 칠레의 미국산 일회용 밴드 수입액은 전체 수입액의 약 36%에 해당한다. 미국산 밴드에 이어 칠레 수입 시장 점유율이 높은 밴드는 중국산 밴드로 수입 비중은 약 24%다. 2021년 한국산 밴드 수입액은 22만 달러로 전년 대비 무려 178%가 증가했다.




경쟁동향 및 유통구조
칠레 일회용 밴드 제품의 주요 기업은 3M Chile, Johnson & Johnson, Beiersdorf Chile와 같은 대규모 다국적 기업이다. 약국에서 근무하는 V씨는 “칠레 소비자들은 일회용 밴드를 고를 때 제품의 품질을 중요시한다.”라고 하며 “내구성이 좋고 접착력이 좋은 밴드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설명한다. 제품 개발과 가격 측면에서 Family set와 같은 PB(Private Brand) 상품 또한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2021년 기준 칠레의 주요 일회용 밴드 수입기업은 아래와 같다.




한편, 칠레의 일회용 밴드는 주로 약국과 슈퍼마트에서 오프라인으로 판매된다. 칠레의 대표 약국 브랜드로는 살코브란드(Salcobrand), 크루스 베르데(Cruz Verde), 아우마다(Ahumada)가 있으며, 의약품 유통 시장에서 이 세 약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80%에 가깝다.




관세율 및 인증
한-칠레 FTA에 의거하여 HS Code 300510의 관세율은 현재 0%다. 인증 관련 일회용 밴드 성격에 따라서 칠레 공공보건청(Instituto de Salud Pública, ISP)의 인증 여부가 결정된다. 예컨대,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상처를 보호하는 단순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밴드라면 공공보건청의 인증이 불필요하지만, 만성 피부질환과 같이 상처를 치유하는 의약품(Medicamento)이 함유된 밴드라면 공공보건청의 인증이 필수다. 이에 따라, 칠레 수출 전 현지 수입업체와 공공보건청에 인증 필요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시사점
코로나19로부터 점차 일상 회복이 되면서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지난 2년보다 상대적으로 줄었지만,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만성 피부질환과 같은 상처를 치료할 때 일회용 밴드는 반드시 필요한 품목이라는 점에서 일회용 밴드 수요는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된다. 이에 따라, 칠레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은 내구성이 좋고 접착력이 좋은 밴드에 대한 현지 수요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전에 칠레 공공보건청 인증 필요 여부를 확인할 것을 권장한다. 다만, 인증 행정 절차를 진행하는 플랫폼인 칠레 GICONA 시스템은 공공보건청에 등록된 현지 법인만이 이용할 수 있으며 인증에는 적지 않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초기 시장 진입 단계에서는 단독 진출보다는 현지 파트너를 발굴하는 것이 안정적일 수 있다. 원활한 칠레 시장 진출을 위해 KOTRA 지사화사업 또는 해외시장조사(사업파트너 연결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작성자: 산티아고 무역관 이동희 과장, Catalina Salinas Specialist



자료: Mordor Intelligence, Euromonitor, Checkpoint, Global Trade Atlas 등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한-칠레 스마트팜 협력 웨비나 참관기 2022-07-20
다음글 칠레 자동차 시장 동향 2022-08-19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