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최근 러시아의 대우크라이나 무역제재의 배경과 전망

러시아 강부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원 2013/08/30

최근 7~8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산 제품에 대해 무역제재조치를 취함에 따라 러시아-우크라이나간 무역갈등이 심화됨.

-­ 2013년 7월 29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대표적인 제과업체인 로셴의 제품에 대한 수입을 금지한 데 이어 8월 중순에는 우크라이나산 수입품에 대한 통관절차를 강화함.

­- 우크라이나 현지 언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기업들이 러시아 국경 통관 지체로 약 25억 달러의 손해를 입었으며, 우크라이나 시민단체들은 러시아산 제품에 대한 보이콧을 주장함. 

­- 우크라이나측 관계자는 금번 러시아의 대우크라이나 수입규제 조치가 양국간 ‘무역 전쟁’을 야기할 가능성도 언급함. 

이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자국 주도의 관세동맹에 참여시키고자 하나, 우크라이나는 유럽연합(EU)와의 통합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는데 대한 러시아의 위기감이 반영된 조치로 해석됨.

­- 러시아는 러시아-벨라루스-카자흐스탄 3국 관세동맹의 외연을 확장하여 2015년에 유라시아 경제연합으로 발전시킬 계획인 바, 그동안 구소련 핵심국가인 우크라이나를 관세동맹에 가입시키고자 노력해 왔음. 

­- 그러나 우크라이나는 기본적으로 EU와의 통합을 국가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관세동맹에는 옵서버 자격(2013년 5월 획득)으로만 참여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음.

ㅇ 이에 대해 러시아는 ‘어정쩡하게 임신을 할 수는 없다’며 우크라이나에 EU와 관세동맹 가운데 양자택일할 것을 촉구한 바 있음.

­- 이러한 상황에서 금년 11월 우크라이나가 리투아니아에서 개최되는 ‘동부파트너십’ 정상회의에서 EU와 FTA를 포괄하는 협력협정(Association Agreement)를 체결할 예정임에 따라 러시아의 위기의식이 증대됨.

ㅇ 2013년 7월 27~28일 우크라이나를 방문한 푸틴 대통령은 야누코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에 “글로벌 경기 악화로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때인 만큼 우리가 힘을 합해야 한다”고 관세동맹 가입을 호소하였으나 무위에 그쳤음.

ㅇ 이어 7월 29일 러시아의 대우크라이나 수입규제조치가 이루어졌고, 특히 수입금지를 당한 우크라이나의 제과업체 로셴은 전 대외경제부 장관인 페트르 포로쉔코가 소유하고 있으며, 포로쉔코는 관세동맹에 비판적인 친EU를 표방하는 인물임.

ㅇ 8월 중순 우크라이나산 수입품 통관절차 강화에 앞서 푸틴 대통령의 관세동맹 정책 자문관인 세르게이 글라제프가 “만약 우크라이나가 EU와 협력협정을 체결하는 자살행위를 행한다면 통관단속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음. 

러시아는 추후에도 우크라이나의 관세동맹 가입을 전제로 금번과 같은 네거티브 인센티브를 취할 가능성이 높음. 다만 2015년 3월 대선을 앞둔 우크라이나의 정치, 경제 상황이 러-우크라이나 관계의 분수령이 될 수 있음.

­- EU가 러시아에 금번 대우크라이나 무역제재 조치에 대해 경고한 데 이어, 푸틴 대통령과 야누코비치 대통령이 전화를 통해 통관문제에 대한 원만한 해결을 약속하면서 양국간 갈등이 당분간은 더 이상 첨예화되지 않을 것으로 보임.

­- 그러나 8월 21일 세르게이 글라제프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와 체결한 FTA를 철회할 수도 있고, 이 문제에 대해 이미 검토 중”이라고 밝혀, 11월 ‘동부파트너십’ 정상회의의 결과를 주시할 필요가 있음.

ㅇ 사실상 금년에 우크라이나가 EU와 협력협정을 체결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이는 EU가 제시한 제도, 인권, 법치 등의 선결 조건을 우크라이나가 만족시키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임.

ㅇ 다만 러시아 입장에서는 푸틴 3기에 유라시아 지역에서의 경제협력체 추진과 이를 통한 구소련 연방 국가들에 대한 경제적 영향력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우크라이나의 정책 방향성이 궁극적으로 어디로 향하느냐에 민감할 수 밖에 없음.

­- 한편, 우크라이나는 현재 심각한 경기침체를 겪고 있어 최대 수출입국인 러시아의 무역제재 조치가 장기화되는 데 취약한 상황이며, 2015년 대선을 전후한 국내 정치권의 변화 양상도 양국 관계 개선, 경제통합 논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자료: Global Insight, Oxford Analytica, Ukrainian Journal 등>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