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아르헨티나, 밀레이 대통령 경제개혁에 대한 반발 확산으로 사회 불안 심화
아르헨티나 이경은 EC21R&C 연구원 2025/04/04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중남미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아르헨티나 노동조합 및 사회단체, 밀레이 경제정책에 대한 반대 연대 강화
o 노동조합연맹(CGT), 4월 10일 24시간 총파업 선언
- 아르헨티나 최대 노동조합 연맹인 노동총연맹(CGT: Confederación General del Trabajo)은 하비에르 밀레이(Javier Milei) 대통령의 긴축정책 등에 항의하는 24시간 총파업을 실시(4.10)할 예정이라고 발표함. CGT 대표 헥터 다에르(Hector Daer)는 증가하는 실업률이 파업의 주요 원인이라고 언급하며, “대량 해고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단순한 방관자로 남을 수 없다”고 언급함.
- 이번 파업은 밀레이 행정부 출범 이후 CGT가 주도하는 세 번째 총파업으로, 다양한 사회/노동단체들이 연대 의사를 표명하며 참여할 예정임. 한편, 마누엘 아도르니(Manuel Adorni) 아르헨티나 정부 대변인은 “파업을 정당화할 어떠한 이유도 없다”며 노조 지도부가 정부에 해를 끼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비판함. 역사적으로 CGT는 현재의 야당 세력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온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번 파업은 정치적 긴장을 더욱 고조시킬 것으로 전망됨.
o 폭력 시위 사태로 번져 사회 긴장 고조
- 지난 3월 12일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연금 수급자들의 정기 시위가 경찰과 시위대 간의 격렬한 충돌로 이어져 약 100명 이상이 체포되고 최소 20명이 부상당하는 상황이 발생함. 이번 사건은 특히 현장을 취재하던 기자가 총상을 입어 중태에 빠지는 등 밀레이 대통령 취임 이후 가장 심각한 사회적 위기 순간 중 하나로 기록됨.
☐ 밀레이 대통령, 경제개혁과 재정흑자 달성 속 IMF 신규 협정 임박 발표
o IMF와의 신규 협정 체결 임박 발표하며 경제 안정 메시지 전달
- 밀레이 대통령은 지난 2월 말 의회 연례 연설에서 국제통화기금(IMF)과의 신규 협정이 임박했다고 발표하면서, “향후 며칠 안에 IMF와의 신규 협정을 지지해줄 것을 의회에 요청할 것”이라고 언급함. 동인은 이번 협정을 통해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을 증액하고, 자본통제를 완화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자유롭고 효율적인 환율 체제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이라고 강조함.
- 아르헨티나는 현재 IMF 최대 채무국으로 400억 달러(약 54조 원) 이상의 부채를 가지고 있음. IMF는 밀레이 대통령의 경제개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향후 정책 변화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외국투자 기업들은 페소화에 대한 공식 환율을 지정하고, 달러 접근 및 사용을 제한하는 아르헨티나의 통화 정책을 투자의 가장 큰 장애물로 지적하고 있음.
o 인플레이션 감소와 재정 흑자 달성 속에도 사회경제적 비용 증가
- 밀레이 대통령은 취임 당시 26%에 달했던 월간 인플레이션율을 2025년 1월 기준 약 2% 대로 낮추는 데 성공하였으며, 2024년에는 14년 만에 처음으로 재정 흑자를 달성함. 동인은 의회 연설을 통해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한 논의에서 장기적 경제 안정에 대한 논의로 전환했다”며 경제 회복의 조짐을 강조함.
-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 성과는 상당한 사회적 비용을 동반하고 있음. 2023년 인플레이션율은 약 211%를 기록했으며, 최저 연금은 월 약 320달러(약 47만 원) 수준으로 인상되었으나, 의약품 및 식품 가격 상승률 대비 여전히 불충분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됨. 밀레이 정부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연금 및 임금 인상 제한, 공공사업 중단 등의 조치를 취했으나, 이로 인한 사회적 불만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정부 운영 난항과 중간선거 앞두고 정치적 긴장 고조
o 야당의 견제와 행정부 권한 확대로 정치적 대립 심화
- 밀레이 행정부는 의회에서 강력한 반대세력에 직면해 있는데, 좌파 성향의 야당인 통일조국당(Unión por la Patria)은 상원의 46%, 하원의 39%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밀레이의 자유진보당(La Libertad Avanza)은 각각 10%와 15%에 불과한 상황임. 이러한 불리한 의회 구도 속에서 밀레이 대통령은 주로 법령과 행정 권한에 의존해 산업 규제 완화, 부처 해체, 4만 명 이상의 공공 부문 직원 해고, 공공사업 중단, 연금 및 임금 인상 제한, 노동조합 권한 축소 등의 개혁을 추진하고 있음.
- 최근 밀레이 대통령은 대통령 권한으로 2명의 대법관을 임명하려는 시도로 야당의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임명 예정자 중 한 명은 자금 세탁 등 불법 행위 혐의로 논란이 되고 있음. 경제 컨설팅 기업 에코고(EcoGo)의 세바스티안 메네스칼디(Sebastián Menescaldi) 연구원은 “밀레이는 의회 없이도 단독으로 국가를 운영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하며, 2025년 10월 중간선거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경우 “원하는 모든 변화를 이루고 야권과 타협할 필요가 없게 될 것”이라고 전망함.
o 다수 사회단체 연대 형성 및 시위 확산으로 정부 압박 증가
- 연금 수급자 시위 진압을 계기로 다양한 사회 단체들이 연대를 형성하며 밀레이 정부에 대한 조직적 저항을 강화하고 있음. 노동총연맹(CGT), 노동자연방(Corriente Federal de los Trabajadores), 노동자중앙(CTA) 지부, 인민노동자연합(UTEP: Unión de los Trabajadores Populares) 등 과거 서로 대립했던 단체들도 현재는 공동 행동을 취하기로 합의함.
- 노동자중앙(CTA)의 사무총장 우고 고도이(Hugo Godoy)는 “암호화폐 스캔들 이후 밀레이에 대한 반발이 있었고, 이는 대통령령에 의한 대법관 임명, 바이아 블랑카 홍수 사태 시 미흡한 대응, 연금 수급자 시위 진압, IMF와의 협정 등 여러 사건으로 인해 심화되었다”고 분석함.
< 감수 : 김영철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Buenos Aires Times, Tensions on rise in Milei’s Argentina as unions, movements confront government, 2025.3.19.
Reuters, Argentina unions to strike against Milei on April 10, 2025.3.21.
La Milano, Argentina, between clashes and protests, tension rises under the Milei Government, 100 arrests and 20 injured, 2025.3.13.
VOA, In address to Congress, Argentine president promises IMF deal, lauds economic wins, 2025.3.2.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월간정세변화] 우루과이의 정치적 변화와 파라과이의 경제적 도전 | 2025-03-31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베네수엘라, 가뭄으로 인한 전력난 대응 위해 공공기관 근무일 제한 조치 도입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