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러시아, 우크라이나 드론 공습 대응을 목표로 대대적인 모바일 인터넷 차단 조치 시행...경제적 손실 초래
러시아 이경은 EC21R&C 연구원 2025/07/18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러시아ㆍ유라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6월 모바일 인터넷 대규모 차단 조치 시행 및 항공편 중단
o 2025년 6월 러시아 내 모바일 인터넷 차단 건수, 2024년 전 세계 기록 상회
- 러시아는 2025년 6월 한 달 동안 655건의 모바일 인터넷* 차단 조치를 시행하였는데, 이는 지난 2024년 1년 간 전 세계에서 발생한 모바일 인터넷 차단 건수(약 296 건)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로, 수백만 명의 러시아 국민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됨. 러시아 정부는 이러한 조치가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안보 전략의 일환이라고 설명함.
- 러시아의 모바일 인터넷 차단 건수는 우크라이나의 '거미줄 작전(Operation Spiderweb)'이 전개된 6월 1일 이후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확인됨. 우크라이나는 동 작전에서 드론을 이용하여 러시아 군사 비행장을 공습하였으며, 모바일 인터넷은 드론 작전에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비행 경로 등을 설정하는 핵심 기술인 바 러시아 당국은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습에 대응하기 위해 전국적인 모바일 인터넷 차단 조치를 시행함. 옴스크(Omsk) 등 우크라이나 국경으로부터 1,000마일 이상 떨어진 지역에서도 6월 약 20회의 모바일 인터넷 차단이 시행된 것으로 집계됨.
*스마트폰의 3G/4G/5G 데이터 접속 등을 의미하며, Wi-Fi, 유선 LAN 등 여타 인터넷 서비스는 차단 조치에서 제외
o 드론 공습 우려에 따른 대규모 항공편 지연 및 국제행사 기간 인터넷 차단
-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습 우려로 인해 2025년 6월 5일~7일 간 러시아 공항 운영에도 차질이 발생함. 러시아 연방 항공교통청(Federal Air Transport Agency)에 따르면, 동 기간 2,000편 이상의 항공편이 지연되거나 취소되었으며, 약 4만 3,000장의 항공권이 환불된 것으로 확인됨. 전문가들은 이러한 운항 중단 조치로 인해 항공사들이 최대 200억 루블(약 3,600억 원) 규모 이상의 손실을 입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 한편 6월 18일~21일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St.Petersburg International Economic Forum) 기간에도 광범위한 모바일 인터넷 차단이 시행된 바 있는데, 드미트리 페스코프(Dmitri Peskov) 크렘린궁 대변인은 동 조치 역시 전쟁 관련 안보 우려에 기인한다고 설명함.
□ 인터넷 차단 조치로 인한 민간 서비스 마비
o 교통 및 결제 서비스 마비로 인한 경제적 타격
- 러시아의 모바일 인터넷 차단은 특히 교통 부문에 가장 심각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됨. 차단 기간 택시 호출 서비스 이용이 불가하였으며, 결제 단말기 역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됨. 이러한 상황 속 로스토프(Rostov) 등 차단이 빈번한 지역에서는 택시 요금이 급등(200~300루블 → 1,000 루블)하는 현상이 발생함.
- 한편 로스토프 현지 언론에 따르면 와이파이(Wi-Fi) 기반의 결제 단말기를 사용하는 운전자들은 인터넷 차단 기간에도 정상적인 업무를 수행한 것으로 알려져 운전자 간 수급 불균형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됨. 이와 관련, 러시아 사이버보안기업 포지티브 테크놀로지(Positive Technologies) 소속 컨설턴트 알렉세이 루카츠키(Alexei Lukatsky)는 "택시 운전자들이 결제 단말기용 모바일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향후 유사한 상황에 대비하여 백업 채널로 Wi-Fi에 대한 연결을 활성화하거나 Wi-Fi를 주요 연결 채널로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함.
o 소비자 서비스 및 배송 업계 전반적 타격
- 올가 샤미나(Olga Shamina) BBC 러시아 담당 경제 편집장은 인터넷 차단 조치에 대해 "모바일 인터넷에 의존하는 다양한 소비자 서비스가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고 언급하며, 음식 및 식료품 배송, 카 셰어링, 스쿠터 대여, 택시 서비스 등이 인터넷 차단으로 인해 주문 접수나 차량 예약이 불가능해진다고 설명함. 실제, 전문가들에 따르면 지난 2023년에는 인터넷 차단으로 인해 약 40억 달러(약 5조 5,600억 원) 규모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됨.
- 한편 로만 부사르긴(Roman Busargin) 사라토프(Saratov) 주지사는 6월 사라토프 주가 차단 건수에서 선두를 기록한 이후 무료 공공 Wi-Fi 구역을 확대할 것을 지시함. 아울러 "제한 대상이 아닌 유선 인터넷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가능한 한 많은 지역을 지원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지역 내 인터넷 가능 접속 지점을 표기한 지도를 제작하여 공개할 것이라고 발표함.
□ 차단 건수 급증 배경 및 차단 권한 중앙집권화 추진
o 러시아 내 인터넷 차단 요청 권한 보유 기관 수 과다
- 현재 러시아 지방 당국, 응급 서비스, 보안 기관 등 다양한 기관들이 인터넷 차단을 요청할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이 무질서하고 과도한 차단 급증을 야기하고 있다고 분석함. 특히, 지방 공무원들로부터 상당 수의 차단 요청 문서가 정당성 검토를 위해 모스크바로 전달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관련 조치가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당초 차단 권한은 보안 서비스 및 국가 통신 감시 기관인 로스콤나드조르(Roskomnadzor)가 보유하고 있었으며, 로스콤나드조르는 일반적으로 주요 공공 행사 및 대테러 작전을 위한 차단 조치를 시행해온 바 있음. 그러나 최근 우크라이나 드론 공습이 심화됨에 따라 지역 차원의 차단 필요성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며, 이에 권한 분산이 이루어진 것으로 관찰됨.
o 러시아 정부, 인터넷 차단 권한 중앙집권화 추진
- 상기 상황 속, 러시아 정부는 인터넷 접근 차단 권한을 중앙집권화하는 전국적 규정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세부적으로, 러시아 디지털개발부가 통신사업자 및 주요 이해관계자들과 인터넷 차단 절차를 간소화하고 모바일 네트워크 차단 관리를 담당할 단일 국가 기관을 지정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됨.
- 이와 관련, 카렌 카자리안(Karen Kazaryan) 러시아 인터넷 연구소(Internet Research Institute)장은 “차단 절차를 간소화하면 소비자들을 부당한 차단으로부터 보호하고 당국의 불필요한 업무를 줄일 수 있다”고 언급하며, 이러한 지시를 내릴 단일 권한 기관을 임명하는 것이 합리적인 조치라고 평가함.
< 감수 : 이평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The Moscow Times, Russia Moves to Centralize Mobile Internet Shutdowns Amid Rise in Ukrainian Drone Attacks, 2025.07.15.
Russia.Post, Fearing Ukrainian Drones, Russia Sets Records for Internet Blackouts, 2025.07.09.
Heise Online, Because of Ukrainian drone attacks: Russia shuts down mobile internet more often, 2025.07.07.
The Munich Eye, Russia Increases Mobile Internet Shutdowns Amid Ukrainian Drone Attacks, 2025.07.07.
Data Center Dynamics, Internet shutdowns in Russia more frequent in the wake of drone strikes, 2025.07.04.
News Week, Russia Forced to Close Airspace, Shut Down Internet Amid Drone Raids, 2025.05.22.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동향세미나] 몽골-EAEU 한시적 FTA 체결 의미와 시사점 | 2025-07-14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중앙아시아, 기후변화로 인한 수자원 위기 심화 | 202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