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인문] 투르크메니스탄 권위주의체제 연구

투르크메니스탄 국내연구자료 기타 이지은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발간일 : 2011-06-30 등록일 : 2017-06-21 원문링크

투르크메니스탄 정권이 권위주의 체제를 강화시키는 과정은 초대 대통령인 니야조프 통치기(권위주의체제 성립과 공고화)와 후임자 베르디무하메도프 집권기(공고화된 권위주의체제 유지와 강화)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독립 후 투르크메니스탄의 공고화된 권위주의체제의 주요 특징을 요약하면, 첫째, 비제도적, 비공식적 요소는 두 정권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투르크메니스탄 권위주의 체제의 주요 특징이다. 제도와 법에 기반 하기보다는 대통령과 특정 엘리트 파벌과의 사적 이익, 비제도적, 비공식적 관계에 의해 형성되는 후원주의 네트워크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둘째, 대통령에 의한 권력의 과도한 독점 현상이다. 니야조프와 베르디무하메도프는 유사한 통치 방식으로 정치, 경제, 사회 등 모든 국정 분야에서 패권적 통치권을 확립했다. 셋째, 공적 영역인 국가 권력이 대통령과 측근 엘리트의 사유물로 전락했다는 점이다. 독립 초기 씨족, 부족, 지역 등 비교적 광범위한 요소에 의해 형성된 투르크메니스탄 후원주의 네트워크는 대통령과의 사적관계와 경제적 이해라는 두 가지 요소에 따라 재편성, 친위엘리트 집단은 권력의 사유화를 심화시켰다. 넷째, 여타 중앙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투르크메니스탄 권위주의체제는 전제 군주적 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 우상화정책에 의해 대통령이 신격화되었고, 행정부 수장을 초월하는 군주적 위상을 가진 통치자에 의해 수직적, 가부장적 권력체계가 성립되었다. 투르크메니스탄 권위주의체제가 표면적으로는 견고해 보이지만 내면적으로는 취약할 수밖에 없다. 현재 체제가 민주적 제도에 의해 형성, 작동하기보다는 대통령의 사적 영역에서 비민주적, 비제도적, 비공식적 요소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