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농업] 몽골의 감자산업 현황과 전망

몽골 국내연구자료 학술논문 임주성, 조현묵, 박영은, 조지홍, 조광수, 김화영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발간일 : 2017-06-30 등록일 : 2017-12-29 원문링크

1. 몽골은 감자의 재배 환경조건에 따라 중앙농업지역, 서부농업지역, 동부농업지역, 및 고비농업지역 등 4개 권역으로 구분된다. 2. 몽골의 감자 재배면적은 1994년 7,806 ha에서 2012년 16,821 ha로 최근 20년 사이 2배 이상 늘었으며, 감자 생산량은 1994년 53,957톤에서 2012년 245,935톤으로서 4배 이상 증가하였다. 3. 단위면적당 수량(ton/ha)은 1994년 대비 2012년에 약 8톤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몽골감자프로그램’(Mongolian Potato Program, MPP)을 통하여 고품질 무병 씨감자 공급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4. 감자 수입량은 2008년 35,884톤이었으나, 2013년에는 34톤 이하로 빠르게 감소하였으며, 반면 감자 수출은 2013년 3,500톤, 2014년 4,800톤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6. 몽골의 감자 육종은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었으며, 육종시 중요한 선발기준은 다수성, 내건성, 조숙성 및 표피와 육색이 진한 노란색이다. 7. 몽골의 씨감자 생산체계는 ‘전통적인 무병주 씨감자 선발체계(1974-1976)’, ‘바이러스 프리 씨감자 체계(1988-1990)’, 그리고 ‘MPP 씨감자 체계(2004-2008)’ 등 3단계로 개선되어왔다. 8. 현재 몽골은 감자 수확 후 관리를 위한 가공시설이 전무하고, 최근 12년간 지속적으로 제공되었던 감자 ODA 사업자금 지원이 2015년 MPP 사업의 종결과 함께 중단됨에 따라 씨감자 체계를 자체 유지해야하는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