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언어] 불가리아어에서 활동체와 불활동체 표현 기제와 언어학적 특성 연구

불가리아 국내연구자료 학술논문 김원회 동유럽발칸연구 발간일 : 2016-02-29 등록일 : 2018-04-06 원문링크

격변화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러시아어의 경우에는 활동체와 불활동체의 차이가 명사, 형용사, 대명사 등에서 격변화 형태로 잘 나타나고 있으나 불가리아어와 같이 분석적인 언어(analytic language structure)에서는 그 구분이나 표현이 상대적으로 덜 생산적이라는 것이 활동체와 불활동체와 관련된 기존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불가리아어에서도 문법 형태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기존의 주장들보다 훨씬 다양하고 정교한 활동체-불활동체 표현 기제들이 존재하며, 규칙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가정할 수 있으며, 그러한 표현 기제들을 연구하고 그 법칙성을 찾는 것이 본 논문의 전체적인 연구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1차적으로 기존의 선행연구를 포함하여, 활동체, 불활동체를 지칭하는 다양한 용어들과 정의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개념들이 불가리아어 활동체와 불활동체 형태 기제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가를 살펴보았다. 논문의 중심 말에서는 불가리아어에서의 분석적인 언어구조로 인하여 활동체-불활동체의 구분이 미비하다는 주장에 반대되는 용례들을 살펴보았다. 우선 중심말의 초반부에서는 활동체-불활동체의 구분에 대한 학자들(주로 불가리아 학자들)의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그 개념을 정리해보았다. 다음으로 본론의 중반부터는 활동체-불활동체 문법 기제가 나타날 수 있는 명사의 성, 명사의 수, 수사, 대명사 부분에 대한 연구를 구체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를 통하여, 불가리아어 명사류에서 활동체와 불활동체의 활용은 남성 성 표지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수사에서는 남성 활동체를 특별히 지시하는 двама, трима 등등의 독특한 형태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대명사의 경우에도 비록 격 표지 상실이라는 큰 흐름 때문에 흔적이라고 주장되기고 하지만, 목적격 대명사 남성 형태에서는 매우 생산적으로 활동체 표지가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