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경제] 러시아 경제 악화, 원인분석 및 전망

러시아 국내연구자료 연구보고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발간일 : 2016-02-22 등록일 : 2020-01-15 원문링크

국제 교역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 경제도 침체기를 면치 못하고 있다. 러시아의 실질소득 감소로 민간소비 자체가 줄었고 환율도 1998년 러시아 화폐개혁 이후 최고치(2015.1월 기준, 83루블)를 기록하고 있어 우리기업의 대 러시아 수출 여건이 더욱 악화되었다. 그리고 국제 유가하락과 국제 갈등 고조로 러시아 경제 회복시기를 예측하기가 힘든 상황이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러시아 경제악화를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으로 나누어 봄으로써 러시아 진출 전략을 새로운 관점에서 되짚어 보았다. 러시아 경제악화를 ‘자원 중심 산업구조의 한계’라는 요인과 ‘저유가와 국제 갈등’이라는 요인으로 분석해 본 것이다. 사실상 러시아 경기침체는 국제유가 하락에 앞선 2013년부터 그 조짐이 보였는데, 이는 유럽 원부자재 수입 감소가 러시아 수출에 악영향을 미쳤을 거라는 점에 근거하였다. 그리고 ‘저유가’, ‘국제적 갈등’ 등이 경제적 부담감을 가중시켰고, 이에 따라 러시아 진출 한국기업과 외국계 기업들의 비즈니스 활동도 그 영향을 받은 것이다.

 

   실질적으로 러시아에 진출한 많은 기업들이 경영난을 겪고 있으나 그동안 그 시장을 면밀하게 검토해온 기업들은 오히려 비즈니스 영역을 넓히고 있는 상황이다. 인원감축, 마케팅 비용절감이라는 보수적 방법으로 소생의 기회를 기다리는 기업들도 있으며, 신규 아이템 제조, 지방 유력 바이어 발굴, 소매상 직거래라는 공격적 방법으로 위기를 기회로 삼는 기업도 있음은 주목할 만하다. 마지막으로 이 보고서는 러시아의 산업다변화에 의한 유망 상품 및 진출분야를 제시함으로써 우리기업의 러시아 진출 노력에 희망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