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경제/사회]아랍에미리트 경제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자국민과 이주민 간 관계변화 연구

아랍에미리트 국내연구자료 기타 엄익란 한국이슬람학회 발간일 : 2016-10-18 등록일 : 2017-04-20 원문링크

GCC 지역 외국인 노동자 유입은 1970년대 오일달러 유입과 본격화된 건설경기 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오만을 제외한 나머지GCC 국가 이주민 수는 이미 오래전에 자국민 수를 추월했다(사우디아라비아자국민 대 외국인 비율은 67%:33%, 오만 56%:44%). GCC 국가 중에서도 외국인 이주민 수가 가장 많은 국가는 아랍에미리트(전체 인구의 89%)이며, 카타르(86%), 쿠웨이트(69%), 바레인(52%)이 그 뒤를 따른다(Gulf Labour Market and Migration 2016). 외국인 노동자 수가 자국민 수를 압도하자 각 GCC 정부는 외국인 노동자 유입을 규제하는 한편 자국민 인구수 증가를 중심으로 인구균형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사우디아라비아는 2013년 90만 명에 달하는 불법 노동자를 추방했으며, 오만은 외국인 이주 노동자 수를 자국민의33% 이하로 감소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쿠웨이트도 외국인 이주 노동자의 55%에 해당하는 약 1백만 명을 해고하는 계획을 세운바 있다(Kinninmont 2015, 23). GCC 정부는 외국인 노동자 유입으로 인한 인구 불균형이 자국민 실업률 증가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마약, 인신매매, 매춘과 같은범죄증가와 전염병을 포함한 사회 안전 및 안보문제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여긴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걸프사회의 가치(Khaleeji values)’(Forstenlechner & Rutledge 2011, 31)와 정체성 와해의 원인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지난 수십 년간 석유수입에 의존해 온 GCC 국가는 이주민 수용모델 면에서통합보다는 분리와 배제정책을 채택해 왔다. GCC 왕정은 소수 자국민에만 자원자본을 분배하여 국민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정치와 경제 안정을 도모할수 있었다. 이는 오일혜택의 수혜자인 자국민과 그로부터 배제된 이주민간 지배와 복종의 관계로 이어졌다. 자국민과 이주민의 주종관계는 아랍에미리트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다민족, 다국적, 다언어, 다문화가 공존하는 아랍에미리트는 종종 ‘비균질적인 익명사회(Forstenlechner & Rutledge 2011, 29)’로 묘사되며, 이는 사회 구성원 간 동질성과 교류 부재의 일면을 보여준다. 그러나자국민과 이주민의 관계는 수용국의 정치·경제 상황에 따라 변하기 마련이다. 최근 석유의존 경제를 탈피하고 경제다변화와 지식기반경제 산업육성을 새로운경제성장 모델로 채택한 아랍에미리트의 경우 이주민 유입 패러다임은 블루컬러에서 화이트컬러 노동자로 변화하고 있다. 전문직과 지식층의 유입은 아랍에미리트의 노동시장 변화뿐만 아니라 기존 주종관계로 설정된 자국민과 이주민간 관계변화를 야기할 것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아랍에미리트 이주민 수용방식변화의 필요성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아랍에미리트 자국민과 이주민 관계에 대한 해외 연구는 다양한 시각에서 다뤄졌다. De Bel-Air(2015)는 외국인 노동자 유입에 따른 노동시장 구조 변화를, Fargues(2011)는 자국민과 섞이지 못하고 영원한 이방인으로 취급되는 외국인 노동자 문제를, Fernandez(2014)는 사적영역(가정)에 종사하는 이주 여성 노동자 문제를, Forstenlechner(2011)는 외국인 유입으로 인한 GCC 지역인구불균형 문제를, Jamal(2015)은 거주민 간 사회계층에 따른 서열과 위계질서 문제를 연구했다. 반면 아랍에미리트 이주민에 관한 국내연구로는 장용규(2006)의 연구가 유일하다. 장용규는 인도인에 비호의적인 아랍에미리트 사회환경 속에서 네트워크 활용을 통한 이주민의 생존전략을 조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바탕으로 현대 아랍에미리트 건설의 주역임에도 불구하고 주류사회로부터 배제된 이주민과 인구수 구성면에서는 소수를 차지하지만 주류사회를 군림해 온 자국민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국가의 경제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그들간 관계 변화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