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에티오피아, 인프라 개발과 금융 개방을 통해 역내 핵심 경제국 도약 추진

에티오피아 이혜빈 EC21R&C 연구원 2025/04/11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아프리카ㆍ중동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에티오피아, 인프라 프로젝트 통해 에너지 자립도 강화 모색

o 에티오피아 총리, 그랜드 에티오피아 르네상스 댐(GERD) 준공 계획 발표
- 지난 3월 26일 아비 아흐메드(Abiy Ahmed) 에티오피아 총리는 의회에서 그랜드 에티오피아 르네상스 댐(GERD: Grand Ethiopian Renaissance Dam)이 향후 6개월 이내에 준공될 것이라고 발표함. 그는 GERD 프로젝트가 아프리카의 자존심이자 자국의 경제적 회복력과 잠재력을 보여주는 상징이라고 강조함. 
- GERD는 총 42억 달러(약 6조 원) 규모의 프로젝트로, 최대 740억 큐빅 미터의 수자원을 보유할 수 있는 수력 에너지원이 될 전망임. 에티오피아는 2022년 2월부터 부분적으로 운영하여 전기 생산을 시작했으며, 완전 가동 시 5,000메가와트 이상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고 알려짐. 전문가들은 GERD가 아프리카 최대의 수력발전 댐이 될 것이며, 에티오피아의 경제 발전과 에너지 자립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함.

o 에너지 자립 향한 행보… 에티오피아, GERD 재원 전액 국내 조달
- 에티오피아는 인접국인 이집트와 수단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GERD 공사를 진행해 옴. 아흐메드 총리는 2025년 3월 의회 질의응답에서 이집트에 어떠한 피해를 주지 않겠다는 정부의 약속을 재확인하며, 자국의 목표는 에너지 생산이라고 강조한 바 있음. 또한, 이집트의 이익을 위해서도 협력을 지속할 방침이라고 덧붙임. 한편, 이집트는 높은 나일강 수자원 의존도(약 97%)로 인해 GERD를 실질적 에너지 안보 위협으로 간주하고 있음.
- 아흐메드 총리는 GERD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이 전적으로 에티오피아 국민으로부터 조달될 것이라고 강조함. 2025년 3월 기준, 에티오피아 재외동포청(EDS: Ethiopian Diaspora Service)은 전 세계 에티오피아 공관과 협력하여 GERD 완공을 위해 300만 달러(약 43억 6,000만 원)를 모금하는 캠페인을 시작했다고 발표함. 피스툼 아레가(Fistum Arega) EDS 국장은 해당 캠페인이 오는 7월 7일까지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힘. 일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에티오피아 재외동포들이 GERD 건설 프로젝트에 1,000만 달러(약 145억 원) 이상을 기부한 것으로 확인됨. 

□ 에티오피아, 경제 개혁과 외국인 투자 유치로 역내 주요 경제국으로 부상

o 정부의 경제 개혁 정책으로 아프리카 10대 경제국 진입
- 지난 3월 22일 아민 이드리스 아둠(Amine Idriss Adoum) AUDA-NEPAD(아프리카연합개발기구-신아프리카개발파트너십) 국장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에티오피아가 정부의 경제 개혁을 기반으로 아프리카 10대 경제국 반열에 진입했다고 평가함. 그는 에티오피아의 ▲경제 성과, ▲인프라에 대한 대규모 투자, ▲농업 생산성 향상, ▲농민 역량 강화를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냈다고 분석함.
- 한편, 에티오피아 투자위원회는 2008년부터 추진된 산업단지 건설과 특별경제구역(SEZ)* 관련 입법 조치가 자국의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의 결정적 요인이었다고 밝힘. 
*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산업단지, 자유무역지대, 과학기술단지, 서비스단지, 농업 및 축산업 지대 등을 포함하며, 투자자에게는 세금 및 관세 인센티브, 인프라 개발 지원 등의 혜택이 제공되는 구역

o 민간 주도 경제로의 전환 및 친환경 정책 강조
- 아둠 국장은 자국 경제가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 경제로 전환하는 과정에 있다고 평가함. 그는 “민간 부문이 경제를 실질적으로 운영하고 정부가 올바은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균형이 필요하며, 이것이 빈곤을 줄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함. 또한, 경제 개방을 통해 자국 기업들이 경쟁력을 제고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부연함.
- 한편, 에티오피아 정부는 에너지 자급과 운송 부문에서 지속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전문가들은 이러한 에티오피아의 정책 기조가 경제 성장과 친환경 정책을 동시에 추구하는 균형 잡힌 발전 모델이라고 높게 평가함. 

□ 에티오피아, 금융 시장 개방 통해 국제 경쟁력 강화 기대

o 에티오피아 의회, 외국계 은행 진출 허용하는 은행법 개정안 승인
- 한편, 에티오피아는 지난 2024년 12월 21일에 통과된 외국계 은행에 대한 ‘금융 시장 진출 허용 개정안’을 통해 국외 은행 산업과 외국인 투자자들의 진입을 장려하고 있으며, 일부 전문가들은 해당 개정안을 계기로 에티오피아 금융 부문이 점진적으로 개방되고 있다고 평가함. 
- 아비 케디르(Abi Kedir) 아프리카경제연구컨소시엄(African Economic Research Consortium) 교수는 외국계 은행의 진출이 자유로운 시장 경쟁을 촉진하고 현지 은행들의 성과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함. 특히, 외국계 은행의 대출 등 금융상품을 통해 농업 및 제조업 역량이 발전될 것이라고 언급함.

o 에티오피아, 영국·스웨덴 등 주요 국가와의 투자 협력 강화 추진
- (영국) 에티오피아는 영국과의 투자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런던에서 '에티오-영국 투자 포럼(Ethio-UK Investment Forum)'을 개최함. 메스가누 아르가(Mesganu Arga) 에티오피아 외교부 차관은 자국의 비즈니스 친화적 정책을 강조하며, 영국 기업들의 투자를 요청함. 아울러, 젤레케 테메스겐(Zeleke Temesgen) 에티오피아 투자위원회 위원장은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더 유리한 환경을 위해 법적·제도적 개혁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함. 
- (스웨덴) 세메레타 세와세우(Semereta Sewasew) 에티오피아 재무부차관은 스웨덴 대표단과의 회의에서 글로벌 지정학적 변화에 적응하면서 지속적인 발전을 모색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며, 스웨덴 측에 경제 성장 및 무역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자금을 요청함. 다이아나 얀세(Diana Janse) 스웨덴 외교부차관은 “스웨덴 기업들이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중요시하는 비즈니스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에티오피아와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화답함. 

< 감수 : 이진상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ENA, New Campaign Launched to Mobilize 3 Million USD from Ethiopian Diaspora for GERD, 2025.03.29.
ENA, Ethiopia, Sweden Strengthen Development Cooperation Amidst Evolving Global Challenges, 2025.03.26.
Ground News, Ethiopia Invites UK Investors to Seize Lucrative Opportunities, 2025.03.26.
ENA, Massive Economic Reform Instrumental in Positioning Ethiopia among Biggest Economies in Africa, 2025.03.22.
ENA, Ethiopia Emerges as Prime Destination for FDI, 2025.03.22
AA, Ethiopia to inaugurate Grand Renaissance Dam in 6 months: Prime minister, 2025.03.20.
Ethiopia Invites UK Investors to Seize Lucrative Opportunities
AhramOnline, Ethiopia to inaugurate disputed GERD within 6 months: PM Abiy Ahmed, 2025.03.20.
ENA, Economists Express Confidence on Foreign Banks Operating in Ethiopia Would Boost Int’l Competitiveness, 2024.12.21.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