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동향세미나
[동향세미나] 2025년 리우 브릭스 정상회의 주요 의제와 시사점: 메나(MENA) 지역 회원국을 중심으로
아프리카ㆍ중동 일반 이다운 KIEP 세계지역연구 2센터 아프리카중동·중남미팀 전문연구원 2025/07/14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아프리카ㆍ중동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5년 7월 6~7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제17차 BRICS(이하 브릭스) 정상회의가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거버넌스를 위한 글로벌 사우스 협력 강화”를 주제로 개최됨.
- 금번 회의에서 인도네시아가 정식 회원국으로 승인되면서 브릭스의 10번째 회원국이 됨.
ㅇ 지난 2023년 요하네스버그 정상회의에서 인도네시아의 가입이 최초 승인된 바 있으나 조코 위도도 전 대통령이 가입을 보류했으며, 이후 프라보워 정부가 취임하면서(2024.10.20.) 브릭스 가입을 적극 추진함.
ㅇ 기존 5개 회원국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과 2024년 가입 4개국 이란, 이집트, 에티오피아, UAE, 그리고 2025년 가입국 인도네시아까지 브릭스는 총 10개국으로 확장됨.
☐ 2024년 메나(MENA) 지역 국가들의 브릭스 가입을 계기로 브릭스 내에서 메나 지역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리우 선언문에도 반영됨.
- 2024년 1월부로 이란, 이집트, 에티오피아, UAE 등 중동·아프리카 4개국이 브릭스의 정식 회원국이 됐으며, 이에 따라 지역안보, 에너지, 식량, 금융 등 관련 논의가 확장되고 있음(표 1 및 2 참고)
- (이란) 브릭스는 이스라엘의 군사 공격 관련 이란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경제 제재를 규탄했으며, 이란의 WTO 가입 신청을 지원함.
ㅇ 지난 6월 브릭스는 이란에 대한 군사 공격에 대해‘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는 정도로 그쳤으나, 이번 회의에서는 군사 공격과 경제 제재 모두‘국제법과 유엔 헌장 위반행위’라고 규정함.1)
- (이집트) 긴급 아랍 정상회의(2025. 3. 4.)에서 채택된 카이로 성명을 지지하고 향후 카이로에서 개최될 공약 회의 소집을 언급함으로써 역내 중재국으로서 이집트의 중요성을 암시함.2)
- (UAE) 킴벌리 프로세스(Kimberley Process) 이니셔티브의 2025년 의장국인 UAE의 역할과 노력을 인정함.3)
표 1. 메나(MENA) 지역 브릭스 국가별 가입 동기 및 기대

주: 자료 참고하여 저자 분석 및 정리
자료: UAE 출장 전문가 면담 자료(2025.6.16.~6.20.);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2025.3.31.) “BRICS Expansion and the Future of World Order: Perspectives from Member States, Partners, and Aspirants”
표 2. 메나(MENA) 지역 브릭스 국가별 관련 의제

주: 2025년 브릭스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리우 선언문에서 관련 의제 및 해당 번호 추출
자료: Iran Becomes A Member Of BRICS, With Hopes And Challenges; Rio de Janeiro Declaration(검색일: 2025. 7. 8.)
☐ 브릭스는 이번 회의를 통해 메나 지역의 현안에 대한 외교적·경제적 지원을 강화했으며, 관련 국가들은 이를 향후 정치적 대응과 경제적 동력 확보를 위한 기회로 인식함.
- (이란) 브릭스가 이란의 외교적 우군 블록임을 공언하면서 이란이 향후 분쟁에 대응할 수 있는 협력 채널을 확보한 것으로 보는 시각이 있음.
ㅇ 브릭스의 공개적인 지지는 유엔과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 국제기구 내에서 서방에 맞설 수 있는 이란의 역량을 강화하고 있으며, 향후 이란이 러시아와 중국에 새로운 형태의 안보 보장을 요구할 가능성도 있다는 전문가들의 견해가 있음.4)
ㅇ 이란 외무장관 아라그치는 “이란은 브릭스의 지지를 환영한다”고 언급하며 신뢰를 표함.
- (이집트) 이집트는 브릭스 참여가 메나 지역 내 국가 위상을 제고할 뿐 아니라 자국 경제 문제를 일부 해소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하고 있음.
ㅇ 리우 회의에 참석한 마드불리 총리는 메나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증진하기 위한 이집트의 지역적 노력을 강조하며, 역내 중재자로서의 이집트의 역할을 부각시킴.5)
ㅇ 이집트는 미국 달러 부족, 높은 인플레이션, 외채 부담 등을 브릭스 회원국 간 금융 협력(예: 국경 간 지불 이니셔티브)을 통해 일정 부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UAE) UAE는 기후변화, 에너지 전환, 인공지능, 무역·투자, 문화외교 및 인적교류 등 주요 관심 의제를 중심으로 글로벌 가교(bridge)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고 경제 다변화 기회를 모색할 것으로 전망됨.
- 한편, 브릭스 회원국들의 상이한 경제 규모나 정치적 입장, 회원국 간의 이해관계 등으로 통일된 의견을 모으기 어려워 상징적인 플랫폼으로만 남을 수 있다는 견해가 있음.6)
*각주
1) BRICS Brasil 2025, “Rio de Janeiro Declaration,”온라인 자료(검색일: 2025. 7. 8.).
2) 지난 3월 4일 이집트는 아랍 국가 지도자들을 소집해 긴급 아랍 정상회의(the Emergency Arab Summit on Palestine)를 개최하여 팔레스타인 주민을 이주시키지 않고 가자지구를 재건하는 계획을 논의함.
3) 킴벌리 프로세스(Kimberley Process)는 분쟁 다이아몬드 거래를 근절하고 합법적인 인증 절차와 규정 준수를 바탕으로 다이아몬드 거래를 보장하기 위한 인증 제도임.
4) “Iran Gets Significant Diplomatic Boost”(2025. 7. 7.), 온라인 기사(검색일: 2025. 7. 9.).
5) “Egypt’s PM urges BRICS to prioritise peace”(2025. 7. 7.), 온라인 기사(검색일: 2025. 7. 9.).
6) PIIE(2024.11.7.). “The BRICS countries' inability to define its identity limits action”, 온라인 자료(검색일: 2025. 7. 14.).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IAEA, 이란 수개월 내 우라늄 농축 재개 가능 언급...핵시설 파괴에도 불구 기술력 보유 강조 | 2025-07-10 |
---|---|---|
다음글 | 다음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