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아랍에미리트의 석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산업 다각화

아랍에미리트 Kristian P. Alexander Zayed University 부교수 2016/06/14

지난 2015년 아랍에미리트의 비석유 부문 교역은 1조 5,600억 다르함(한화 약 481조 2,000억 원)이었으며, 동년 전체 무역의 68%를 차지했다. Kaabi 연방관세청장은 아랍에미리트의 경제 다원화와 석유에 대한 의존도가 감소함에 따라 비석유 부문에서의 교역이 안정성을 보인 것이라고 평가했다.
위와 관련하여, Zayed University의 Kristian P. Alexander 부교수에게 아랍에미리트의 석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산업 다각화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Q1. 아랍에미리트가 산업 다각화 정책을 펼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 아랍에미리트의 산업화 정책 (industrialization policy) 배경은, UAE 정부가 석유가 한정된 자원이라는 부분을 인식하면서 시작되었다. 이제까지 아랍에미리트는 국가의 재정 계획을 석유 수출 수익에 의존해왔다. 1973년에 발생한 아랍 산유국의 석유 무기화 정책과 1978년 이란혁명 이후 두 차례에 걸친 석유 파동에 이어 최근 산유국들이 역 오일쇼크를 겪게 되면서 유가 변동의 폭이 매우 불규칙적으로 변하게 되었다. 불안정한 유가 변동으로 인해 국가에서 재정 계획을 더 이상 석유수출 수익에 의존할 수 없게 되었고, 따라서 아랍에미리트의 정책입안자들(policymakers)은 그동안 석유 수출 수익에 의존해 국가의 재정 계획을 세우던 구조에서 장기적으로 서서히 벗어날 수 있는 산업 다각화 정책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UAE 정부는 국가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Vision 2030’과 ‘Strategic Plan 2015’와 같은 다양한 비전과 계획을 수립했다. UAE는 석유 수출로 발생하는 수익 덕분에 국가가 현재의 고도 대중 소비단계(stage of mass consumption)로 도약할 수 있게 되었다. 애초에 UAE는 1970년대 발생한 유가 폭등으로 석유 생산량을 엄청나게 증가시켰고, 당시 석유 수출을 통한 수익으로 현재의 산업 다각화 계획을 수립하는 데 투자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스위스 국제경영대학원(IMD) 산하에 있는 세계경쟁력센터(WCC: World Competitiveness Center)의 지표에 따르면, 중동지역에서 UAE는 지속적으로 가장 높은 경제 다각화를 이룬 국가 중 3위 안에 꼽히고 있다.


Q2. 아랍에미리트 경제에서 비석유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나 되는가?


▲ UAE의 전체 경제에서 비-석유산업(non-petroleum industry)이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 70% 정도이다. 이와 관련하여 아랍에미리트의 술탄 빈사이드 알 만수리(Sultan Bin Saeed Al Mansouri) 경제부 장관은 향후 10년에서 15년 내 UAE 경제 내 비-석유산업이 차지하는 비중과 해당 산업의 국내 총 생산비율(GDP)을 80%까지 성장시킬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현재의 GDP 관점으로, 아랍에미리트의 서비스 산업 부문은 석유 산업에 이어 두 번째 순위로 부상하고 있다. UAE의 최근 2년간 GDP 비율을 살펴보면, 제조업 부문과 석유 및 가스와 같은 에너지 산업 부문의 GDP 비율이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 반면, 무역 부문이 속한 GDP 비율은 대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Q3. 아랍에미리트 정부는 산업 다양화를 위해 어떠한 정책을 내놓았는가?


▲ 산업 다각화를 달성하기 위해 UAE 정부에서 도입한 정책에는 다양한 것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사례는 해외 업체들과 투자자들로부터 투자금을 유도하기 위해 제벨 알리(Jebel Ali)와 같은 경제자유구역(Free Zones)을 형성한 것이다. 경제자유구역은 해외 투자자들의 기업 경영환경과 현지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각종 규제를 완화해 기업의 경제 활동에 대한 자율성과 편의를 보장하여 해외 투자자들의 국내 투자 유치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형성된다. 아랍에미리트가 형성한 경제자유구역의 특징으로는 항구와 공항에 가깝다는 점, 해외 투자자들이 자신들의 프로젝트에 대한 모든 소유권 가질 수 있다는 점, 수입에 대한 관세가 다년간 면제된다는 점, 그리고 해외에 있는 인력을 입국시키는 데 제한이 없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UAE는 다수의 저임금 노동자들(manual workers)의 고용이나 경력직 및 전문직 사무 근로자들(white color workers)의 고용과 관련하여 유연한 노동 고용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경제자유구역 내 내국인 및 외국인 고용자와 고용인의 해외 근로 및 거주를 장려하기 위한 정책으로 다년간의 소득세 면제와 주거지 지원 및 자녀 학비지원 등의 복리후생 제도(benefit packages)를 시행하고 있다.


Q4. 산업 다각화의 현황과 성과는 어떠한가?


▲ UAE 정부는 민간 부문의 산업과 함께 국가개발 프로세스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민간부문의 산업과 관련한 정부의 의사 결정 및 대응이 빠르기 때문에 핵심 사업에 대한 진척 속도가 매우 빠른 편이다. UAE 내에서도 두바이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더욱 빠른 의사 결정과 핵심 사업 부문에서 뛰어난 진척 속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 지역의 빠르고 지속적인 성장은 UAE 경제성장의 상징이 되었다. UAE는 주요 사업에 해외 파트너들을 공동으로 참여시키기 위해 이들에 접촉한 뒤 설득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에 대한 결과로 하버드 의과대학원(Harvard Medical School)과 마요 클리닉(Mayo Clinic)이 두바이 의료도시(Dubai Health Care City) 건설 계획에 참여했고, 뉴욕 대학교(New York University)는 아부다비 지역에 캠퍼스를 설립했다. UAE의 산업 다각화 전략(Industrial diversification strategy)은 교육훈련(educational training)을 강조하는 정부에 의해 지원되고 있다. UAE 정부는 무상교육(free education) 지원을 통해 시민들의 전문성 수준(skill level)이 향상되면, 향후 국가적 생산성 수준이 강화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UAE 정부가 주도하는 교육정책이 시행되면서 국가의 노동 인구(labor force) 중 여성 인력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Q5. 필자는 현재까지 산업 다각화 성과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가?


▲ 산업 다각화 정책의 결과는 전체적으로 매우 긍정적이다. 장기적으로 UAE의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이며, 석유에 의존하던 경제적 구조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경제자유구역 활성화와 같은 산업 다각화 정책의 결과로 인해 공공부문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에서 더 많은 일자리가 장기적으로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랍의 봄(Arab Spring)으로 발생한 테러 공습이나 정치적 불안정(political instability)을 제외하면, UAE 정부는 관대하고 안정적인 정치적 성향을 기반으로 산업 다각화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동 정책의 추진으로 인해 많은 일자리가 창출되었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UAE는 ‘해외 거주자들이 직업을 구하기 위해 가야만 하는 국가’라는 평판을 얻게 되었고. 해외의 수많은 전문 인재들이 UAE로 많이 몰려들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UAE의 정책적 방향이 ‘낮은 출산율, 높은 이혼율로 인한 저조한 인구수와 더불어 육체노동을 꺼리는 국민의 성향으로 인해 아랍에미리트의 경제가 너무 외국 인력에 의존하도록 흘러가고 있지 않은가?’라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UAE 정부는 신혼부부에게 장려금을 지원하고 결혼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비용을 지급하는 등의 혜택을 지원하고 있지만, 출산율과 이혼율에 대한 문제가 크게 개선되고 있지는 않다.


Q6. 아랍에미리트 토후국 중 가장 성공적으로 산업 다각화를 이룬 국가는 두바이이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 두바이는 무한한 석유자원이 없기 때문에 대안 경제(alternative economy)가 도입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기 시작했고, 이러한 신념으로 현재의 지도자는 광범위한 도시개발을 대담하게 시행하는 전략을 취했다. 셰이크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마크툼(Sheikh Mohamed bin Rashid Al Maktoum)은 물류거점(logistical hub), 항구, 공항, 경제자유구역과 같은 기반시설을 확대했고, 서비스 경제를 강조하는 교육부문에 투자했으며, 지식경제와 관련한 미디어 허브, 신설 대학교 설립에 이어 두바이를 세계적인 관광도시로 상품화하는 마케팅 전략을 성공적으로 추진했다. 두바이는 정부가 두바이에 대한 투자증권(investment portfolio)을 다각화할 수 있도록 두바이 투자청(Investment Corporation of Dubai)과 같은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s)를 창설하여 운영하였다. 해외기업에 대한 투자 활동과 주식 지분 구매 활동으로 두바이는 도시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자급자족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두바이의 지하철 시스템은 두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70㎞ 거리의 47개 역을 순회하고 있다. 지하철 시스템은 두바이 시내의 혼잡한 교통을 해소하여 많은 승객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아부다비 또한 두바이처럼 지하철 시스템을 도입하여 아부다비와 두바이를 연결할 방대한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있다.


Q7. 여전히 석유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토후국은 어느 곳이며, 그 이유는 무언인가?


▲ UAE의 연방정치구조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Ajman, Umm Al Quwain, 그리고 Fujairah와 같은 소형 토후국은 아부다비와 같이 석유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대형 토후국으로부터 보조금을 지원받는다. 이러한 소형 토후국은 규모가 매우 작고, 많은 수의 투자자와 구직자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는 견실한 기반시설을 구축할 재정자금이 없다. 이들은 UAE 내 변두리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재정구조를 살펴보면 아직까지도 (소량이긴 하지만 비율적인 면에서) 석유 판매 수익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두바이와 아부다비 같은 대형 토후국은 소형 토후국의 틈새시장을 지원해 이들을 통합시키는 데에 관심을 가져왔다. 예를 들어, Sharjah는 교육과 독서 사업에 많은 투자를 하면서, UAE에서 최고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샤르자 아메리칸 대학교(American University of Sharjah)와 같은 대학시설을 만들었다. Fujairah는 아라비아 해와 인도양에 근접해있는 지리적 이점으로 보유 중인 수상 송유장치(oil terminals)를 확대하여 UAE 전체에 이익을 가져다주고 있다. Ajman은 제조 부문과 건설 부문에 투자하여 다른 토후국을 위한 주요 건설 자재의 공급자 역할을 하고 있다.


Q8. 필자는 산업 다각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 필자는 산업 다각화 정책은 합리적이며, UAE에 필연적으로 필요한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UAE는 기본적으로 필요한 재정적 문제를 국가 운영에 있어 발견되는 잠재적 위험요인을 최소화하거나 해결함과 동시에 예산의 일부를 다양한 금융 상품과 산업 분야에 투자하여 발생하는 수익으로 극복하고 있다. UAE는 석유 의존경제 이후 국민의 재정 안정화를 위해 경제 다각화와 같은 전략적인 사업 계획을 세부적으로 구상하고 있다. UAE 정부가 더 이상 석유 경제에 의존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은 이후, UAE가 세계 시장에서 경제, 기술, 그리고 문화와 관련한 주요 국제 행사를 주관하고 진행하는 특별한 거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정부는 Saadiyat Island, Yas Marina Formula One Circuit, 그리고 French Louvre Museum과 같은 대형 관광 사업에 착수했다. 이러한 사업은 노동 집약적이며, UAE 국민에 많은 일자리를 창출해 줄 것이다. UAE가 반드시 시행해야 할 혹은 시행하고 있지만 개선되어야 할 분야는 법조계 구조와 법률 부문이다. 특히 산업 관련법과 노동법의 개선은 매우 중요하다. UAE의 사법체계에는 부패가 없지만,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회사 설립과 관련한 법률 개선과 은행법(banking law)과 관련한 관료주의적인 법률들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


Q9. 아랍에미리트 내 비석유 부문 중 어떤 분야가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하는가?


▲ UAE의 비석유 산업 부문 중, 고급품 소매업 부문(high-end retail sector)과 관광 사업과 같은 서비스 부문이 향후 가장 크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UAE의 지리적 여건(동쪽과 서쪽 사이에 있으며 겨울 동안의 기후 등을 포함한), 정치적 안정, 여흥 거리 및 레저 활동(많은 수상공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흥 거리를 즐길 수 있는 장소, 더불어 쇼핑몰, 운동경기 등이 많다.), 등의 여러 가지 요인들로 UAE 정부는 해외 여행객이 휴가 중 관광과 소비를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는 또한, 해외 구직자들을 유인하는 역할도 한다. UAE의 관대한 성향으로, 많은 해외 인력들이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쿠웨이트보다 UAE에서 근로하기를 선호한다.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으로 인해 UAE는 금융 부문에 대한 상당한 성장(전통적인 금융권뿐만 아니라 성장하는 산업으로 떠오르는 이슬람법에 준수하는 금융권 역시)을 이루어냈다.


Q10. 앞으로 아랍에미리트 산업 다각화에 대해 어떻게 전망하는가?


▲ 토후국의 산업 다각화 정책에 대한 향후 전망은 정치적 안정성, 유가 불안정, 성장세를 띄고 있는 다른 시장과의 경쟁, 그리고 차기 정권을 누가 잡게 될 것이며, 당선인의 정치적 성향이 어떠한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단정 짓기는 어려운 일이다. 필자는 UAE가 계속해서 해외직접투자를 유도하고, 벌어들인 수익과 투자 유치금으로 생명공학, 우주항공, 제약, 그리고 헬스케어 장비(의료기기) 부문에 재투자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덧붙여, UAE는 새롭고 안정적이며 친환경적인 에너지 생산 방법을 설치하는 것에 상당히 많은 투자를 진행해 왔다. 마스다 시(Masdar City)의 다양한 태양 에너지 계획과 기타 UAE 지역에서 시행 중인 재생가능에너지 개발을 해당 투자에 대한 예시로 들 수 있다. UAE는 재생가능에너지 부문에 비중을 두면서 산업 다양화 정책에 대한 전략을 지속적으로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